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말 ‘존재’가 어지럽히는 말과 삶
(160) 존재 160 : 무언가에 속해 있는 존재
우리의 본성과 우리가 해 온 여행 덕분에 우리는 우리가 무언가에 속해 있는 존재임을 깊이 알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본성(本性)과”는 “우리 마음과”나 “우리 참마음과”나 “우리 속마음과”나 “우리 밑마음과”로 다듬을 수 있고, “해 온 여행(旅行) 덕분(德分)에”는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짚으며”나 “우리가 걸어온 길을 헤아리며”나 “우리가 디딘 발자국을 톺아보며”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속(屬)해 있는”은 “깃든”이나 “하나된”으로 손볼 수 있고, “알게 되어 있습니다”는 “알 수 있습니다”로 손볼 수 있어요.
한 사람이 살아가는 길을 돌아보는 글월이기에 낱말과 말투를 한결 찬찬히 돌아봅니다. 더 깊이 생각하고 더 넓게 헤아립니다. 더 찬찬히 살피고 더 상냥히 가다듬습니다.
내 밑바탕이 되는 모습은 밑모습이라 할 만할까요. 내 밑바탕이 되는 넋이라면 밑넋이라 하면 될까요. 내 밑바탕이 되는 마음이라면 밑마음이라 하고, 내 밑바탕이 되는 생각이라면 밑생각이라 하면 되나요.
국어사전에 담긴 낱말을 헤아리고, 국어사전에 안 담겼으나 내 가슴속에 깃들어 숨쉬는 낱말을 헤아립니다. 나는 어디로든 씩씩하게 걸어갑니다. 내가 걷는 이 씩씩한 길은 나들이가 되기도 하지만, 마실이 되기도 하며, 들놀이나 숲놀이가 되기도 합니다. 나는 길을 걸어가며 발자국을 남깁니다. 내 발자국은 발자취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어느 한 곳에 깃든 내 몸일 수 있어요. 어느 한 곳에 들어가는 내 몸일 수 있어요. 어디에도 들어가지 않거나 깃들지 않으며 홀가분한 내 몸일 수 있어요.
알고 싶은 이야기를 천천히 깨닫습니다. 알고픈 꿈을 시나브로 깨닫습니다. 말이 빛나면서 넋이 빛납니다. 넋이 빛나면서 말이 빛납니다. 스스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스스로 가장 고운 생각을 일구며, 스스로 가장 예쁜 말주머니를 엮습니다.
무언가에 속해 있는 존재임을
→ 무언가에 깃들어 살아가는 줄
→ 무언가 되어 살아가는 줄
…
우리는 저마다 어떻게 살아가는 사람일까 생각합니다. 우리는 저마다 어떠한 사람이 되어 마음을 빛낼까 생각합니다. 내가 이웃이나 동무한테 들려주는 말은 얼마나 곱게 빛나는 말일까 생각합니다. 내가 손을 놀려 쓰는 글에 담기는 이야기는 얼마나 아리땁고 환하며 맑을까 생각합니다. (4345.7.30.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우리 밑마음과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짚으면서, 우리는 우리가 무엇이 되어 살아가는 줄 깊이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