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는 동시 따 먹기
김미혜 지음, 김제곤 엮음, 장경혜 그림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는 모두 시인입니다
 [어린이책 읽는 삶 16] 김미혜, 《신나는 동시 따먹기》(창비,2011)

 


- 책이름 : 신나는 동시 따먹기
- 글 : 김미혜
- 그림 : 장경혜
- 펴낸곳 : 창비 (2011.6.20.)
- 책값 : 12000원

 


 온삶을 어린이를 생각하며 지낸 이오덕 님이 내놓은 책 가운데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가 있습니다. 이오덕 님은 초등학교 어린이와 함께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당신이 하늘에서 받은 선물처럼 받아들이며 살았고, 아이들이 스스로 ‘글쓰기’를 하도록 이끌었습니다.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는 이 같은 기나긴 삶을 바탕으로 쓴 책이에요.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에 실린 아이들 글을 읽는다든지, 《일하는 아이들》이나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에 실린 아이들 글을 읽으면, 이 글은 모두 ‘시’로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이 아이들은 어떠한 시 이론과 비평과 해설을 듣거나 배우거나 익히지 않습니다. 이 아이들은 저마다 제 고향마을에서 어버이와 살아가는 하루하루를 돌이키며 글을 쓰고, 이렇게 쓴 글은 모두 시로 다시 태어납니다.

 

 이제 막 국민학교에서 한글을 뗀 아이들이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거의 다 틀리는 비뚤비뚤한 글을 씁니다. 3학년이나 4학년쯤 되면 제법 가지런히 글을 씁니다. 5학년이나 6학년쯤 되면 아이 스스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제법 잘 맞춥니다. 그러니까, 아이들한테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억지로 가르치지 않아도 됩니다. 아이들 스스로 배우기 마련이니까요.

 

 아이들한테 영어나 한자를 굳이 가르칠 까닭이 없습니다. 마땅히 써야 하는 영어나 한자라면, 어른들부터 여느 삶 여느 자리에서 영어나 한자를 쓸 테고, 여느 어른이 여느 자리에서 쓰는 영어와 한자는 아이들 여느 삶으로 시나브로 녹아들어요.

 

 가르침도 배움도 저절로 녹아들 때에 가르침이요 배움입니다. 따로 교육과정을 짜거나 교과서를 읽히거나 시험을 치러야 가르침이자 배움이 되지 않습니다. 교재와 참고서를 외우도록 시켜야 아이들이 똑똑해지지 않아요.

 

 아이들은 저마다 디디는 땅을 온몸으로 옳게 부대끼며 착하게 어깨동무할 수 있을 때에 튼튼한 사람으로 자라납니다. 아이들은 제 옷과 밥과 집이 모두 흙에서 비롯하는 줄 깨닫고, 흙은 햇살과 비와 바람을 먹으며 기름지는 줄 깨달을 때에 바야흐로 씩씩한 일꾼으로 거듭납니다.

 

 동시를 쓴다는 김미혜 님이 엮은 《신나는 동시 따먹기》(창비,2011)라는 책을 읽습니다. 김미혜 님은 머리말에서 “이 책을 읽고 나면 시의 맛을 알게 되고, 시를 어떻게 감상하는지, 시를 어떻게 쓰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하고 밝힙니다.

 

 나는 이 머리말을 읽다가, 이 머리말부터 이 책은 ‘시를 읽는 맛’을 지우고 마는 슬픈 책이로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어떠한 ‘동시 읽기 길잡이책’도 동시이든 시이든 읽으며 누리는 깊고 달콤하며 즐거운 맛을 느끼도록 돕지 않아요. 시를 읽어야 시맛을 느껴요. ‘시 해설’과 ‘시 설명’을 읽는다 해서 시맛을 느끼지 않아요.

