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76 : 작은 마을 작은 책숲

 


 어릴 적부터 꿈을 하나 꾸었습니다. 어른이 된 내가 돈을 많이 번다면, 많이 버는 돈만큼 땅을 사야겠다고 꿈을 꾸었어요.

 

 땅장사를 하려는 마음으로 사고프다는 꿈이 아닙니다. 내가 조금씩 사들이는 땅뙈기는 사람 손길이 닿지 않도록 놓아 주고 싶다는 꿈입니다. 어린 나는 ‘내셔널 트러스트’ 같은 이름은 알지 못했습니다만, 정치를 꾸리거나 경제를 이끈다는 사람들이 땅을 옳게 건사하지 않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몹시 슬펐어요. 왜 땅뙈기로 장사를 하지? 왜 좋은 땅에서 살아갈 좋은 생각을 안 하며 애꿎은 땅놀이를 하지?

 

 내가 돈을 모을 수 있을 때에는 숲이 숲 그대로 이어가고, 논밭은 논밭 그대로 돌보며, 멧자락과 갯벌과 바다는 멧자락과 갯벌과 바다 그대로 살리고 싶다고 꿈을 꾸었습니다. 사람들이 따로 지키는 숲이 아니라, 자연이 자연스레 싱그러이 살아나는 숲을 바랐어요. 나는 이 들판과 숲과 갯벌과 바다와 멧자락이 어우러지는 한쪽에 조그맣게 보금자리를 마련해서 살아가면 참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정말 고마워 듀이》(걷는책,2011)를 읽습니다. 첫머리에 “내가 사랑하는 아이오와 주 스펜서는 외부 사람들이 볼 때는 인구 1만 명의 작은 마을이다(32쪽).” 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나도 이렇게 작은 마을에서 작은 사람이 되어 작은 숲을 사랑하며 살아갈 때에 참 예쁘겠다고 느낍니다. 굳이 커다란 도시를 이루어야 한 나라가 대단해지지 않을 테니까요. 애써 커다란 도시로 찾아가야 내 밥벌이를 이룬다거나 내 뜻을 편다고 하지는 않을 테니까요.

 

 “아버지는 자긍심을 가진 농부의 후예였으나 1950년대에 대형 탈곡기와 바인더 기계가 등장하면서 농업의 성격과 경제구조 자체가 바뀌었다. 큰 농기구를 살 수 없는 상황에서 농작물 생산량은 그대로이고 가격은 떨어지니 농장의 근간이 흔들렸다(355쪽).” 하는 이야기를 읽다가 바로 오늘 내가 살아가는 이 나라에서도 똑같은 일이 일어났다고 느낍니다. 아니, 이 나라에서 똑같이 일어난 일은 먼저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일어났다고 깨닫습니다.

 

 조용히 착하게 살아갈 수 있으면 즐거울 텐데요. 내 손으로 흙을 일구어 내 몸을 살찌울 밥을 나 스스로 얻으면 기쁠 텐데요. 왜 커다란 농기계가 나와야 할까 모르겠습니다. 왜 경제와 산업과 수출과 무역을 말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얼마나 더 맛난 밥을 먹어야 할는지요. 얼마나 더 으리으리한 집에서 살아야 할는지요. 얼마나 더 멋스레 보인다는 옷을 걸쳐야 할는지요. 얼마나 더 빠르고 번쩍거리는 자가용을 굴려야 할는지요.

 

 사진쟁이 강운구 님은 《자연기행》(까치,2008)이라는 책에서 “어릴 적에 시골에서 자란 이들은 꿀풀이나 다른 꽃을 따서 향기로운 꿀을 빨아먹곤 했었다(38쪽).” 하고 이야기합니다. 꼭 시골이 아니더라도 흙을 밟거나 푸나무랑 벗삼던 사람이라면, 꿀풀도 먹고 까마중도 먹었어요. 풀내음과 꽃내음을 코로 입으로 손으로 가슴으로 받아들였어요. 우리 집 아이들이 작은 시골마을 보금자리에서 햇살과 바람과 흙과 나무와 풀과 멧새가 골고루 들려주는 노래를 마음껏 들으면 좋겠습니다. (4345.2.17.쇠.ㅎㄲㅅㄱ)

 

- 시민사회신문에 싣는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