고흥 길타래 3, 풍양중학교와 별학산 기슭 (13.2.22.)
― 나무, 뒷산, 버스타는곳

 


  지난 2012년, 고흥군 도화면에 깃든 도화중·고등학교 운동장에 있던 흙이 사라졌습니다. 학교 운동장에 우레탄을 깔며 흙땅이 사라지고, 운동장 언저리는 딱딱한 시멘트바닥으로 바뀝니다. 오늘날 도시에 있는 웬만한 학교는 흙운동장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도시 아이들은 가뜩이나 흙 밟거나 만질 일 없는데, 그나마 학교에서 운동장 흙이라도 건드리지 못합니다. 흙이 아예 없는 도시로 바뀝니다.


  시골에서는 학교 운동장에 섣불리 우레탄을 깔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골에서도 학교 운동장 흙을 걷어내어 우레탄을 깔아야 ‘문화’나 ‘문명’이나 ‘복지’나 ‘교육’이라도 되는 듯 여기는 이들이 차츰 늘어납니다. 고흥읍 고흥동초등학교는 진작부터 운동장 흙이 사라졌어요. 고흥읍도 고흥군에 있는 여러 시골마을 가운데 하나라지만, 읍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면서 읍내 마트만 들락거린다면, 이 아이들은 시골살이를 한다 하기 어렵습니다. 흙을 만지고, 흙을 마시며, 흙을 돌볼 때에 비로소 시골살이요, 시골학교이며, 시골사람입니다.


  풍양면 풍양초등학교는 아직 정갈한 흙운동장입니다. 풍양중학교도 아직 아름다운 흙운동장입니다. 운동장이 흙일 때에는 운동장 한켠을 텃밭으로 일굴 수 있습니다. 운동장에서 자라나는 풀을 만날 수 있고, 풀뽑기를 하다가 ‘먹는 풀’을 곧잘 보겠지요.

 

 


  도시학교에서는 교사 많고 교사마다 자가용 굴리니 자가용 댈 데 모자란다며 운동장 한켠에 시멘트를 부어 주차장 만든다는데, 시골학교에서도 자가용으로 드나드는 이가 많다 하더라도, 운동장 한켠 얼마든지 텃밭이나 나무밭으로 일굴 수 있어요. 석류나무 심어 석류를 딸 수 있고, 감나무 심어 감을 딸 수 있습니다. 면소재지 조그마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라면 어버이가 으레 흙일꾼이나 고기잡이라 할 테고, 집에 감나무 한 그루쯤 어김없이 있다 할 텐데, 집에서는 집이고 학교에서는 학교예요. 학교에서 학교급식을 하는 만큼, 학교 운동장 한켠에서 학교 텃밭을 일구어 교장선생님부터 학생 하나하나 두 평쯤 밭자락 돌보며 이녁 먹을거리를 거두어 돌본다면, 전국 어디에서도 손꼽힐 아름다운 학교밥 먹을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또한, 교사와 학생 스스로 흙을 아끼고 사랑하는 길을 더 오래 누릴 테니까, 허울뿐인 환경교육이나 환경운동에서도 벗어날 만하리라 생각해요.


  풍양초등학교와 풍양중학교는 학교 울타리 따라 나무가 우람하게 자랍니다. 나뭇가지를 함부로 건드리지 않아, 좋은 나무그늘 이루어집니다. 학교 아이들도 쉴 터전이 되고, 마을사람 누구라도 쉴 자리 됩니다. 풍양면이 좋다는 얘기 듣고 이곳으로 마실을 할 나그네들도 이곳 나무그늘에서 다리쉼을 하면서 아름다운 우리 시골과 삶터를 숨쉴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풍양초등학교 곁에는 작은 문방구 〈학생사〉가 있습니다. 〈학생사〉 옆에는 예전에 꽃집이던 가게가 옛 자취만 보여줍니다. 꽃집이던 가게 곁에는 〈두뇌개발주산학원〉이 옛 자취를 새삼스레 보여줍니다. 풍양면 주산학원 다니던 분들은 어디에서 오늘 하루 일구실까요.

 

 

 


  마을이름으로도 볕이 잘 들겠다 싶은 풍양인데, 참말 풍양마을 천천히 거닐면서 따순 햇살 듬뿍 누립니다. 바람도 길자락도 따스하구나 싶습니다. 멧자락이 둥그스름하게 예쁩니다. 마을집과 마을길 모두 올망졸망 어여쁩니다.


