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쫑 뽑는 책읽기
우리 집 대문을 열면 논이 넓게 펼쳐진다. 집 앞부터 논이요, 앞논을 지나 다시 논이고, 저 멀리 멧자락까지 그예 논이다. 왼쪽으로 이웃집을 지나 마을회관 옆으로도 온통 논이다. 논은 죽죽 돌로 쌓은 울에 맞추어 섬돌처럼 차곡차곡 포개어진다. 살림집에서 멧줄기 쪽으로 비탈이 진 자리에는 차곡차곡 밭이 이루어진다. 가을날 벼를 베고 난 뒤, 마을 안쪽 논은 마늘밭으로 바뀐다. 마늘이 한창 무르익던 오월 한복판, 마늘밭 할머님은 우리더러 마늘쫑 뽑아 가라 말씀한다. 나중에 마늘뽑기 일을 조금 거들며 살피니, 할머니도 할아버지도 마늘쫑까지 따로 뽑아서 내다 팔 만큼 일손을 나누지 못한다. 할머니 할아버지 드실 만큼만 뽑고 나머지는 그냥 버린다. 마늘 꽃대라 할 마늘쫑을 뽑아서도 버리고 그냥 두었다가 마늘을 캐고.
마늘쫑을 뽑을 때에는 땅속에 뿌리내린 마늘 알씨부터 올라오는 풀기운을 느낀다. 뽁 뽁 소리내며 뽑히는 마늘쫑 끝자락마다 물방울이 말갛게 진다. 마늘밭 둘레에 서기만 하더라도 마늘내음이 가득 퍼지는데, 마늘쫑을 뽑노라면 한결 짙은 마늘내음이 온 들판을 감돈다. 마늘쫑 뽑기는 다섯 살 아이도 어렵잖이 할 만하다. 한창 바쁜 일철에는 부지깽이마저 일손을 거든다 했으니, 다섯 살이든 여섯 살이든, 아이들은 얼마나 고마우며 놀랍고 멋스러운 두레 일꾼이었을까. 일을 한 가득 하지는 못하지만, 조금조금 일을 바라보고 익히는 동안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까르르 웃는다. 아이 몇이 논둑이나 밭둑에 얼크러져 서로 놀기만 하더라도 웬만한 장구잽이는 저리 가라 할 만큼 신이 나고 재미있다. 노래하는 손이 노래하듯 마늘쫑을 뽑는다. 춤추는 손이 춤추듯 마늘쫑을 뽑는다. 웃음 어린 손이 웃음을 품으며 마늘쫑을 뽑는다. (4345.6.17.해.ㅎㄲㅅ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