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stella.K님의 "▶◀ 댓글창을 열어 두겠습니다"

 

알라딘이라는 서비스를 본다면,
알라딘서재는 '공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알라딘 사용자'로서 서재인이 되면,
'공간을 무료로 받아서 쓰는' 일이 아니라,
'알라딘 광고와 트래픽 발생'을 해 주면서
알라딘 기업에 간접광고와 회사이익창출을 해 주어요.

 

어떠한 포털사이트도 개개인한테 공짜로 자리를 주지 않아요.
모두 간접광고와 여러모로 포털 회사 이익에 이바지를 해요.

 

'알라딘 뉴스레터'는
제가 보기로는 '2중으로 알라딘 이익'을 '대가를 안 치르고'
쓰는 셈이 아닌가 싶어요.

 

'뉴스레터'는 영어 이름을 붙였습니다만,
틀림없이 '사외보' 성격이거든요.
뉴스레터는 사외보와 마찬가지이고,
여기에 알라딘 광고 구실까지 한다면,
이러한 인터넷'매체'를 발행해서 회원한테 보낸다면,
이에 걸맞게 '저작권 사용료'를 물어야 해요.


(왜냐하면, 뉴스레터는 '책 파는 도움 구실'을 하니,
 이렇게 뉴스레터를 발행하면서 이에 걸맞게
 뉴스레터 저작권자 사용료를 안 주는 일은
 참말 앞뒤 안 맞는 엉뚱한 노릇입니다)

 

다만, 한국은 아직 저작권 문화가 제대로 자리잡히지 않았으니
너무 엉터리로 이루어지는 일이 많아요.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어느 책에 실린 글월 한 줄을 읽'어도
이렇게 읽은 저작권료를 치르도록 법으로 규정합니다.
예전에는 라디오 방송에서 책 구절을 '저작권료' 안 치르고 읽었지만,
이제는, 어느 책에서 인용해서 읽더라도
반드시 저작권료를 치러야 하고,
저작권료를 안 치르고 방송에서 책 본문을 한 줄이라도 읽거나,
또 사진을 쓴다면,
이를 법으로 제소하면 모두 범법이 되거든요.

 

..

 

그런데, 저는 이런 댓글을,
우리가 '알라딘 회사한테서 돈을 받아내자'는 뜻으로 쓰지 않았어요.

 

알라딘 회사가 사고파는 주된 물품이 '책'인 만큼,
책을 제대로 아끼고 사랑하면서,
책을 좋아하는 알라딘 이용자인 우리들이
더 즐겁고 더 오붓하게
알라딘 서재마을을 누릴 수 있는 길을
슬기롭게 잘 연다면 참말 좋겠다고 생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