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누리신문(인터넷신문)’에 글을 쓰다

 


  ‘시골 누리신문’에 글을 쓴다. 이제 이레쯤 되었다. 따로 어느 신문이나 잡지나 사외보에 글을 써 주지 않더라도, 나는 나 스스로 좋아하면서 글을 쓴다. 내 누리집에 올려서 내가 읽고 즐기면 되기에, 굳이 이곳저곳에 글을 보내는 일을 하지 않았다. 나한테 따로 글을 써 달라고 얘기하는 곳에만 거의 자원봉사와 같이 글을 써서 보냈다.


  몇몇 ‘서울 누리신문’에 글을 써서 보내면, 글삯을 받을 수 있다. 내 이름도 여러모로 널리 알려질 만하다. 지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 누리신문’에 글을 써 보았는데, 누리신문이라 하더라도 밑뿌리가 서울이라면 으레 서울 이야기만 다룬다고 깊이 느꼈다. 더욱이, 서울에서도 누리신문 도움돈이나 광고를 대 줄 만한 정치나 경제나 큰 시민단체 이야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느꼈다. 작고 작으며 작은 사람들 이야기는 ‘서울 누리신문’에서는 다룰 수 없는 대목이로구나 하고 느꼈다. 진보를 말하는 종이신문이나 누리신문도 이 틀에서는 거의 다르지 않다. 진보이든 보수이든 중도이든, 다들 정치 이야기만 다루려 할 뿐, 작고 작으며 작은 사람들 알콩달콩 사랑꽃 피어나는 이야기는 다루려 하지 않는다. 아니, 다룰 수 없다고 해야 옳지 싶다. 왜냐하면, 서울에 있는 종이신문이나 누리신문 일꾼은 스스로 ‘작고 작으며 작은’ 사람이 아니니까. 크고 크며 큰 이야기에 눈길을 두면서 스스로 크고 크며 큰 자리로 올라서고픈 생각을 하니까.


  나는 아직 ‘작고 작으며 작은 사람들 살아가는 작은 마을’에서 작고 작으며 작게 살림을 꾸리면서 기자로 일하는 사람을 못 본다. 글을 쓰는 이 가운데에는 크고 크며 큰 마을을 떠나거나 크고 크며 큰 서울을 떠나는 이가 가끔 있지만, 기자나 지식인이나 교수나 학자 가운데에는 크고 크며 큰 서울이나 도시를 떠나는 이가 아주 드물거나 거의 없다. 어쩌면 어쩔 수 없겠지. 기자가 일할 곳, 교수가 일할 곳, 지식인이 일할 곳은 온통 서울이나 커다란 도시에 있으니까. 시골에는 기자나 교수나 지식인이 일할 곳이 없다고 여길는지 모르니까.


  책이란 무엇일까. 신문이란 무엇인가. 이야기란 어떠한 사랑이 될까. 시골마을 사람들과 오순도순 나누려고 글을 쓰면서 신문을 엮거나 책을 내놓는 사람은 이 나라에 몇쯤 있을까. 나는 ‘시골 누리신문’에 글을 보내기로 하면서, 내 둘레 작고 작으며 작은 이웃들이랑 작은 시골마을에서 살가이 지내는 꿈을 꾼다. (4345.11.15.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