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을 바라보다 - 우리가 모르는 고래의 삶
엘린 켈지 지음, 황근하 옮김 / 양철북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정갈한 시골숲이 키우는 사랑
[시골사람 책읽기 001] 엘린 켈지, 《거인을 바라보다》(양철북,2011)

 


  시골마을에 가을이 흐드러집니다. 시골사람은 가을이 되어 가을을 삶으로 읽습니다. 도시에서는 가을이 어떻게 찾아올까요. 이른바 ‘백화점 가을 에누리 광고 걸개천’으로 가을이 찾아올까요. 텔레비전 날씨 방송에서 ‘이제 가을입니다’ 하는 말을 읊어야 가을이 찾아올까요.


  어느 도시를 가나 가을이 되어도 무엇이 얼마나 가을다운지 느끼기 어렵습니다. 넘치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조금이나마 줄이려고 길가에 심은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든 은행잎을 떨구고, 청소 일꾼이 힘겹게 은행잎을 모아 푸대에 담는 모습으로 가을이 찾아올까요.


  가을은 무엇보다 시원스러운 바람입니다. 새벽과 밤에는 좀 스산하달 수 있으나, 아침부터 저녁까지 산들산들 살랑살랑 고운 바람이 붑니다. 가을바람에는 무르익는 곡식 내음이 물씬 뱁니다. 마을마다 나락을 베어 길가에 널고는 햇볕으로 말릴 적에는 그야말로 온 고을이 나락내음으로 물듭니다. 밥을 먹지 않아도 배가 부릅니다. 나락내음으로도 배가 부릅니다. 햇살은 따사롭습니다. 어느 풀밭에 드러누워도 솔솔 잠이 잘 오고, 아이들은 신나게 뛰어다닙니다.


  가을이 되면 잎이 지고 꽃도 시든다지만, 가을이 되어 피는 꽃이 있습니다. 가을에 노랗게 피어 숲과 논둑을 밝히는 꽃이 흐드러지고, 나무마다 발그스름한 감알이 꽃송이처럼 여물고, 노르스름한 유자가 꽃덩이처럼 알찹니다.


.. 캘리포니아 만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고래 종을 볼 수 있는 최적의 장소지만, 그것이 단지 먹이 때문만은 아니다. 고래들이 이곳으로 돌아오는, 혹은 긴수염고래의 경우 이곳을 떠나지 않는 이유는 하나 더 있다. 바로 ‘조용하다’는 것이다 ..  (63쪽)


  전라남도 아랫녘이라 할 고흥은 가을로 물듭니다. 군청과 포스코에서는 고즈넉하고 아름다운 고흥 시골마을에 ‘화력발전소’를 끌어들여 목돈을 만지려고 했지만, 시골마을 사람들은 아름다운 시골흙에서 정갈한 먹을거리를 얻고, 어여쁜 시골바다에서 깨끗한 먹을거리를 누립니다. 돈 몇 푼 때문에 ‘도시 한복판에는 들이지 않는 위험·위해시설’을 시골 한복판에 들여놓을 까닭이 없습니다. 발전소도 고속도로도 공장도 골프장도 없는 고흥은 한국땅에 몇 안 되는 푸르게 빛나는 예쁜 시골마을입니다. 천 억 아닌 천 조를 주더라도 맑은 바람과 밝은 햇살과 고운 물을 즐길 수 없어요.


  바다에서 살아가는 젖먹이짐승 고래는 ‘첫째, 먹이가 넉넉한 곳’에서 살아갑니다. 그러나, 먹이가 넉넉하더라도 시끄러우면 살아가지 못해요. 고래는 군함이나 고기잡이배에서 쏘는 저주파 소음 때문에 귀청이 찢어져서 죽기까지 해요. 고흥 나로섬에는 우주기지가 있는데, 우주기지에서 로켓을 쏘면 어마어마하게 큰 진동이 생겨 여러 날 바닷물고기가 송두리째 사라져요. 고래가 고흥 앞바다까지 찾아오는지 안 찾아오는지, 바닷속을 샅샅이 들여다보는 사람이 없으니 모를 노릇이지만, 나로섬에서 로켓을 쏘면 숱한 바닷물고기와 함께 고래는 이곳으로 올 생각을 안 할 테지요.


  생각해 보면, 고흥 앞바다는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이에요. 들판은 누렇게 익고, 하늘은 파랗게 빛나며, 한겨울에도 씩씩하게 잎사귀 틔우는 동백나무랑 후박나무는 푸르게 빛나면서, 맑은 바닷물은 파랗디파랗습니다.


  곧, 이 시골마을은 더할 나위 없이 조용합니다. 한국땅은 대륙과 붙은 반도라 하는데, 고흥은 한국땅에서도 반도입니다. 고흥사람 아니면 고흥으로 들어올 일이 없고, 고흥사람 스스로 자동차 몰아 여기저기 돌아다닐 일이 드뭅니다.


.. 고래들은 내가 발견한 바로는 지극히 헌신적인 어미다. 그들은그래야만 한다. 그 넓은 바닷속에는 새끼를 쉬게 하거나 먹일만한 안전한 장소가 없기 때문이다. 고래는 보통 24년 7개월 정도 어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어떤 종은 어미 역할이 평생을 가기도 한다 ..  (14쪽)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는 일흔 살 나이에 ‘젊은이’ 소리를 듣습니다. 여든 살 나이에 씩씩하게 들일을 합니다. 아흔 살 나이에도 꿋꿋하게 바닷일을 하곤 합니다. 그러면서, 도시로 나가 회사원이나 공무원이나 공장 일꾼 노릇 하는 아이들한테 ‘깨끗한 시골 먹을거리’를 보내 줍니다. 가만히 보면, 사람이라 하는 목숨은 ‘늙어서 죽는 날’까지, 또는 ‘늙고 늙어’도 새끼(아이)를 돌보는구나 싶어요.


  그렇겠지요. ‘자식 부양 의무’가 아닌, ‘사랑’으로 아이를 낳아 품고 돌보니까요. 아름다운 시골에서 살아가며 아름다운 사랑을 날마다 숲에서 읽고 숲에서 느끼며 숲에서 새롭게 쓰니까요. (4345.11.10.흙.ㅎㄲㅅㄱ)

 


― 거인을 바라보다, 우리가 모르는 고래의 삶 (엘린 켈지 글,황근하 옮김,양철북 펴냄,2011.4.29./13000원)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