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명의 보도사진 강의 - 심장으로 진실의 순간을 포착하라
오동명 지음 / 시대의창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작가 되고 싶은 젊은이한테
 [찾아 읽는 사진책 98] 오동명, 《오동명의 보도사진 강의》(시대의창,2010)

 


  대학교 사진학과를 다닌대서 ‘사진작가’가 될 수 있지 않습니다. 대학교 사진학과를 다니지 않았대서 ‘사진쟁이’가 될 수 없지 않습니다. 스스로 ‘사진 찍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스스로 사진을 찍으며 살아가면 됩니다. 졸업장은 사진작가 이름표가 아닙니다. 자격증은 사진쟁이 딱지가 아니에요. 어느 이름난 사진쟁이한테서 사진을 배웠으니까 ‘사진 찍는 사람’이라고 내세울 수 있지 않습니다. 값나가는 사진장비를 갖추었으니 ‘사진작가’라고 우쭐거리거나 자랑할 수 있지 않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에 사진작가입니다. 사진을 좋아할 때에 사진쟁이입니다. 사진을 사랑하며 사진과 함께 살아갈 때에 ‘사진 찍는 사람’입니다.


  수십만 원이나 수백만 원이나 수천만 원에 이르는 사진장비를 갖출 때에만 사진을 찍지 않습니다. 편의점에서 1회용 사진기를 장만할 때에도 사진을 찍습니다. 손전화 기계로도 사진을 찍습니다. 놀이공원 같은 데에서 ‘기념사진 찍어 주는 이’한테 얘기해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연필과 종이가 있으면 그림을 그린다 합니다. 그런데, 종이가 없더라도, 또 연필이 없더라도, 흙바닥에 나뭇가지로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돌멩이로 돌벽에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조개껍데기로 모래밭에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오래오래 남길 수 있어야 그림이 아닙니다. 오래도록 남기는 작품을 빚어야 그림쟁이가 되지 않습니다.


  연필에 종이를 갖추면 글을 쓴다 하지요. 그러나, 종이가 없어도, 또 연필이 없어도, 입으로 종알종알 이야기꽃 피우며 글을 쓸 수 있어요. 내 마음속에 이야기보따리를 갖추어, 언제 어디에서라도 말꽃을 피우는 ‘말글’을 쓸 수 있어요. 따로 책으로 묶어야 글쟁이가 아닙니다. 어느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실어야 ‘글 쓰는 사람’이 되지 않아요.


  오동명 님이 대학교에서 한 해 동안 맡은 사진강의 이야기를 갈무리한 《오동명의 보도사진 강의》(시대의창,2010)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사진강의는 이 책처럼 대학교에서 교수 한 사람이 학생을 그러모아 조곤조곤 생각을 들려주거나 실기 수업을 하며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다만, “이들은 하나같이 사진 한 장이 글 백 마디보다 힘이 세다고 주장하는데, 제때 제대로 활용했을 때에만 올바른 힘이 됩니다(15쪽).” 하는 말처럼, 사진을 사진답게 바라보면서 사진을 사진다이 다룰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사진강의’가 된다고 느껴요.


  오동명 님은 “사진 기술이 뛰어난 사람은 많습니다(18쪽).” 하고 말합니다. 누구라도 이처럼 말해요. 사진기라는 기계를 잘 다루는 사람은 많다고 흔히 말해요. 곧, 사진기를 잘 다룰 줄 알거나, 값지거나 값비싼 사진장비를 갖춘다 해서 ‘사진찍기(창작)’를 한다 말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곧, 대학교 사진학과를 마쳤다든지 나라밖으로 사진공부를 다녀왔다든지 했기에 ‘사진읽기(비평)’를 한다 말할 수 없다는 뜻이에요.

 

 

 

 


  사진기를 쥔 사람 스스로 삶이 있어야 사진을 새로 찍습니다(창작). 사진책과 사진작품을 바라보는 사람 스스로 삶을 누려야 사진을 새로 바라봅니다(비평).


  이리하여, 오동명 님은 “글쓰기 능력은 사진기자가 기본으로 갖춰야 하는 것입니다(62쪽).” 하고 덧붙입니다. 아주 마땅한 노릇인데, 글을 쓸 줄 알아야 사진을 찍을 줄 알아요. 책을 읽을 줄 알아야 사진을 읽을 줄 알아요. 글은 못 쓰면서 사진만 잘 찍지 않습니다. 책은 읽을 줄 모르면서 사진만 잘 읽지 않습니다.


  달리 얘기하자면, 나 스스로 내 삶이 있어야 ‘내 사진기로 바라보는 내 이웃들 삶이 어떠한가를 느끼면서 읽고 사진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내 사랑을 빛내야 ‘내 사진기로 담는 사진 한 장에 사랑 한 자락 실을’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삶이 없을 때에는 사진을 못 찍고 못 읽습니다. 나 스스로 사랑을 꽃피우지 않을 때에는 사진을 못 이루고 못 나눕니다.