 

 동시를 더 재미나게 읽는 길은 없습니다. 동시를 더 재미없게 읽는 길도 없어요. 그러나, 이렇게 ‘동시 읽기 길잡이책’을 낸다면, 이러한 책은 아이나 어른이나 동시를 읽는 맛을 못 느끼거나 엉뚱하게 생각하도록 잘못 이끄는구나 싶어요.


.. 고깔제비꽃 알록제비꽃 태백제비꽃 왜제비꽃 / 제비꽃 이름 무어 그리 복잡할까 ..  (김미혜-그냥 제비꽃)


 《신나는 동시 따먹기》 첫머리에는 엮은이 김미혜 님 동시를 넣습니다. 엮은이 김미혜 님은 〈그냥 제비꽃〉이라는 동시에서 “제비꽃 이름 무어 그리 복잡할까” 하고 말하는데, 아이들이 이렇게 생각할까 궁금합니다. 아이들한테 이런 ‘어른 생각’을 들려주는 일은 아이들한테 얼마나 도움이 될까 궁금합니다. 이런 어른 생각은 아이들한테 어떤 사랑을 불러일으킬까 궁금합니다.

 

 제비꽃 이름이 뭐가 어지러운가요? 똑같은 제비꽃은 하나도 없으니 다 다른 이름이 붙어요. 똑같은 어린이는 하나도 없기에, 어린이마다 이름이 모두 달라요. 똑같은 어른 또한 아무도 없으니, 어른마다 이름이 서로 다릅니다.

 

 아이를 앞에 두고 “응, 넌 그냥 아이야.” 하고 말할 수 있겠지요. 내 어머니와 아버지를 앞에 두고 “응, 당신은 그냥 어른이야.” 하고 말할 수 있겠지요.

 

 이러다 보니, 김미혜 님은 동시 끝에 붙이는 풀이글에 더 슬픈 이야기를 달고야 맙니다.


.. 자, 그럼 나무도감을 보고 마음에 드는 나무 이름을 외워 볼까? 10분 동안 얼마나 많은 이름을 알게 되었는지 적어 보자 ..  (25쪽)


 도감을 읽으며 나무 이름을 외우는 일은 나무를 얼마나 잘 알거나 나무와 얼마나 살가이 사귀는 일이 될는지요. 출석부를 보고 아이들 이름을 외우면 아이들을 잘 아는 교사가 되는가요. 전화번호부를 펼쳐 사람들 이름을 외우면 내 이웃들을 잘 헤아리는 사람이 될까요.

 

 이름을 모른다 해서 나쁠 일이 없습니다. 제비꽃을 바라보며 이름을 몰라 “참 예쁜 꽃이로구나.” 할 수 있어요. 내 가슴속으로 이 어여쁜 꽃을 바라볼 수 있으면 돼요. 내 가슴으로 느끼는 대로 ‘내가 사랑스레 느낀 결 그대로 내 나름대로 새 이름을 붙일’ 수 있어요.

 

 시는 이렇게 태어나요. 내 가슴속에서 사랑이 샘솟을 때에 시가 태어나요. 나는 제비꽃이라는 꽃을 바라보며 ‘제비꽃’이라는 이름을 모르기에 ‘나비꽃’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어요. 나비꽃이라는 시를 내 가슴으로 쓸 수 있어요. ‘무지개꽃’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시를 쓸 수 있겠지요. ‘내 동생 손톱처럼 앙증맞은 꽃’이라고 말을 걸며 시를 쓸 수 있어요.

 

 밤나무 참나무 벚나무 뽕나무 하고 이름을 외운들 무슨 나무 사랑이 되고 어떤 시 사랑이 될 수 있을까요. 막상 뽕나무 줄기를 쓰다듬어 보지 않고 이름만 달달 외운다면, 뽕나무 잎사귀와 꽃잎을 어루만지지 않고 이름만 줄줄 꿴다면, 이러한 지식으로 어떤 시를 쓰는가요. 이렇게 지식만 쌓은 머리로 시를 어떻게 즐기거나 맛보는가요.


