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59) 어디의 1 : 어디의 예의냐
갑자기 남의 얼굴에 손을 대는 건 어디의 예의냐
《데즈카 오사무/도영명 옮김-칠색잉꼬 (5)》(학산문화사,2012) 11쪽
“손을 대는 건” 같은 말투는 오늘날 그대로 두어야 할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한겨레는 예부터 이처럼 말하지 않고 “손을 대는 짓은”처럼 말했어요. ‘것(건)’이 아닌 ‘짓’이라는 낱말을 넣으며 말했어요. ‘것’이라는 낱말을 넣은 말투를 아무 자리에나 쓰지 않았어요.
그러고 보면, 한겨레는 토씨 ‘-의’ 또한 아무 자리에나 쓰지 않았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거의 아무 자리에나 ‘-의’를 쓰고 맙니다. 옳게 생각하거나 살피면서 말을 하는 사람이 드물고, 바르게 헤아리거나 가다듬으면서 글을 쓰는 사람이 적어요. 띄어쓰기나 맞춤법은 돌아본다지만, 옳은 말법이나 바른 글투를 곱씹는 사람은 좀처럼 안 나타납니다.
스스로 사랑스러운 손길이 되어 사랑스러운 글빛을 드러내기란 어려울까요. 스스로 아름다운 눈길이 되어 아름다운 말빛을 나누기란 힘들까요.
어디의 예의냐
→ 어디 예의냐
→ 어디서 배운 짓이냐
→ 어디서 굴러먹은 버릇이냐
…
내 어릴 적을 곰곰이 떠올립니다. 나는 “어디서 배운 버릇이냐” 하는 말투를 곧잘 들었고, 동무들끼리 다툼이 있을 때에 서로 이런 말을 외치곤 했어요. 아마, 어른들이 우리를 나무랄 적에 “너희들 그게 어디서 배운 말버릇이냐” 하고 윽박지르셨겠지요. 그래서 어린 우리들도 어른들 말투를 똑같이 물려받아 이런 말을 읊었지 싶어요.
“어디의 예의냐” 같은 말투는 듣지 못했고 쓰지 않았어요. “어디서 배운 예의냐”라든지 “어디에서 굴러먹은 예의냐”처럼 듣고 썼어요.
일본사람이라면 ‘の’를 넣는 말투가 익숙하거나 올바를 테고, 한국사람이라면 ‘-의’ 아닌 뜻이랑 느낌을 살리는 말투여야 알맞으며 아름답습니다. 토씨 ‘-서’나 ‘-에서’를 붙일 노릇입니다. 조금 더 살피면, “남의 얼굴에”도 “남 얼굴에”처럼 적거나 말할 수 있어요. 입으로 “남 얼굴에 손을 대는 짓”처럼 말해 보셔요. 술술 부드럽게 말이 흐르는구나 하고 느낄 수 있습니다. 4346.1.27.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갑자기 남의 얼굴에 손을 대는 짓은 어디서 배웠느냐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