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에 한 줄, 씩씩하게 읽는 책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가을을 말합니다.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봄을 말합니다. 그런데 도시에서 가을이나 봄을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도시에서는 때때로 찻길 한켠 나무들이 노랗거나 빨간 잎사귀를 떨구어 가랑잎 수북한 모습을 만들어 주지만, 도시 청소부들은 ‘쓰레기 잔뜩 쌓였다’면서 힘겹게 치웁니다. 자가용 싱싱 모는 이들 또한 길가에 수북히 쌓인 가을잎을 눈여겨보지 않아요. 아니, 자가용 싱싱 몰며 신호등이랑 옆 자동차를 봐야지, 길가 가을잎을 살필 겨를이 없습니다.


  신영복 님은 《변방을 찾아서》(돌베개,2012)라는 책을 내놓으며 16쪽에서 “모든 교육은 인간교육이어야 하지 않을까.” 하고 말합니다. 참 맞는 말이로구나 싶어 무릎을 치지만, 이내 무릎을 살살 비빕니다. 사람을 가르치는 배움터가 아니라 한다면 학교라 하는 이름이 어울리지 않다고 느낍니다. 학교란, 사람을 가르치는 배움터입니다. 시험공부를 시켜 더 이름 높으며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보내려고 하는 데가 학교일 수 없어요.


  제가 살아가는 시골마을인 전남 고흥은 전라남도에서도 가장 외진 시골입니다. 해마다 사람 숫자가 사오천쯤 줄어드는 외진 시골입니다. 아직 어린이와 젊은이가 제법 남았으니 해마다 사오천쯤 사람들이 줄어든다 할 만할 텐데, 앞으로 열 해쯤 지나면 그때부터는 해마다 사오백쯤 줄어들겠지요.


  왜 이렇게 사람들이 줄어드는가 하면, 시골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마치기 무섭게 고향마을을 떠납니다. 시험공부 잘 하던 아이들은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가느라 시골을 떠나고, 시험공부 그럭저럭 하던 아이들은 도시에 있는 대학교에 가느라 시골을 떠납니다. 시험공부는 그닥 못하지만 실업계 학교를 다닌 아이들은 도시에 있는 공장에 일자리를 얻어 시골을 떠납니다. 그래서 시골에서는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마치면 거의 몽땅 도시로 가요.


  시골을 떠난 아이들은 시골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명절에도 바빠 웬만해서는 시골을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저는 두 아이와 함께 시골이 좋아 시골에 집을 얻어 살아가지만, 시골에서 나고 자란 다른 아이들은 도시에서 문화와 물질과 문명을 누리고 싶다고 말하면서 시골을 등집니다. 저는 두 아이와 함께 숲과 들과 바다를 언제나 누리니 즐겁지만, 시골에서 나고 자란 다른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유치원과 보육원을 오가며 외려 숲이나 들이나 바다도 누리지 않으면서 도시에서 지내고픈 꿈을 키운다고 합니다.


  정진국 님이 쓴 《사진가의 여행》(포토넷,2012)이라는 책 95쪽을 읽다가 “존은 다른 사람과 다른 세상을 만났을 때 서로 질겁하지 않고, 정답게 눈길을 주고받을 때에나 나올 만한 사진을 찍었다.” 하는 대목에 밑줄을 긋습니다. 도시나 시골이나 사람이 살아가는 곳입니다. 더 나은 곳이나 더 좋은 곳은 없습니다. 스스로 사랑할 때에 사랑스러운 삶터이고, 스스로 아낄 때에 살가운 보금자리요, 스스로 즐길 때에 아름다운 삶자리예요.


  고흥군은 어디나 정갈한 시골이라 국립공원입니다. 공장도 골프장도 고속도로도 널따란 찻길도 송전탑도 발전소도 없는 데는 한국에서 고흥군 빼고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곳 시골 아이들은 저희 고향마을이 어떠한 삶자락인지 느끼지 못해요. 중학생도 고등학생도 학교 기숙사에 머물며 ‘도시에 있는 대학교’에 붙는 입시공부에 바쁘거든요. 고흥과 이웃한 여수나 보성이나 장흥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서울로 가고 싶습니다. 서울로 못 가면 인천이나 부산이나 대전이라도 가고 싶습니다. 도시가 어떤 곳인지 모르면서 도시를 바라지만, 막상 시골이 어떤 곳인지조차 모르며 시골에서 살아가는 오늘을 누리지 못해요.


  노정임 님 글과 이경석 님 그림이 어우러진 《땅속에 누가 살아?》(웃는돌고래,2012)라는 어린이책을 읽다가 62쪽에 나오는 “이렇게 동식물과 바위의 가루로 만들어진 흙들이 다 섞여서 지구를 덮고 있는 흙이 되어요.” 하는 대목을 가만히 되새깁니다. 흙이 있어야 논밭과 멧자락과 갯벌이 있어요. 논밭과 멧자락과 갯벌이 있어야 우리 먹을거리를 얻어요. 시골 아이가 도시로 간다 하더라도 시골이 있어야 밥을 먹고 삶을 누려요. 시골 아이가 시골을 떠나도 누군가 시골을 지켜야 사람들이 숨쉬고 살아갈 수 있어요. 씩씩한 시골아이는 어디에 있을까요. (4345.10.26.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