.. 좋은 시를 흉내내 ‘모방 시’를 쓰는 것은 새로운 시를 쓰기 위해 꼭 필요한 훈련이란다. 주위를 살펴보고 어떤 내용을 담을지 생각해 본 다음 〈개구쟁이 산복이〉와 비슷한 흐름으로 시를 써 보자 ..  (29쪽)


 김미혜 님은 아이들더러 ‘시 흉내내기’를 하라고 시킵니다.

 

 아이들은 모두 시인인데, 시인더러 시를 흉내내라고 시킵니다.

 

 어린이는 누구나 시인이요, 어린이로 살며 어른이 된 사람들 누구나 시인이기에, 굳이 국어국문학과나 문예창작학과를 다니지 않아도 시를 쓸 수 있는데, 다른 사람이 쓴 시를 베끼듯 흉내내라니요.

 

 다른 사람이 쓴 시는 내 가슴으로 읽으며 사랑을 느껴야 할 뿐입니다. 내가 쓰려는 시에는 내 온 사랑을 담아야 할 뿐입니다.

 

 베껴쓰기 숙제를 내듯 흉내내기 시를 쓰도록 하는 어른이라면, 시를 말할 수 없습니다. 시를 이야기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시를 쓸 수도 없습니다. 베끼고 흉내내면서 어떤 삶과 꿈과 사랑과 믿음을 나눌 수 있는가 모르겠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들 살아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흉내내기를 한다지요. 그런데, 아이들은 흉내내기가 아니에요. 어른이 바라보기에는 ‘흉내’이지만, 아이들로서는 ‘온몸을 움직여 삶을 다스리는 일’이에요.


.. 청소도 숙제도 미루고 공기놀이에 푹 빠져 버렸네. 놀이, 게임, 영화, 책 ……. 무언가에 몰입하면 시간이 후딱 지나가지. 공기놀이가 끝나면 몇 시쯤 될까? 어쩌다 한 번씩은 할 일 다 미루고 이렇게 마냥 놀면 참 좋을 거야 ..  (31쪽)


 문득 생각합니다. 《신나는 동시 따먹기》라고 하는 책은 아이들이 초등학교를 다니면서 동시를 배울 때에 ‘초등학교 논술 공부 더 잘 하라’는 뜻에서 엮은 책이 아니겠느냐고 생각합니다. 도시에서 점수따기 하는 아이들이 시험성적 더 잘 거두도록 일찍부터 이끄는 책이 아니겠느냐고 느낍니다.

 

 학교에서 내주는 숙제야 안 해도 되고 미루어도 됩니다. 그러나, 밥을 안 먹거나 집 안팎을 쓸고닦으며 치우거나 몸을 씻거나 잠을 자거나 하는 일은 안 하거나 미룰 수 없습니다. 빨래를 안 해도 될까요. 설거지를 안 해도 되나요.

 

 우리가 먹는 밥은 어디에서 나지요. 공장에서 만든다는 과자나 햄 같은 가공식품이라 하더라도 이 가공식품 밑감은 어디에서 얻나요. 쌀이 없어도 쌀과자가 태어나고, 밀이 없어도 빵이 태어나는가요. 감자가 없어도 포테이토칩을 만들고, 양파가 없어도 양파깡을 만드는가요.

 

 시골에서 흙을 일구는 사람들이 없으면 가공식품조차 없지 않나요. 시골에서 소와 돼지를 기르는 사람들이 없다면, 소와 돼지한테 먹을 밥이 되는 곡식을 일구는 사람들이 없다면, 어떠한 밥을 도시사람이 먹을 수 있나요.


