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 글쓰기


 요 한 달 사이, 자원봉사로 글을 써서 보내던 지역 누리신문에 더는 글을 보내지 않는다. 애써 글을 써서 보내도 제때 제대로 싣지 않고 쌓기만 해서, 나로서는 도무지 힘을 낼 수 없더라. 글삯을 안 받고 자원봉사로 글을 써서 보내는 마음을 모르기 때문일까.

 글을 쓰지 않는 사람은 글을 쓰는 사람이 글 한 줄에 얼마나 땀을 들여야 하는가를 거의 모르거나 아예 모른다. 손수 밥을 지어 차리고 치우지 않는 사람은, 누군가 밥을 해서 차리는 일이 얼마나 품을 많이 들이고 겨를을 많이 바쳐야 하는가를 거의 모르거나 아예 모른다.

 따지고 보면, 밥은, 먹을 사람이 언제나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 아나스타시아처럼 타이가숲에서 스스로 얻을 수 있고, 시골 흙일꾼 할매 할배처럼 구부정한 허리로 일흔이나 여든이나 아흔 나이에도 손수 심고 손수 거두어 손수 차려 먹을 수 있다. 참말, 밥은 스스로 일구고 스스로 거두어 스스로 차려야 한다. 스스로 이루지 않는 밥이란 누구한테나 참다이 밥 구실을 하지 못한다.

 어딘가 갈 때에도 스스로 가야 한다. 스스로 두 다리로 걷거나 스스로 자전거를 몰아야 한다. 자가용을 몰거나 버스·전철을 타서는 안 된다. 스스로 두 다리로 걷거나 스스로 자전거를 타야 한다. 몸으로 겪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몸으로 겪는 일’이 어떠한가를 깨달을 수 없다.

 글을 쓰려면 삶이 있어야 한다. 글을 쓰기 앞서 삶을 일구어야 한다. 글줄에는 글쓴이 온삶이 스며든다. 글쓴이가 익히거나 배우거나 받아들인 앎조각이 글줄에 서리기도 한다. 아마, 오늘날 웬만한 사람들은 앎조각이라 하는 지식·정보를 더 얻으려고 책을 장만하거나 읽으리라. 참말, 앎조각을 더 뽐내거나 선보이는 글이 몹시 많다.

 그러나, 나는 앎조각을 드러내는 글이 아주 싫다. 아주 못마땅하다. 아주 안 내킨다. 나는 앎조각 하나조차 밝히지 않는 글이 좋다. 앎조각 아닌 삶자락 들려주는 글이 반갑다. 앎조각 다스리는 따사로운 사랑과 꿈을 이야기하는 글이 즐겁다.

 글은 사랑일 수밖에 없다. 스스로 살아내는 사랑을 담는 글일 수밖에 없다.

 글은 꿈일 수밖에 없다. 스스로 하루하루 시나브로 이루는 꿈인 글일 수밖에 없다.

 자원봉사 글쓰기를 그만둔 한 달 사이, 똑같은 글을 다른 곳에 똑같이 올리느라 들이는 품이 사라진다. 이제는 애먼 품을 덜 들여도 되기 때문인지, 내 꿈과 내 사랑을 소담스레 싣는 글을 홀가분하게 한 꼭지라도 더 쓸 틈을 얻는다. 이제부터 굳이 자원봉사 글쓰기는 하지 말자고 생각한다. 자원봉사로 쓴 글을 그야말로 고맙게 여기거나 반가이 맞아들이는 곳이 아니라면 자원봉사 글쓰기를 하지 말자. 돈이 없다느니 살림이 어렵다느니 하는 이야기에 홀리지 말자. 글을 쓰는 사람은 굶어죽어도 되니까 자원봉사 글쓰기를 바랄까. 나는 내 삶을 사랑하는 나날을 누리면서 이 이야기를 글로 옮기는 한때가 좋다. (4344.11.25.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