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꾸리는 마음 (도서관일기 2012.11.2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사람들은 책을 읽으러 도서관에 간다고 말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어떤 책’을 읽으며 ‘스스로 삶을 북돋울’ 뜻으로 ‘도서관에 간다’고 할 수 있을까.
줄거리를 훑는대서 책읽기가 될 수 없다. 줄거리를 훑을 적에는 ‘줄거리 훑기’이다. 독후감을 쓰려고 책을 살핀다면 ‘독후감 쓰기’일 뿐 책읽기라 할 수 없다. 널리 이름나거나 알려진 책을 들춘다 할 적에도 ‘이름난 책 들추기’일 뿐 책읽기라는 이름은 붙일 수 없다. 신문을 읽을 때에 모두 신문읽기가 되지 않는다. 신문에 어떤 이야기가 실리는가를 ‘읽고’서, 신문에 어떤 이야기가 왜 실리는가를 다시 ‘읽고’서, 사람이 살아가는 터전을 새삼스레 ‘읽고’서, 내 삶을 가만히 돌아보며 하루를 되새길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신문읽기라 할 수 있다.
영화읽기나 노래읽기나 문화읽기나 교육읽기나 정치읽기나 사랑읽기 모두 이와 매한가지이다. 겉을 훑는대서 읽기는 아니다. 겉을 훑으면 겉훑기일 뿐이다. 줄거리를 살피면 그저 줄거리를 살핀다 할 뿐이다. 읽기란 ‘살기(삶)’로 이어진다. 꽃을 읽으며 꽃마음을 가만히 되새기며 내 마음을 돌아본다. 하늘을 읽으며 하늘흐름을 곰곰이 돌아보면서 내 넋을 되새긴다. 아이들 마음을 읽으며 어버이로서 내 마음을 함께 읽는다. 책을 읽는다 할 적에는, 이 책 하나를 쓴 사람이 어떤 삶을 일구면서 어떤 넋을 돌보아 어떤 꿈을 펼치려 했는가를 내 사랑을 쏟아 읽는다고 해야 알맞다.
제주에서 책손 한 분 찾아온다. 햇살이 가장 밝고 따스한 낮에 큰아이하고 나란히 도서관마실을 한다. 우리 마을 끝자락에 있는 돌기둥 하나를 구경한 다음 우체국에 들러서 도서관으로 간다. 마을 끝자락 돌기둥은 육백 해쯤 되었는지 천 해쯤 되었는지 아무도 모른다. 이 돌기둥을 누가 왜 세웠는지도 모른다. 곰곰이 헤아려 본다. 돌기둥을 세운 사람들 마음을 헤아려 본다. 어디에서 이 돌을 들고 와서 깎아 세웠을까. 이 돌기둥은 얼마나 긴 나날을 비바람과 눈바람 맞으며 이 자리를 지켰을까. 어쩌다 논 한복판이라 할 데에 이 돌기둥이 섰을까. 돌기둥은 논이 없던 때부터 돌기둥으로 있다가, 사람들이 이 언저리에서도 흙을 일구어 논을 만들었을까.
큰아이는 도서관에 오면 책을 보기도 한다. 동생이랑 둘이 오면 뛰노느라 바쁘고, 어른들이랑 함께 오면 개구지게 뛰놀기도 하지만, 제 눈높이에 맞는 그림책을 집어서 조용히 읽곤 한다.
고흥 시골마을에 연 도서관에 정작 고흥사람은 아직 거의 안 찾아들지만, 먼 곳에서 사는 분들이 고운 책손이 되어 찾아온다. 먼 곳에서 찾아온 분들은 느긋하게 책을 읽고 살피며 느낄 줄 안다. 그러니까 먼걸음을 하겠지. ‘가까운걸음’이라서 다들 바쁘거나 설렁눈길이지는 않지만, 외려 가까운 자리 사람들은 ‘언제라도 올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언제라도 안 오기’ 일쑤이다. 먼 데서 사는 사람들은 마음 즐겁게 품으며 기쁜 마실을 하며 기쁘게 책을 만지고 쓰다듬을 줄 안다.
도서관 꾸리는 내 마음을 읽는다. 나는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책을 읽어야 아름답게 거듭난다고 느끼지 않는다. 다문 한 사람이 다문 한 권을 손에 들어 만지작거린다 하더라도, 스스로 슬기롭게 살아가고픈 꿈을 사랑스레 품을 때에 비로소 아름답게 거듭난다고 느낀다. 도서관이란 백만 천만 억만 사람 누구한테나 열린 곳이기는 하지만, 도서관을 누릴 줄 아는 사람은, 스스로 가슴속 깊이 꿈을 사랑스레 품는 사람뿐이라고 느낀다. (ㅎㄲㅅㄱ)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