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떠올리는 겨울 책읽기
겨울을 지나면 봄이 찾아들고, 봄을 누리면 겨울이 다가옵니다. 겨우내 조용한 마을에서 조용한 빛을 느낍니다. 어떤 짐승과 벌레는 새근새근 겨울잠을 잡니다. 어떤 풀과 나무는 곱게 시들며 새봄을 기다립니다. 어떤 새는 겨우내 먹이를 찾느라 부산하고, 어떤 짐승은 겨우내 살아갈 길 찾느라 바쁩니다.
겨울에 잎을 모두 떨구는 나무 있고, 겨울에도 잎을 모두 건사하는 나무 있습니다. 겨울이면 숨죽이며 느긋하게 쉬는 사람 있으며, 겨울에 되레 부지런히 땀흘리는 사람 있어요. 겨울에도 풀빛은 푸릅니다. 그러나 겨울이기에 풀빛이 누렇기도 합니다. 봄이 찾아들면 풀빛이 새삼스레 싱그러운 푸름입니다. 그렇지만 봄에도 아직 누르스름한 풀빛이 곳곳에 감돌아요.
내가 아이들과 도시에서만 지냈으면 겨울빛과 봄빛을 어떻게 누렸을까 헤아려 봅니다. 아이들에 앞서, 어버이인 나부터, 겨울빛을 얼마나 겨울답게 누리고 봄빛은 또 얼마나 봄답게 누렸을까요. 흙과 풀과 나무로 이루어진 숲이 아니라, 시멘트와 아스팔트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도시에서는 겨울빛과 봄빛이 어떤 모습일까요. 아니, 도시는 봄빛과 겨울빛이 따로 있기나 할까요. 도시는 여름빛이나 가을빛이 새삼스레 있을 수 있나요.
아이들은 즐겁게 놀 수 있어야 아이요, 아이들은 한갓지게 뒹굴 수 있어야 아이라고 느낍니다. 도시가 아직 흙바닥 골목길이요, 한복판이나 변두리에 논밭이나 동산이나 언덕이나 도랑물 있던 때에는, 꼭 시골이 아니더라도 살갑게 뛰놀 만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 도시 한복판뿐 아니라 도시 변두리에서마저 논밭이나 동산이나 언덕이나 도랑물이 몽땅 사라지거나 밀려난 이즈음, 아이들이 도시에서 얼마나 아이다울 수 있을까 모르겠어요. 아이들이 아이답게 뒹굴 수 없는 터라면, 어른들도 어른다이 일하거나 사귀기 힘들겠다고 느껴요.
나로서는 어버이인 나부터 내 삶빛을 밝히고 싶기에 시골살이를 꿈꾸었구나 싶어요. 겨울에는 겨울을 누리며 봄을 떠올리고 싶고, 봄에는 봄을 흐드러지게 맛보면서 겨울이 어떠했는가 되새기는, 재미나며 멋스러운 삶읽기를 생각하며 도시 아닌 시골을 내 고운 삶자리로 찾았구나 싶어요. 4345.12.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2)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1224/pimg_70517512480963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