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보기
― 마음을 건드리는 사진
예쁘장하게 찍히려면 얼굴은 어떻게 어느 쪽으로 돌리라느니, 사진 찍는 사람이 어느 자리에서 찍으라느니,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사진을 찍어 보기로는, 이런 ‘예쁜 짜임새’가 그닥 예쁘다 싶지 않아요. 모든 사람을 똑같은 틀에 맞추어 찍어내는 붕어빵과 같습니다. 이른바 황금비율이란, ‘황금을 만드는 비율’이 될는지 모르는데, 황금만 아름다울 수 없어요. 다이아몬드도 아름답겠지만, 구리도 아름답고 여느 돌도 아름답습니다. 돌 가운데 몽돌도 아름답고 조약돌도 아름답지요.
조약돌은 ‘조약돌답게’ 찍어야 빛납니다. 조약돌을 황금비율로 찍으면 어떤 사진이 될까요. 아마, 퍽 멋스럽다 싶은 새로운 모습이 나올 수 있겠지요. 그러나, 이때에는 조약돌이 조약돌 아닌 모습이 됩니다. 그저 ‘멋스러운’ 사진만 바란다면 황금비율을 따르면 될 테지만, ‘조약돌다운’ 사진을 생각한다면 황금비율을 내려놓아야 알맞아요.
내 옆지기를 사진으로 담거나 우리 아이들을 사진으로 찍을 때, 나는 어떠한 짜임새도 틀거리도 얼거리도 따지지 않습니다. 따질 까닭이 없고, 따질 겨를조차 없어요. 늘 그 자리에서 그 모습 그대로 찍습니다. 내 옆지기는 내 옆지기다운 모습으로 찍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우리 아이들다운 모습으로 담습니다. 꼭 어떤 흐름이나 틀을 헤아려야 하지 않아요. 나 스스로 사랑하는 눈길로 바라보면서, 나 스스로 아끼는 손길로 사진 한 장 찍으면 넉넉해요.
마음을 건드리는 사진을 바라기에, 언제나 꾸밈없는 삶자락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마음을 움직이는 사진을 즐기기에, 늘 수수한 삶결 그대로 북돋울 만한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내 사진에는 내 마음이 담깁니다. 내 사진에는 내 사랑이 깃듭니다. 내 사진에는 내 이야기가 감돕니다. 4346.1.2.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사진책 읽는 즐거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102/pimg_70517512481192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