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밭 2
땡볕을 고스란히 쬐며 마늘밭에서 일한다. 마늘밭에는 햇볕을 가릴 데가 없다. 논이든 밭이든 볕이 잘 들도록 마련하는 만큼 그늘 지는 자리가 없다. 밭둑 한켠에 잎사귀 우거지는 나무 한 그루 있으면 참 좋겠다 생각하지만, 잎사귀 우거지는 나무 한 그루 있으면 옆 밭이나 논에 그늘을 드리우겠지.
한 조각이라도 더 논이나 밭으로 삼으려고 애쓴 끝에 나무그늘 없는 논둑과 밭둑이 되었는지 모른다. 먼먼 옛날에는 논둑이나 밭둑에 으레 나무가 줄을 짓고, 논일이나 밭일을 하는 틈틈이 나무그늘에 앉아 시원스레 부는 바람을 맞으며 땀을 훔쳤을는지 모른다.
전쟁도 부역도 세금도 없이, 작은 마을 작은 살림집 조용하면서 따사로이 살아갔을 지난날을 돌이킨다. 흙에 깃들며 흙을 먹고 흙을 만지는 사람들한테 얄딱구리한 ‘병’이 생길 까닭이 없다. 따지고 보면, 한겨레 말마디에 ‘병(病)’은 없다. 이 낱말은 중국에서 건너왔고, 한자를 쓰는 임금님이나 권력자와 부자한테만 쓰일 뿐이었다. 흙사람은 때때로 ‘앓이’가 있었고 ‘아프’곤 했다. 정부가 서고 세금이 생기며 전쟁과 부역을 자꾸 일으키니, 수수하고 투박한 흙사람은 ‘일이 고된 나머지’ 앓고 아파야 했다.
쑥과 마늘을 백 날 동안 먹은 곰은 사람이 되었다 했다. 쑥이며 마늘은 한겨레 삶에서 얼마나 오래된 먹을거리일까. 시골 어른들은 쑥을 그냥 쑥이라 일컫지 않고 ‘약쑥’이라 일컫는다. 그러고 보면, 비료나 항생제나 풀약을 안 쓰고, 나아가 비닐까지 안 쓰며 거두는 마늘이라 한다면 참말 ‘약마늘’이리라 생각한다. 먼먼 옛날, 나라도 정부도 권력자도 부자도 없이, 작은 마을 작은 살림집으로 이루어졌을 흙터에서는 미움도 생채기도 아픔도 전쟁도 없이, 온통 사랑과 꿈과 믿음과 어여쁜 노랫소리 가득했으리라 느낀다. 마늘밭에서 뒹굴던 내 발바닥이 이 흙밭에 서린 옛이야기 한 자락 들려준다. (4345.5.23.물.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