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가는 말 113] 풀이름

 


  마을 어르신한테 풀이름을 여쭈면 당신이 아는 풀이름은 이렁저렁 알려주지만, 당신이 모르는 풀이름은 이내 “몰러.” 하고 말씀합니다. 마을 어르신들은 당신이 뜯어서 먹는 풀이름은 웬만해서는 다 압니다. 굳이 안 뜯어서 안 먹는 풀이름은 딱히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더없이 예쁘구나 싶은 꽃이 돌울타리 따라 죽 피었기에 마을 어르신한테 여쭈어 보면 으레 “몰러. 난 안 심었는데, 바람에 씨가 날아왔서 뿌리내렸나 봐. 꽃이 이쁘니 그냥 뒀지.” 하고 말씀합니다. 전남 고흥 어르신들은 고구마도 그냥 ‘감자’나 ‘감저’라고 말해요. 감자도 감자이고 고구마도 감자인 셈인데, 민들레이건 부추이건 마을마다 이름이 달라요. 마을 깊숙한 두메와 멧골에서는 또 두메와 멧골마다 이름이 다르고요. 어째 이리 이름이 다를까 싶으면서도, 저마다 삶자락이 다르니 저마다 보거나 느끼거나 생각하는 모습이 달라, 이름도 달리 붙이겠구나 싶어요. 이를테면, 우리 집 다섯 살 큰아이는 안경 맞추러 ‘안경집’에 가고 신발 사러 ‘신발집’에 가며 자동차는 기름 넣으러 ‘기름집’에 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나와 옆지기는 아이한테 아무 가게이름도 안 가르쳤으나, 아이는 스스로 느낀 대로 말해요. 곧, 풀이름이라 할 때에도 표준말 이름을 달달 외워서 맞출 까닭이 없어요. 저마다 달리 살아가는 내 마을살이에 맞추고 내 보금자리를 헤아리며 ‘내가 느낀 풀이름’ 하나 붙이고 ‘내가 바라보는 꽃이름’ 하나 붙이면 돼요. 학자가 붙인 ‘민들레’ 이름이 아니요, 임금님이 붙인 ‘쑥’ 이름이 아니에요. (4345.11.1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