  이제 사진교수 일을 하는 오동명 님은 “더러웠던 건 100달러라는 문명의 관습으로 그들을 현혹하려 했던 알량한 우리였고, 더 미개했던 것 역시 편협하게, 오히려 외양으로만 그들을 단정해 왔던 우리였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100쪽).” 하고 뉘우칩니다. 스스로 뉘우칠 줄 아는 까닭은, 스스로 오동명 님 삶을 읽을 줄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인을 찍은 사진 대부분이 그럴듯해 보이는 까닭은, 사진가의 촬영 능력보다는 노인의 주름이 전하는 삶의 궤적의 힘이 크기 때문입니다 … 아쉽게도 노출과 구도 등으로 기계적 멋만 잔뜩 부린 패션사진이 너무 흔합니다. 괴이함을 독특함으로 혼돈하기 때문입니다(109쪽).” 하고 외칠 수 있습니다. 누구보다 오동명 님 스스로 ‘기계자랑’이나 ‘기계멋’을 부리지 않겠다고 외칠 수 있어요. 남들 얘기가 아니라 오동명 님 스스로 ‘할머니 할아버지 주름살 깊이가 들려주는 꿈’이 사진에서 새롭게 피어날 수 있도록 하고프다는 마음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오동명 님한테서 사진을 배운 학생들은 무엇을 느끼거나 배웠을까요. “연출을 자연스럽게? 자연스러운 연출은 있을 수 없지요. 연출은 연출일 뿐입니다(123쪽).” 하는 이야기를 들은 학생들은 무엇을 느끼거나 배웠을까요. 자연스러운 연출이 없기에, 연출은 연출입니다. 왜냐하면, 연출은 자연스럽게 흐르는 삶이 아니라, 따로 꾸미는 겉모습이거든요. 자연스럽게 흐르는 삶일 때에는 어떠한 모습이든 ‘자연스럽’고 ‘삶’입니다. 사진 한 장으로 담기는 사람과 사진 한 장으로 적바림하는 사람 모두 ‘자연스럽게 흐르는 삶’일 때에 참으로 아름다이 빛나는 사진열매를 맺을 수 있어요.


  사진책을 읽으며 시집을 읽습니다. 사진을 찍으며 시를 씁니다.


  나는 오동명 님 사진책을 읽으면서 손세실리아 님 시집을 읽습니다. 나는 우리 집 아이들 시골살이 모습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내가 우리 보금자리에서 누리는 사랑을 시로 씁니다.


  좋아하기에 사진을 찍습니다. 좋아하는 넋이기에 사진을 찍자고 생각합니다. 좋아하기에 시를 읽습니다. 좋아하는 얼을 북돋우며 시를 즐겁게 쓰자고 생각합니다.


  스스로 기쁘게 사진을 누립니다. 겉멋 아닌 즐거움을 맛보며 사진을 누립니다. 스스로 기쁘게 하루를 누립니다. 누군가한테 자랑하려고 보내는 하루가 아닙니다. 나 스스로 좋아하며 누리는 하루입니다. 남한테 보여주려는 내 삶이 아니라, 내 꿈과 사랑을 가장 아끼며 보듬는 내 삶입니다.


  “자기 멋에 빠져든 글을 모두 시라고 하지 않듯, 사진도 마찬가지입니다(168쪽).” 하는 말처럼, 사진도 글도 삶도 사랑도 겉멋에 빠져들 수 없습니다. 겉치레로 흐를 수 없습니다. 남한테 보여줄 사진이나 글이나 삶이나 사랑은 없습니다. 내가 즐기는 사진이요 글이며 삶이고 사랑입니다.


  사진을 찍고 싶으면 삶을 찾을 노릇입니다. 사진 찍는 사람이 되고 싶으면 삶을 누리는 사람이 될 노릇입니다. 오동명 님은 《오동명의 보도사진 강의》를 내놓습니다. 이 작은 책 하나는 사진강의 한 해 발자국이라 할 수 있지만, 대학교 사진학과를 다니고 싶은 푸름이한테 먼저 맛보기로 보여주는 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구태여 대학교 사진학과를 찾아가지 않고 이 책 하나 읽으며 스스로 사진을 배우거나 익히는 길을 찾도록 돕는 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사진학과뿐 아니라 대학교조차 애써 들어가지 않아도 ‘사진 찍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길을 살며시 보여주는 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4345.5.22.불.ㅎㄲㅅㄱ)

 


― 오동명의 보도사진 강의 (오동명 글·사진,시대의창 펴냄,2010.7.1./135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