.. 시인이 도시 아이들에게 편지를 쓴 것은 그만큼 농촌의 현실이 힘들기 때문이야. 우리가 쌀과 채소를 많이 먹으면 농촌 사람들도 힘이 날 거야. 엄마 아빠와 함께 농촌에서 나는 먹을거리가 많이 들어간 식단을 짜 보자 ..  (103쪽)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 눈으로는 “우리가 쌀과 채소를 많이 먹으면 농촌 사람들도 힘이 날 거야” 하고 느낄 수 있으리라 봅니다. 그런데, 참말 시골사람이 힘이 날 만한가 모르겠습니다. 그저 쌀을 사다 먹으면 되고, 푸성귀를 사다 먹으면 일이 다 풀리는가 모르겠습니다. 논밭을 가로지르는 기찻길과 고속도로를 내고, 온 멧자락에 구멍을 내며 고속철도를 놓는 마당에, 시골사람이 두 다리 뻗을 만한지 모르겠습니다.

 

 4대강 삽질 하는 데에 퍼붓는 어마어마한 돈은 시골자락을 얼마나 아름다이 돌보는 일이 되나요. 시골마을이 왜 힘이 드는가요. 사람들은 왜 시골을 떠나 도시로만 몰리나요. 왜 아이들은 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를 마치기 무섭게 도시로 빠져나가나요. 아이들은 왜 대학교에 들어가면 두 번 다시 시골로 돌아갈 생각을 안 하나요.

 

 굳이 아이들한테 자유무역협정이나 물질문명을 낱낱이 이야기해야 하지는 않다 할는지 모르나, 아이들이 삶과 삶터와 삶자락을 올바로 깨달으며 생각하도록 돕는 어버이요 어른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느낍니다.


.. 시인의 눈길이 복숭아 장수 아저씨에게로 향했어. 복숭아 장수 아저씨를 힘들게 하는 것은 앵앵거리는 파리일까, 후끈한 열기일까? 아니면 쏟아지는 졸음일까? 아무 생각 없이 지나치지 않고 관심을 갖는 것! 그것이 시 쓰기의 첫걸음이란다 ..  (71쪽)


 시를 쓰는 사람은 생각을 깊이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시를 쓰는 사람은 둘레를 잘 살피는 사람이 아닙니다. 시를 쓰는 사람은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시를 쓰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삶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할 때에 시를 쓰는 넋이 아름다이 거듭납니다. 삶을 착하고 참다이 일굴 때에 시를 읽는 눈이 곱게 태어납니다.

 

 아무 생각 없이 지나치지 않는대서 시를 쓸 수 있지 않습니다. 내 가슴을 활짝 여는 착한 매무새일 때에 시를 쓸 수 있습니다. 둘레를 두리번두리번 살핀대서 시로 쓸 만한 이야기를 얻지 않습니다. 내 삶을 제대로 들여다보면서 내 하루를 올바로 가꿀 때에 시나브로 시가 샘솟습니다.

 

 이리하여, 이오덕 님이 이야기하는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 하는 말을 가슴으로 아로새길 수 있어요. 어린이는 날마다 흙을 밟고 신나게 놀면서 삶을 즐기니까 연필 한 자루를 쥐면 시를 술술 씁니다. 어린이는 날마다 햇살을 먹으며 마음껏 놀고 제 어버이하고 논일 밭일 집일 함께 하니까, 구슬땀 흘리는 손으로 붓을 쥐어 그림을 슥슥 그립니다.

 

 아이들한테는 시를 가르칠 까닭이 없습니다. 어른들부터 스스로 삶을 착하고 밝고 예쁘게 꾸리는 몸짓일 때에, 아이들은 제 어버이를 바라보면서 삶을 배웁니다. 삶을 배우는 아이들은 시를 배우는 셈입니다. 삶을 느끼고 사랑을 깨닫는 아이들은 시를 느끼고 시를 깨닫는 아이들로 다시 태어납니다.

 

 아이들한테는 ‘삶’이라고 하는 시집을 선물하면 넉넉합니다. 아이들한테는 ‘사랑’이라는 노래책을 선물하면 흐뭇합니다. (4345.2.16.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