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과 작은 새 웅진 세계그림책 126
유모토 카즈미 지음, 고향옥 옮김, 사카이 고마코 그림 / 웅진주니어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고개를 들어 맡는 풀내음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188] 사카이 고마코·유모토 가즈미, 《곰과 작은 새》(웅진주니어,2009)

 


  깊은 밤에 문득 잠에서 깹니다. 옆에 누운 큰아이 몸을 살짝 만집니다. 더운 날씨에 땀이 돋는가를 살핍니다. 땀은 안 돋았는데 바지가 축축합니다. 저런, 자면서 쉬를 누었구나. 이불도 흠뻑 젖었습니다. 곯아떨어진 아이 바지와 속옷을 벗기고 웃도리까지 벗깁니다. 새 바지와 웃옷을 입힙니다. 큰아이는 잠결에 젖은 옷을 잘 벗고 새 옷을 잘 입습니다.


  나는 밤에 일어난 김에 땀으로 젖은 몸을 씻습니다. 찬물로 몸을 씻으면서 큰아이 오줌옷을 빨래합니다. 밤오줌 잘 가리는 큰아이인데 어제 하루 참 많이 뛰놀았는가 하고 돌아봅니다. 큰아이가 낮잠을 자고, 밤에 일찍 자도록 어버이로서 조금 더 마음을 기울여야 할 노릇이라고 깨닫습니다. 아침에 아이가 일어나고 난 다음, 하루 동안 어떻게 보내면 좋을까 하고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혼자 꾸리는 살림이 아니요, 홀로 살아가는 하루가 아닙니다. 네 식구 함께 꾸리는 살림이며, 네 식구 나란히 살아가는 하루입니다. 이 흐름과 결을 곱게 살필 줄 알아야 비로소 어버이라는 이름을 쓸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곰은 숲에 있는 나무를 잘라 조그만 상자를 만들었어요. 나무 열매즙으로 상자를 예쁘게 칠하고, 안에 꽃잎을 가득 깔았지요. 그리고 곰은 작은 새를 살포시 상자 안에 눕혔어요 ..  (4쪽)

 

 


  지난밤 작은아이를 안고 대문 밖으로 나와 논둑에 서서 자장노래를 한참 불렀습니다. 작은아이는 천천히 천천히 잠들어 줍니다. 두 눈을 사르르 감은 모습을 한동안 지켜보고는 노래 몇 가락 더 부른 다음 걸음을 천천히 천천히 옮겨 집으로 들어옵니다. 그런데 집안에서 누나랑 어머니 목소리가 들리니, 이 소리를 듣고는 작은아이가 눈을 번쩍 뜹니다. 다시 재우려 해도 다시 잠들려 하지 않습니다.


  마당에 있는 평상에 눕혀 더 재우고 들어왔으면 되었을까, 내가 더 안고 마을 한 바퀴 빙 돌고 들어왔으면 되었을까, 곰곰이 헤아립니다.


  먹이고 입히며 재웁니다. 먹고 입고 잡니다. 하루를 보냅니다. 하루를 누립니다. 날마다 어떤 일 한 가지를 하자고 생각하는데, 날마다 맞이하거나 치르는 일이 나한테 얼마나 대수로울까 궁금합니다. 어찌 되든 나는 내가 가장 즐겁게 잘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하면서 하루를 보낼 노릇이고, 집식구 또한 저마다 가장 즐겁게 누릴 삶길을 맞아들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 모두 ‘오늘 아침’이야. 그러니까 우리는 늘 ‘오늘 아침’에 있는 거야. 언제나 함께 말이야 ..  (8쪽)

 


  고개를 들면 풀내음을 맡습니다. 집 둘레로는 온통 풀입니다. 이웃집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심은 벼도 풀이고, 푸성귀도 풀입니다. 풀섶에서 풀벌레가 노래합니다. 풀벌레는 살 만한 풀섶에서 살아갑니다. 그러니까, 풀약을 치지 않는 데에서 살아가며 노래합니다.


  마을 어르신들이 논이나 밭에 풀약을 치면 풀벌레는 어느새 조용해집니다. 풀벌레는 들풀과 함께 풀약을 마시고 죽습니다. 레이첼 카슨이라는 사람이었던가요, ‘소리가 사라진 숲’을 이야기하면서, 사람들이 풀약(제초제)을 함부로 쓰다가는 사람 스스로 사라지고 만다고 밝혔는데, 이렇게 밝힌 지 쉰 해가 훨씬 지났어도, 오늘날 한국땅 삶자락은 그리 달라지지 않습니다. 아름답고 즐겁게 누리는 삶이 아니라, 오직 숫자와 경제라는 이름과 허울을 따집니다.


  왜 논과 밭에 풀약을 쳐야 할까요. 왜 풀을 잡으려 할까요. 먼먼 옛날 사람들도 풀을 잡느라 땀을 흘렸을까요. 풀을 잡는다고 하지만, 정작 ‘김매기’로 뽑아서 버리는 풀이란 모두 ‘먹는 풀’이거나 ‘옷을 짓는 실을 얻는 풀’이기 일쑤예요. 그러니까, ‘돈으로 사고파는 쓸모’가 적다고 여기는 오늘날이기에, 이들 풀을 몽땅 풀약을 쳐서 죽이려 해요.


