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슬비 내리던 장날 - 제4회 권정생문학상 수상작 문학동네 동시집 14
안학수 지음, 정지혜 그림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슴으로 스며드는 웃음꽃을
[시를 사랑하는 시 9] 안학수, 《부슬비 내리던 장날》(문학동네,2010)

 


- 책이름 : 부슬비 내리던 장날
- 글 : 안학수
- 그림 : 정지혜
- 펴낸곳 : 문학동네 (2010.7.30.)
- 책값 : 8500원

 


  봄을 맞이한 시골은 온 들판이 밥상입니다. 천천히 들길을 걷고 멧길을 오르내리면서 싱그럽게 푸른 풀잎을 뜯어서 먹으면 배가 부릅니다.


  풀잎은 날마다 새롭게 돋습니다. 풀잎은 날마다 새롭게 뻗습니다. 이 자리에서 오늘 이 풀잎과 풀줄기를 뜯어서 먹고, 저 자리에서 이듬날 저 풀잎과 풀줄기를 뜯어서 먹습니다.


  한 사람이 먹는 풀잎은 많지 않습니다. 조금 조금 조금, 천천히 거닐며 조금 조금 조금, 천천히 씹고 천천히 즐기고 천천히 삭히면 온몸이 즐겁습니다. 온몸이 즐거우니 온마음이 환합니다.


  먼먼 옛날 보리고개라 했지만, 보리고개라 하던 때는 봄철이었습니다. 봄철에는 숱한 풀잎과 풀줄기를 누릴 수 있으니, 따로 벼 알맹이를 먹지 않더라도 배고플 일은 없습니다. 다만, 먼먼 옛날 풀잎 먹고 풀죽 쑤어먹는데에도 배고프며 힘들었다 할 때에는, 여느 흙일꾼으로서 제 땅뙈기를 누리지 못하고 땅임자 땅뙈기를 힘겹게 갈고 일구며 땀을 흘려야 했기 때문이라고 느껴요. 땅임자이든, 계급과 신분 낮은 흙일꾼이든, 서로 아끼고 사랑하면서 한삶을 누리려 하는 사회나 나라였다 하면, 보리고개라는 말마디는 없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장날 작은 수레를 끌며 / 이천 원짜리 모기약 팔던 / 허리 굽은 할아버지 ..  (부슬비 내리던 장날)


  시골집에서만 지내다가 여러 달만에 시외버스와 기차를 타고 서울로 나들이를 합니다. 서울에 있는 헌책방 두 군데를 들른 다음, 경기도 파주 책도시로 나들이를 합니다. 서울에서 택시를 타고 파주에서 걸어다니며 생각합니다. 서울도 파주도 나무를 마주하기 어렵습니다. 서울과 파주에서 자라는 나무는 너무 가엾어 보입니다. 가냘프고 줄기가 새까마며 잎사귀가 하늘거립니다. 너무 높은 건물이 나무를 윽박지릅니다. 밤에도 번쩍이는 불빛이 나뭇잎을 쥐어박습니다. 자동차 매캐한 배기가스가 줄기를 옥죕니다.


  시골집에서 들풀과 멧풀을 뜯어 봄빛을 즐기던 식구들이 도시에서 흐느적거립니다. 뜯을 풀이 없기도 하지만, 눈으로 구경할 풀조차 없습니다. 택시에서도 가냘픈 나무만 바라보고, 두 다리로 거닐면서도 파주 책도시 우람한 출판사 건물 사이사이 구슬픈 나무만 생각합니다.


  도시에서 나무만 생각했기 때문인지, 그예 방방 뛰며 노는 첫째 아이가 길가 ‘줄기 새까만 나무’들 옆을 지날 때마다 덥석덥석 온몸으로 안습니다. 어, 너, 뭐 하니, 하고 말하려다가, 아, 그래, 좋아, 고맙구나, 네가 참 빛나는 하느님이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이 나무들이 가녀리고 가엾다면 온몸으로 덥석덥석 껴안고 볼을 부비며, 나무야 사랑해, 나무야 고맙다, 나무야 반갑네, 나무야 잘 지내, 하고 인사를 나누면 되는군요.