  풍양중학교 옆문 언저리에서 자라는 비파나무 한 그루를 바라보다가, 중학교 옆문하고 나란히 붙은 살림집 우체통을 한참 쳐다봅니다. 우체통에 제비 두 마리를 새겼어요. 좋은 이야기 물고 오는 제비라는 뜻이로군요. 이제 두 달 즈음 있으면, 머나먼 태평양 가로질러 제비무리 고흥자락으로 힘차게 찾아오겠지요.


  조계산 끝자락이 풍양중학교 뒷자리까지 이어졌을까요. 학교 뒷편에 뒷동산 조그맣게 있습니다. 교사도 학생도 뒷산에서 바깥수업 할 만하고, 뒷산 나무그늘에서 시 한 자락 쓸 만하며, 그림 한 장 그릴 만합니다.

 

 

 

 


  하얀 플라스틱판 아닌 분필 쓰는 칠판이 붙은 교무실을 살짝 들여다봅니다. 새로 오는 교사 이름과 떠나는 교사 이름을 한쪽에 적습니다. 골마루 따라 학교 아이들 작품을 걸고, 학교 건물 문간에는 여러 상패를 놓습니다. 1970∼80년대 상패에 새긴 글월과 숫자가 아련합니다.


  구령대로 나와 율치마을 쪽을 바라보는데, 군내버스 지나갑니다. 도화면에서 풍남항 거쳐 풍양면 지나 고흥읍으로 가는 버스일까요. 왼쪽과 오른쪽 모두 마늘밭 넓게 펼쳐진 길 한쪽에 ‘농어촌 버스(군내버스)’ 타는 곳이라고 알리는 작은 기둥 하나 있습니다. 자동차 많이 오가는 넓은 길에는 비를 그을 만한 자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비를 그을 지붕 있는 버스타는곳(정류장)에는, 이 버스타는곳 세운 이 이름을 새긴 조그마한 돌이 붙어요. 이제는 비와 바람과 햇살에 바래 글씨 읽기 어렵지만, 스무 해나 서른 해 앞서 이 작은 건물 지어 마을에 바친 이들은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 가득했겠지요.

 

 

 

 


  노루목마을 어귀에 마을 우물터 있습니다. 건너편에는 마을 어느 분 회갑을 기리며 놓은 앉음돌이 있습니다. 앉음돌 하나 놓고, 마을나무 한 그루 심었을까요.


  노루목마을 우물터는 안 쓴 지 꽤 오래되었겠지요. 아예 우물터를 없애는 데가 많은데, 노루목마을 어귀 우물터는 지난날 마을살이 한 자락 보여주는 아름다운 자취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열 해나 스무 해 뒤에도 아름다운 자취(문화유산)가 될 테지만, 바로 오늘에도 ‘지난 마을살이 돌이켜보는 자취’ 구실을 해요. 오늘날에는 수도물을 써야 문화이거나 문명으로 여기지만, 이 땅 사람들은 긴긴 나날 우물물 긷고, 냇물 마시며, 빗물 받아서 살았어요. 우리 숨결 이은 우물물이고 냇물이며 빗물이에요.


  내율마을 곁을 지나갑니다. 별학산 기슭을 따라 천천히 오르막을 걷습니다. 억새가 춤추는 한갓진 멧자락을 바라봅니다. 겨울 끝무렵 들바람과 멧바람을 마십니다. 조용하며 맑은 숲입니다. 시원하며 깨끗한 바람입니다. 햇살은 숲을 살찌우고, 숲은 사람을 살찌웁니다. 바람은 흙을 북돋우고, 흙은 사람을 북돋웁니다.

 

 


  볕 잘 드는 자리에는 어김없이 무덤이 있습니다. 볕 잘 드는 곳에서 마을을 굽어살피겠지요. 볕 좋은 날 마을 어른들은 낫 들고 무덤가로 풀 베러 마실을 오겠지요.


  자동차 뜸한 길가에서 자라는 후박나무는 한 해 두 해 무럭무럭 자랍니다. 아직 키가 작은 후박나무는 열 해쯤 뒤에는 시원한 그늘 드리우는 ‘후박나무 길’로 거듭나겠지요. 나무가 있고 사람이 있습니다. 숲이 있고 사람이 있습니다. 군내버스는 조용히 마을 사이를 지납니다. 마을길 걷는 사람은 조용히 멧새 소리를 듣습니다. 4346.2.2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고흥 길타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