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냄새

 


  도매상에서 서른 해 넘게 책을 건사하던 책꽂이를 스물쯤 얻는다. 도매상 벽을 가득 채웠을 책꽂이는 뒤판까지 단단히 붙은 채 나왔다. 책을 빽빽이 더 많이 꽂도록 책 크기에 맞추어 칸을 촘촘이 나눈 책꽂이는 자그마치 아홉열 칸씩 있고, 열한 칸짜리까지 있다. 서른 해 넘는 나날 얼마나 많은 책이 이 책꽂이를 거쳐 사람들 손으로 이어졌을까. 도매상이 문을 닫을 즈음에는 책꽂이에 책이 꽂히기만 한 채 오래도록 먼지를 먹었을 테지. 오래된 책꽂이에 꽂힌 책은 빠져나가지도 못하고 돌아가지도 못한 채 말없이 나이를 먹어야 했을 테지.


  문을 닫은 도매상 벽에서 떼어낸 책꽂이는 헌 종이 가득 쌓인 창고 뒤쪽 빈터에 차곡차곡 놓인다. 커다란 책꽂이를 손으로 쓰다듬는다. 오래된 책꽂이라지만 나무 냄새가 난다. 햇살을 보지 못하며 먼지만 먹던 나무 냄새일까. 책꽂이를 나무로 짜듯, 똑같이 나무로 빚은 책을 건사하던 결과 무늬가 고스란히 깃든 냄새일까.


  그러고 보면, 나무는 갓 잎을 틔운 아기나무일 때에도 나무 내음을 뿜고, 어른 키만큼 자란 어린나무일 때에도 나무 내음을 뿜으며, 집채보다 높직하게 자란 어른나무일 때에도 나무 내음을 뿜는다.


  책으로 바뀌는 나무도 종이에 나무 내음을 남긴다. 책꽂이로 달라진 나무도 칸마다 나무 내음을 남긴다. 작은 종이 한 장이든 두툼한 책 한 권이든 나무 내음이 짙고 얕게 남는다. 몇 시간 나무를 만진 손에도 나무 내음 살며시 밴다. 집으로 돌아온 나는, 나무 내음 살몃 깃든 손으로 아이를 안고 머리카락을 쓸어넘긴다. (4345.3.29.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