.. 꼬부랑 할머니도 / 꼬부랑 호미 들고 / 날마다 갯벌로 나갑니다 ..  (떡 캐는 갯벌)


  도시에서는 밥을 사다 먹어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잠잘 데를 찾아 꽤 비싼 돈을 치러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얼마 안 기다려도 버스나 전철이 들어옵니다. 도시에서는 가만히 서기만 해도 택시가 알아서 우리 앞에 멈춥니다.


  도시에서는 돈이 있어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내 주머니에 돈이 가득해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내 주머니에 돈이 넘치도록 돈을 벌어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돈을 벌어야만 하고, 돈을 써야만 합니다. 도시에서는 언제나 돈을 생각하고 돈을 꿈꾸며 돈을 사랑해야 합니다.


  옆지기가 눈 코 입 혀 머리 가슴 배 다리 팔 손 온몸 아프지 않은 데가 없다 말합니다. 몸만 아플까요. 마음까지 아플 테지요.


  나는 말을 않고 꾹 참지만, 이래서야 안 될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나도 눈부터 코며 입이며 머리이며 가슴이며 발바닥이며 손가락이며 안 아픈 데가 없습니다. 마음도 아프고 생각도 아픕니다.


  다 함께 빛날 삶이며 환할 목숨일 텐데, 다 함께 아프며 고단한 나날이 된다면, 도시살이란 참 끔찍합니다. 왜 이렇게 돈만 벌어 돈만 써야 할까요. 왜 이다지도 돈에 얽매이며 돈을 붙들어야 하나요.


  좋은 밥을 생각하고 싶습니다. 좋은 밥 누릴 좋은 흙과 지구별을 생각하고 싶습니다. 좋은 책을 생각하며 읽고 싶습니다. 좋은 넋과 얼을 이끄는 좋은 삶 간추린 좋은 책 하나 생각하며 읽고 싶습니다.


.. 여름내 꽃 피우고 / 햇빛 모아 열었던 열매 / 다람쥐 가족에게 / 겨울 양식으로 주고 ..  (겨울 갈나무)


  서울과 파주에서 시집을 스무 권 즈음 장만합니다. 아이들 그림책은 마흔 권 즈음 장만합니다. 내가 읽을 사진책은 서른 권 즈음 장만합니다. 이런 책 저런 책 골고루 장만합니다. 가방에 시집을 챙겨 넣습니다. 아이들 모두 잠든 깊은 밤과 이른 새벽에 시집을 조용히 읽습니다.


  훌렁훌렁 읽을 만한 시집은 없습니다만, 차근차근 아로새길 만한 시집도 없다고 느낍니다. 내가 생각하는 삶을 노래하거나 내가 바라는 삶을 들려주는 싯말을 만나지 못합니다. 시집으로 묶인 보배와 같은 싯말이 허술하거나 모자라거나 변변하지 않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그저, 시를 쓴 분 삶을 더 꾸밈없이 드러내거나 그예 수수하게 보여주거나 즐겁게 이야기하거나 빛나게 누린다고 느끼지 못합니다.


  문득 깨닫습니다. 어떤 책을 읽어 못마땅하다면 내가 글을 써서 내 책 하나 빚으면 됩니다. 길가에서 돈을 치러 무언가 사다 먹을 때에 혀가 아프고 몸이 아프다가 마음까지 아프다면, 나 스스로 내 좋은 보금자리 둘레 들판과 멧자락에서 손수 흙을 일구거나 몸소 풀을 얻어 천천히 먹고 즐길 노릇입니다. 도시로 마실을 나온 터라 풀밥을 얻지 못한다면, 도시에서는 도시대로 즐겁게 밥을 사다 먹으면 됩니다. 내 살림돈이 넉넉하지 않으면, 이렇게 안 넉넉한 살림돈에 알맞게 이런저런 밥을 사다 먹으면 됩니다. 썩 내키지 않거나 그리 마땅하지 않다 싶은 시집이라 하더라도, 이 시집을 이룬 싯말을 빚은 사람들 삶과 꿈과 넋과 빛을 하나하나 헤아리면서 알뜰히 사랑하자고 받아들이면 됩니다.


  언제나 좋은 내 하루이듯, 언제나 반가운 책 하나입니다. 언제나 기쁜 내 삶이듯, 언제나 고마운 내 이야기 한 자락입니다.


