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네버랜드 과학 그림책 9
히라야마 가즈코 글 그림, 기타무라 시로 감수, 이선아 옮김 / 시공주니어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맛있는 민들레 먹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177]] 히라야마 가즈코, 《민들레》(시공주니어,2003)

 


  민들레는 한국에서도 자라고 일본과 중국에서도 자랍니다. 한국땅에서 자라는 오래된 민들레 말고 ‘서양민들레’라 일컫는 민들레도 있으니, 미국이나 유럽이나 인도나 브라질이나 필리핀처럼, 한국에서 퍽 멀다 싶은 나라에서도 민들레는 씩씩하게 뿌리를 내리며 자라기도 할까 궁금합니다.


  한국에서는 퍽 먼 옛날부터 민들레를 나물로 먹었습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어떠했을까요. 한국에서도 함께 자라는 서양민들레는 서양에서 나물로 삼은 풀 가운데 하나였을까요, 아니면 그냥 여느 들풀이었을까요.


.. 민들레를 본 적이 있나요? 어디서 보았나요? ..  (2∼3쪽)

 


  한국땅 옛사람은 민들레뿐 아니라 온갖 풀을 나물로 삼아 먹었습니다. 날로 먹고 무쳐서 먹으며 끓여서 먹습니다. 말려서 먹고 삭혀서 먹으며 달여서 먹어요. 오늘날은 풀물을 짜는 기계가 있는데, 옛날에는 절구로 빻거나 멧돌로 갈면서 풀물을 얻었을까 궁금합니다. 아니면 풀죽만 끓여서 먹었을까 궁금해요.


  그런데 한국땅 곳곳이 도시로 바뀌고, 도시는 더 큰 도시가 되며, 시골 읍내 또한 차츰 도시로 바뀝니다. 도시가 늘고, 도시 학교가 늘며, 도시사람이 느는 동안, 민들레를 나물 아닌 꽃으로 여겨 버릇합니다. 요즈음 아이들 가운데 민들레를 바라보며 ‘맛있겠다’ 하고 생각할 아이는 몇이나 있을까요. 요즈음 어른들 가운데 민들레를 바라보며 ‘맛있겠네’ 하고 생각하며 곧장 캐거나 잘라서 챙길 어른은 얼마나 있을까요.


.. 날씨가 따뜻해지면, 민들레는 새잎을 틔우며 일어나요 ..  (7쪽)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라는 민들레입니다. 뿌리가 쉬 뽑히지 않을 뿐 아니라, 뿌리가 잘려도 다시 새 뿌리를 내리고 새 줄기를 올리는 민들레입니다. 요즈음 사람들이 즐겨먹는 상추처럼, 뜯어도 뜯어도 다시 돋습니다. 캐고 캐도 다시 자랍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자라고 다시 자라요. 한 마디로, 언제나 들판에 차려진 좋은 먹을거리로 삼을 만합니다. 언제라도 들판으로 나들이하며 바구니를 채울 좋은 먹을거리가 될 만합니다.


  그런데, 민들레만 이처럼 씩씩하게 다시 돋지 않아요. 수많은 풀들이 씩씩하게 다시 돋아요. 나무도 이와 같습니다. 커다란 줄기가 잘리더라도 새싹이 돋고 새 줄기가 납니다. 커다란 가지가 잘린다 하더라도 새싹이 새삼스레 돋고 새 가지가 차츰 뻗어요.


  풀은 늘 자랍니다. 나무는 늘 자랍니다. 사람도 늘 자랍니다. 아이도 어른도 늘 자랍니다. 몸이 자라고 마음이 자랍니다. 사람 몸뚱이는 어느 만큼 늙으면 흙으로 돌아가는데, 몸뚱이는 흙으로 돌아가더라도 넋은 고이 이어집니다. 풀과 나무도 이와 같겠지요. 열매를 남기고 씨앗을 맺으면서 옛 몸뚱이인 잎사귀와 줄기는 흙으로 돌려보낸 다음, 이듬해 다시 따사로운 봄이 찾아들면 새 몸뚱이인 잎사귀와 줄기가 돋으면서 새 꽃이 피어요.


