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운영 책읽기
너른 들판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시골집을 누릴 수 있기를 꿈꾼 적 있는가 곰곰이 돌아본다. ‘이렇게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지.’ 하는 꿈은 틀림없이 꾸었다. 다만 ‘이렇게 살아가면 좋겠지만 집은 어떻게 얻나?’ 하는 마음이 으레 뒤잇곤 했다. 걱정하는 꿈이라면 이루어질 수 없다는데, 왜 걱정을 뒤잇는 꿈을 꾸었을까. 꿈을 생각하는 삶을 스스로 찾지 않았기 때문일까. 제도권 학교를 탓하거나 누군가를 탓하면서 나 스스로 내 삶을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 아닌가.
자운영 꽃잎을 바라본다. 봄 들판에 봄빛을 알리던 들꽃을 헤아리니, 맨 처음은 옅은파랑이었고(봄까지꽃), 뒤이어 하양이었으며(별꽃), 다음으로 옅은빨강(광대나물)이었다. 이윽고 보라였고(제비꽃), 노랑이었으며(유채꽃·갓꽃), 옅은하양이나 하양이 갈마들었다(매화꽃). 자운영꽃은 이 가운데 보라빛 제비꽃과 함께 찾아왔다.
어느 꽃이든 꽃잎이 참 작다. 어느 들꽃이든 키가 작달막하다. 유채꽃은 좀 멀대 같다 할 만하지만, 그리 큰 키라 하기 어렵다. 흔히 유채꽃 흐드러진 들판을 헤아리지만, 사람들이 따로 씨앗을 잔뜩 뿌려 유채밭이 되지, 유채 스스로 처음부터 떼로 몰려 피어나지는 않았다. 아니, 유채도 먼먼 옛날에는 스스로 곳곳에 무리지은 보금자리를 마련했겠지.
들꽃이 피어나는 자리는 다 다르지만, 차례차례 피어나는 꽃이 좁다란 흙뙈기에 나란히 어깨동무하곤 한다. 흙 한 줌은 수많은 들꽃한테 보금자리가 된다. 서로 즐거이 꽃잎을 벌린다. 언뜻 보자면 서로 제 씨앗을 더 많이 더 널리 퍼뜨리려고 애쓰는 듯 여길는지 모르나, 서로 알맞게 제 씨앗을 남길 뿐, 누가 더 넓게 이 땅을 차지하려 든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이 꽃이 피고 나면 저 꽃이 피고, 저 꽃이 피고 나면 그 꽃이 핀다. 숱한 들꽃이 찬찬히 피고 지면서 들판을 알록달록 어여삐 일군다.
논둑과 도랑 둘레에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자운영 꽃잎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긴다. 너 자운영을 바라보며 무슨 빛깔이라 이름을 붙여야 하겠니. 어떤 빛이름이 너한테 어울리겠니. 별꽃이 흰빛이라 하더라도 아무래도 ‘별꽃빛’ 아니고는 도무지 나타낼 수 없듯, 자운영꽃 또한 그 어떤 빛이름보다 ‘자운영빛’ 아니고는 참말 나타낼 수 없겠지. (4345.4.16.달.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