.. 춥고 고픈 겨울이라고 / 꼬마 생쥐들 찾아오면 / 따듯한 방 열어 주고 / 아낌없이 탈탈 털어 주자 ..  (콩대)


  안학수 님 동시집 《부슬비 내리던 장날》(문학동네,2010)을 읽습니다. 따로 밑줄을 그으며 읽을 만한 동시는 없다고 느낍니다. 나는 이렇게 느끼지만, 안학수 님은 스스로 어떻게 느낄까 궁금합니다. 안학수 님은 당신 동시를 얼마나 좋아하고 얼마나 사랑하며 얼마나 즐길는지 궁금합니다.


  생쥐이든 들쥐이든 굴을 파며 살아갑니다. 생쥐이든 들쥐이든 사람이 ‘방문을 열어’ 주지 않아도 어딘가 굴을 파서 몰래 기어듭니다. 쥐는 흙집 흙벽도 뚫고, 시멘트집 시멘트벽도 뚫습니다. 쥐는 흙땅을 파서 저희 따스한 집을 마련하면 되련만, 둘레에 사람집이 있으면 사람집으로 파고들어 손쉽게 먹이를 얻으려 합니다. 추위를 타니까 사람집에 들어오기도 할 텐데, 먹이를 바라며 사람집에 들어오기도 합니다.


  나는 쥐한테 따로 방문을 열어 줄 마음이 없습니다. 쥐는 쥐대로 흙땅 한켠에 저희 굴을 파며 지렁이를 잡아먹으며 살아갈 때에 가장 즐거우며 가장 좋은 삶이 되리라 여깁니다.


  우리 시골집 처마에는 제비가 둥지를 짓습니다. 제비 두 마리가 밤새 깃털 부비며 잠을 자고, 이른새벽이면 재재거리며 똥을 누고 먹이 찾아 돌아다니는데, 곧 알을 낳고 새끼를 까겠지요. 나는 이 제비들이 우리 방 안쪽으로 들어오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제비는 제비대로 처마 밑 둥지가 가장 좋습니다. 제비가 처마 밑에서 살아가면 우리 집 둘레에 파리 모기 함부로 드나들지 못하리라 느낍니다. 서로서로 돕고 어깨동무합니다.


  내가 쥐한테 무언가 털어 줄 것이란 없습니다. 쥐는 쥐 스스로 제 집과 먹이를 들판과 흙밭에서 찾겠지요. 내가 제비한테 무언가 내어 줄 것이란 없습니다. 제비는 제비 스스로 제 집과 먹이를 들판과 멧자락에서 찾겠지요.


  동시를 쓰는 안학수 님은 안학수 님 삶에서 무엇을 스스로 찾고 무엇을 스스로 누리며 무엇을 스스로 빛내실까 궁금합니다. 스스로 찾는 삶을 들려주고, 스스로 누리는 삶을 이야기하며, 스스로 빛내는 삶을 글줄 하나에 담을 때에 한결 아름다우며 예쁜 싯말이 태어나리라 생각합니다.


  구경하는 삶이 아닌 살아가는 넋을 동시에 담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한테 가르치는 말이 아닌 스스로 즐거이 생각하는 꿈을 동시에 실으면 좋겠습니다. 예쁘장하게 보이는 싯말이 아닌 어른으로서 언제나 누리는 가장 밝은 사랑을 동시로 옮기면 좋겠습니다.


  안학수 님 하루를 동시에 담아 주셔요. 안학수 님 꿈을 동시에 실어 주셔요. 안학수 님 참사랑을 동시로 옮겨 주셔요. 수수하고 흔한 이야기라도 좋아요. 수수하고 흔한 이야기가 될 때에 참 좋아요. 할머니 호미질을 구경해도 나쁘지 않지만, 손수 호미를 쥐어 보셔요. 할머니 살아가는 이야기도 나쁘지 않지만, 스스로 살아가는 이야기가 참 좋아요. 가슴으로 스며들어 내 웃음꽃이 되는 삶자락을 한 올 두 올 사근사근 풀어내어 빛말로 여미어 주셔요. 사진은 빛그림이라면, 동시는 빛말입니다. (4345.5.5.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