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1646) 중층적 1 : 글의 중층적인 성격

 

.. 웃음을 머금게 하는 위의 인용은, 글의 중층적인 성격이 글쓴이의 의도를 종종 배반하고 마는 적확한 예라고 생각한다 ..  《장정일-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2》(마티,2011) 211쪽

 

 “위의 인용(引用)은”은 “앞에 든 글은”이나 “앞에 따온 글은”으로 다듬습니다. 글을 쓰면서 다른 이 글을 따올 때에는 ‘내가 바로 앞에 따오며 든 글’입니다. ‘내가 쓴 글 위나 아래’에 놓이지 않아요. 가로쓰기를 하면서 글이 죽 내려가도록 하는 책 얼거리를 보면 “위에 인용한”이 맞다 할 테지만, 글흐름을 돌아볼 때에는 “앞에 따온”이라 적어야 올바릅니다.

 

“글쓴이의 의도(意圖)”는 “글쓴이 뜻”이나 “글쓴이 생각”으로 손보고, “종종(種種) 배반(背反)하고 마는”은 “때때로 저버리고 마는”이나 “곧잘 뒤집고 마는”으로 손봅니다. “적확(的確)한 예(例)”는 “좋은 보기”나 “알맞춤한 보기”로 손질합니다.

 

 중층적 : x
 중층(重層) : 여러 층
   - 중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 중층을 이루는 사회 구조

 

 글의 중층적인 성격이
→ 여러 뜻을 담은 글이
→ 여러 뜻으로 풀이되는 글이
→ 글이 여러모로
→ 글이 여러 가지로
 …

 

 글쟁이로 살아가는 분이 곧잘 쓰는 한자말 ‘중층적’입니다. “중층적 구조”라든지 “중층적 소유”라든지 “중충적 서술”이라든지 “중층적 역할”처럼 쓰는데, 국어사전을 찾아보니 이 낱말은 안 실립니다. ‘중층’ 한 가지만 실려요.

 

 한자말 ‘중층’은 “여러 층”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중층 + 적’처럼 새 한자말을 엮을 때에는 “여러 층을 나타내는”이나 “여러 겹을 보여주는”이나 “여러 가지가 드러나는”을 가리키는 자리에 쓰겠지요.

 

 그런데, 먼저 ‘중층’을 살펴보면 그닥 쓸 만하지 않습니다. 말뜻 그대로 “여러 층”이나 “여러 겹”이라 적으면 그만이에요. 구태여 한자말 ‘重層’을 들먹여야 내 뜻이나 넋을 나타낼 수 있지 않아요.

 

 중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중층을 이루는 사회 구조 → 여러 겹을 이루는 사회 얼개

 

 보기글에서는 누군가 쓴 글이 “여러 가지 성격”을 보여주는데, 이 여러 가지 성격이 이 글을 쓴 사람 뜻하고 어긋나기도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곧, “글에 담은 여러 뜻이 글쓴이 뜻과 어긋나는” 셈이에요. “여러 뜻을 담은 글이 글쓴이 생각과 동떨어지는” 셈이라 할 테고, “글이 여러모로 글쓴이 마음과 엇갈리는” 셈이라 하겠지요.

 

 글흐름을 가만히 헤아리며 알맞게 쓸 낱말을 살핍니다. 글뜻을 곰곰이 짚으며 올바로 쓸 낱말을 고릅니다.

 

 내 넋을 살릴 때에 내 말이 살아납니다. 내 얼을 보듬을 때에 내 글이 빛납니다. (4345.2.2.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02-02 1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2-02-02 11:45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ㅠ.ㅜ
집 옮기시느라 힘드셨겠어요.
짐은 다 갈무리하셨을까 궁금하네요.
차근차근 잘 하시리라 믿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