.. 잎이 뜯기거나 짓밟혀도 뿌리는 살아 있어요. 자꾸자꾸 새로운 잎을 만들어 내지요. 뿌리를 잘라 땅에 심으면 머지않아 잎이 돋아 한 포기 민들레로 자라난답니다 ..  (11쪽)

 

 


  맛있는 민들레를 먹습니다. 맛있는 민들레는 내 몸에서 좋은 기운으로 숨쉽니다. 민들레는 내가 되고, 나는 민들레가 됩니다. 민들레는 내 몸에 섞이고, 내 몸은 민들레와 하나가 됩니다. 내가 먹는 밥이 내 몸을 이루며, 내가 먹는 밥으로 얻은 기운으로 내 넋을 살찌웁니다. 곧, 민들레 풀줄기와 풀잎과 꽃봉오리는 내 고운 넋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나는 민들레를 먹으며 곱게 숨쉬고, 나는 민들레를 바라보며 내 목숨을 이어 주어 고맙다고 인사합니다.


  가지도 냉이도 오이도 고맙습니다. 감자도 고구마도 쌀도 보리도 고맙습니다. 옥수수도 무화과도 감도 딸기도 고맙습니다. 모두 고맙게 스며듭니다. 모두 고맙게 빛납니다. 지구별은 푸른 빛깔 뽐내는 풀들이 어깨동무하면서 환합니다. 들판도 환하고, 들판에 보금자리를 마련하며 마을을 이루는 사람들도 환합니다. 햇빛이 환하고 꽃빛이 환하며 사람들 눈빛이 환합니다.


  저마다 좋은 마음으로 좋은 하루를 누립니다. 풀은 풀대로 좋은 삶을 누립니다. 나무는 나무대로 좋은 삶을 누립니다. 사람은 사람대로 좋은 삶을 누립니다. ‘맨드레미’라고도 하고 ‘말똥굴레’라고도 한다는 민들레인데, 고장마다 마을마다 사람마다 다 달리 이름을 붙이며 좋은 삶벗으로 삼았으리라 생각합니다.


.. 꽃받침은 열매를 단단히 감싸 지켜 줘요. 열매가 익으면 꽃줄기는 다시 일어서서 높이 뻗어 올라요 ..  (18∼19쪽)

 


  일본에서 1972년에 처음 나왔다는 그림책 《민들레》(시공주니어)는 한국에서 2003년에 옮겨집니다. 서른한 해만입니다. 일본사람 히라야마 가즈코 님은 일본 아이들이 ‘일본 민들레’를 ‘일본 들판’이나 ‘일본 마을’에서 예쁘게 아낄 수 있기를 꿈꾸며 이 그림책을 빚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오래된 그림이라 할 테지만, 사랑스러움이 깃듭니다. 묵은 그림책이라 하겠으나, 따스함이 감돕니다. 요즈음 사람들이 새 그림결로 새삼스레 그리기 쉬운 민들레라 할 테지만, 제아무리 예쁘장하게 그린다 하더라도 사랑스러움과 따스함을 담지 못한다면, 즐거이 누릴 만한 그림책으로 태어나지는 못합니다. 그러니까, 그림책이라 한다면 무엇보다 사랑스러움과 따스함을 담아야 해요. 아이와 어른이 나란히 즐기는 그림책이 되자면, 바로 좋은 꿈과 이야기를 실어야 해요.


  자연을 가만히 들여다보며 과학을 살피는 길만 보여줄 때에는 즐겁다 여길 만한 그림책이 아닙니다. 자연은 자연과학이 아닌 자연이거든요. 아이들한테는 과학지식이 아닌 삶이 아름답거든요.


  아이들은 굳이 민들레 한살이를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한국민들레와 서양민들레를 나누어 살필 수 있대서 민들레를 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참말 민들레를 알고 싶다면, 민들레잎을 뜯어서 먹으면 돼요. 민들레 뿌리랑 꽃대랑 열매를 나란히 풀물로 짜서 마시거나 풀죽을 쑤어서 먹거나 풀지짐을 마련해 즐기면 돼요. 녹두지짐과 감자지짐처럼 민들레지짐을 먹지요. 녹두떡이나 감자떡처럼 민들레떡을 먹지요.


  그림책은 삶을 그립니다. 그림책은 사랑을 그립니다. 그림책은 사람들이 예쁘게 일구는 삶을 그립니다. 그림책은 사람들이 즐거이 나누는 사랑을 그립니다. 오늘날 한국땅 여느 어른들이 여느 민들레를 좋은 삶벗으로 삼아 그림책 하나 어여삐 빚는다면, 이 또한 ‘좋은 삶벗으로 어깨동무할’ 이야기꾸러미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4345.6.23.흙.ㅎㄲㅅㄱ)

 


― 민들레 (히라야마 가즈코 글·그림,이선아 옮김,시공주니어 펴냄,2003.6.1./7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