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가는 말 93] 보금자리

 

  ‘비오톱(biotop)’이 있습니다. 이 말을 들으면서, 또 이 말이 무엇을 뜻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한참 알아듣지 못합니다. 우리 나라에 언제부터 이 낱말이 들어와 공공기관과 대학교와 시민모임에서 쓰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 낱말을 들여오면서 학자나 전문가나 기자나 교사뿐 아니라, 도시에서 조용히 살아가는 여느 사람들과 시골에서 고요히 흙을 일구는 사람들 누구나 쉽고 즐거우며 아름다이 알아들을 만한 낱말로 걸러내거나 새로 빚지 못했습니다. 작은 벌레가 살고, 작은 나무가 살며, 작은 꽃이 피어납니다. 사람이 살고, 작은 짐승이 살며, 작은 벌과 나비가 드나듭니다. 흙이 있고, 물이 있으며, 햇살과 바람이 있습니다. 뭇목숨이 저마다 살아갈 만한 터전인가를 돌아봅니다. 그래, 그렇지요. 우리 네 식구 살아가는 작은 시골집 처마에 제비가 옛 둥지를 손질해 우리랑 함께 살아갑니다. 어미 제비 둘은 알을 까서 새끼를 먹입니다. 암수 제비 둘은 먹이를 찾아 바지런히 온 들판을 누빕니다. 제비는 도시에서는 살아가지 못하겠지요. 제비는 도시에서 먹이를 찾기 힘들겠지요. 도시는 사람들끼리 돈을 더 만들려 애쓰는 곳이니, 작은 땅뙈기, 작은 들판, 작은 숲, 작은 나무 한 그루 가만히 깃들 빈터조차 받아들이지 않거든요. 더 많은 돈보다 더 즐거울 삶을 생각하는 작은 사람은 시골에서 흙을 퍼 옮겨 작은 마당과 작은 꽃그릇을 가꾸는데, 이 같은 작은 손길이 없다면 도시사람은 푸른 숨결 한 번 못 느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 그렇지요. 저마다 사랑하며 살아갈 보금자리입니다. 사람도 보금자리요, 나무도 보금자리이며, 벌레도 보금자리입니다. ‘비오톱(biotop)’이라는 낱말 빚은 어느 독일사람은 틀림없이 ‘보금자리’를 헤아렸겠지요. (4345.5.2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