  논둑에서는 미나리도 모시풀도 질경이도 씀바귀도 모두 잡풀입니다. 밭둑에서는 쑥도 까마중도 피마자도 모두 잡풀입니다. 멀리서 바라보자면 논이나 밭은 온통 ‘한 가지 풀빛’입니다. 논이든 밭이든 한 가지 풀만 심어서 키우니 한 가지 풀빛입니다. 논이든 밭이든 한 가지 풀만 가지런히 심깁니다. 저마다 제 모습을 제 깜냥껏 빛내지 못합니다.


.. 곰은 걷기 시작했어요. 숲 속을 빠져나와 강둑 위에 올라갔어요. 풀은 푸르게 우거졌고, 강물은 반짝반짝 빛났지요 ..  (20쪽)

 


  사람들 스스로 쓸모를 찾지 않으면 대나무는 잡나무가 됩니다. 사람들 스스로 찾을모를 헤아리지 않으면 굴참나무이든 떡갈나무이든 잡나무가 됩니다.


  시골에서는 들판과 멧골이 풀약으로 몸앓이를 합니다. 도시에서는 풀과 나무가 자랄 땅뙈기가 없이 시멘트와 아스팔트입니다. 그래도 풀벌레는 풀약 기운이 사그라드는 즈음 새롭게 태어나서 새롭게 노래를 부릅니다. 풀섶에 그예 꾸준하게 풀약을 치는 사람들한테 새삼스레 새 노래를 불러 줍니다. 사람들이 슬기롭게 꿈을 꾸며, 사람들이 사랑스레 삶을 짓기를 빌듯 노래를 불러 주는 풀벌레입니다.


  고개를 들면 풀내음을 맡습니다. 풀약 기운이 서린 풀내음도 맡고, 풀약 기운이 없는 풀내음도 맡습니다. 풀벌레가 가득 모여 저마다 다른 목청으로 빚는 노래를 듣습니다. 풀벌레 노랫소리는 한여름 밤을 빛내는 소리일 뿐 아니라, 한여름 무더위를 잊고 새근새근 잠들도록 돕는 손길입니다.


.. 숲 속에는 언제나 환하게 볕이 드는 곳이 있습니다. 작은 새와 함께 해바라기를 하던 곳이에요. 곰은 그곳에 작은 새를 묻었지요. “나, 이제 울지 않을래. 작은 새는 앞으로도 계속 내 친구니까.” ..  (38쪽)

 

 


  유모토 가즈미 님 글에 사카이 고마코 님 그림이 어우러진 그림책 《곰과 작은 새》(웅진주니어,2009)를 읽습니다. 곰과 작은 새는 동무입니다. 서로 숲에서 꿈과 사랑과 믿음을 나누던 동무입니다. 숲에서 작은 살림 꾸리며 함께 먹고 입으며 잠자면 넉넉한 삶입니다. 서로 노래하고 같이 춤추며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나날은 즐겁습니다.


  그런데 작은 새가 죽습니다. 날마다 새로 맞이하는 좋은 날이었는데, 곰은 그만 삶동무를 잃고는 넋을 잃습니다. 아, 삶동무는 그예 사라졌을까요. 내 눈앞에 보이지 않는, 핏기 없이 차갑게 굳은 몸뚱이는, 이제 삶동무는 어디에도 없는 곰은 외톨이가 되었을까요.


  몸은 무엇이고 마음은 무엇일까요. 주검을 작은 상자에 담아 언제나 건사한대서 삶동무는 노래하거나 춤추거나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고개를 들어야 해요. 고개를 들어 풀내음을 맡아야 해요. 작은 새와 곰이 서로 삶동무일 수 있던 까닭은 ‘몸’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에요. 작은 새와 곰은 서로 ‘마음’으로 만나 ‘사랑’을 빚었기에 삶동무였어요. 온누리를 떠돌던 길고양이가 악기를 켜서 노래를 들려줄 때에, 곰은 비로소 무언가 느낍니다. 곰과 작은 새가 날마다 즐겁게 어우러지며 살아갈 수 있던 까닭은 서로를 ‘눈으로 바라보’며 웃을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니에요. 몸과 몸이 한 자리에 있기도 했지만, 바로 마음과 마음이 어깨동무를 하면서 사랑을 지었기 때문이에요.


  사랑이 있을 때에는 저 멀다 싶은 곳에 떨어졌어도 삶동무예요. 사랑이 있기에 언제나 그릴 수 있고 생각할 수 있으며 함께할 수 있어요. 마음으로 만나고 마음으로 일구는 삶이요 살림이에요. 이제 곰은 그동안 숲에서 얼마나 좋은 풀내음 맡으며 살았는가를 새삼스레 깨닫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고운 풀내음을 새롭게 맡으며 살아갈 나날인가를 헤아립니다. 자리를 씩씩하게 털고 일어납니다. 마음속에 꿈씨앗 하나 심습니다. (4345.8.21.불.ㅎㄲㅅㄱ)

 


― 곰과 작은 새 (사카이 고마코 그림,유모토 가즈미 글,고향옥 옮김,웅진주니어 펴냄,2009.4.30./85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