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합니다 海容해용 - 전편
이토 미노루 지음, 이시이 세이치로.송기호 감수 / 비로소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 꿈을 짓밟지 마셔요
 [만화책 즐겨읽기 79] 이토 미노루, 《사랑합니다 海容 (전편)》



 아이를 나무라거나 꾸짖는 일처럼 나쁜 짓이 없는 줄 머리로는 알지만, 좀처럼 이 못난 버릇을 뜯어고치지 못합니다.

 곰곰이 돌이킵니다. 뜯어고칠 수 없는 버릇이라서 뜯어고치지 못할는지, 뜯어고칠 버릇이 아니라, 내 삶을 옳게 사랑하는 길을 걸어가면서 저절로 녹여야 할는지 알쏭달쏭합니다.

 아니, 알쏭달쏭할 까닭은 없어요. 말 그대로 나 스스로 내 삶을 곱게 사랑하면서 하루하루 반가이 맞아들일 때에는, 이 넋과 결과 꿈 그대로 아이들을 마주하면서 어버이 사랑을 물려줄 수 있을 테니까요.


- “내가 한심스러워. 일곱 살자리 동생한테 진짜로 화를 내는 누나가 제대로 된 걸까 하고. 하지만 왠지 짜증난단 말야, 그 녀석. 항상 웃기만 하는 바보 주제에 무조건 사랑받는 느낌이라구 …… 뭐, 사랑해 달라고 애원할 생각은 없지만, 나도 조금 챙겨 달라고 하고 싶다 이거지.” (12∼13쪽)
- ‘부드러운 머리카락, 따뜻한 체온. 바로 곁에 또 하나의 따뜻함이 있다는 것을, 나는 당연하다고만 생각하고 있었어.’ (112쪽)



 어릴 때에 꾸지람을 늘 들었습니다. 아마 날마다 꾸지람을 들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어머니이든 아버지이든 당신 아이를 꾸짖지 않고 지나가는 날은 참 드물었으리라 생각합니다. 틀림없이 아이가 말을 안 들으니 꾸짖었을 테고, 잘못을 저질렀으니 나무랐겠지요.

 아이에서 어버이가 되어 살아가며 돌아봅니다. 내 아이들이 밉거나 싫어 꾸짖는 일은 없습니다. 내 아이들이 바보스럽거나 못나기에 나무라는 적은 없습니다. 아이들이니까요. 아이들은 아이답게 살아가니까요. 아이들 삶결을 헤아리면서 따사로이 다가선다면, 어버이가 아이들을 꾸짖을 일은 없겠지요. 나부터 내 어린 나날을 헤아리면서 내 아이들을 마주한다면, 내가 어린 나날 아무리 꾸지람을 자주 늘 많이 들었달지라도, 이 아이들한테 똑같은 앙금이 이어지도록 할 까닭이 없겠지요.

 내 어버이가 나한테 좋은 사랑을 안 물려주고 싶겠습니까. 내가 내 아이한테 예쁜 사랑을 안 선물하고 싶겠습니까.

 마음이 있으면, 마음이 있는 대로 사랑하면 돼요. 생각이 있으면, 생각이 흐르는 대로 사랑하는 손길을 나누면 즐거워요.

 좋은 여러 가지를 넣은 밥도 맛납니다. 그런데, 썩 좋다 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를 넣은 밥도 맛납니다. 왜냐하면, 좋은 여러 가지에는 좋은 사랑이 깃들고, 썩 좋다 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라 하더라도 이 여러 가지를 다루는 손길에 사랑이 깃들면, 이 밥이든 저 밥이든 모두 한결같이 맛납니다.


- “넌 똑똑한 애니까 아무 걱정도 안 했어.” “걱정을 안 한 게 아니라 관심이 없었던 것 아냐?” (23쪽)
- “괜찮아, 어차피. 기요타카가 죽기 전에도 엄마는 기요타카만 챙겼잖아.” “미호코.” “내가 죽는 게 나았지? 기요타카가 아니라.” “미호코, 무슨 소리니. 똑같이 사랑한다고 말하잖아.” “하지만 엄마. 그런 건 말 안 해도 느낀단 말야. 아무리 아닌 척하려고 해도.” (108쪽)
- “알고 싶어. 같은 자식을 둔 부모로서 왜 그런 일을 저질렀는지.” (181쪽)



 옆지기가 밤새 둘째 아이를 안고 어릅니다. 여러 날째 몸앓이를 하는 둘째 아이를 돌보느라 옆지기는 밤새 제대로 잠들지 못합니다. 새 시골집으로 옮긴 짐을 끌르고 풀며 닦고 치우며 제자리에 놓느라 나는 참 고단합니다. 몸이 고단하니 아이들을 살가이 사랑하는 손길을 내미는 데에 힘을 못 쓰는구나 하고 으레 느낍니다. 몸이 이렇게 힘들면, 몸이 이렇게 아프면, 몸이 이렇게 고단하면, 여느 어버이는 여느 아이한테 어떤 사랑을 어떻게 나눌 수 있으려나요. 이 나라 모든 어버이는 당신부터 너무 힘들거나 아프거나 고단한 나머지, 아이들을 참답고 착하며 곱게 사랑하는 길을 잃거나 놓치거나 내버리지는 않나 궁금합니다. 밥벌이에 지친 탓에, 당신 아이들한테 더 들려줄 사랑이야기를 뒤로 젖힙니다. 밥벌이로 힘겨운 탓에 당신 아이들을 따사로이 껴안을 사랑삶을 뒤로 밀어놓습니다. 밥벌이로 슬픈 탓에 당신 아이들을 사랑스레 바라볼 눈길을 그만 잃습니다.

 어느 어버이가 제 아이를 눈엣가시로 여기나요. 어느 어버이가 제 아이를 걸림돌로 느끼나요. 어느 어버이가 제 아이를 노리개로 삼나요. 어느 어버이가 제 아이를 톱니바퀴처럼 다루나요.

 어느 어버이라도 이 고마우면서 어여쁜 목숨을 사랑할밖에 없습니다. 어느 아이라도 제 고마우면서 어여쁜 어버이를 믿고 사랑할밖에 없습니다.


- “쉽게 말하지 마. 그런 부탁하면 잘린단 말야.” “괜찮아.” “아, 정말! 그렇게 되면 유이치 학원비는 어쩌라고.” “어떻게든 되겠지.” “어째서 자기가 데려간다고는 말하지 않는 거야? 항상 나만!” (47쪽)
- “사람을 죽였어.” “에휴! 엄마는 그런 농담 싫어해. 어쨌든 학원은 제대로 다니거라. 이제 곧 중학생이 될 텐데, 지금까지보다 훨씬 공부가 어려워질 테니까. 왜 엄마가 아르바이트 한다고 생각하니? 전부 네 교육비에 드는 거야. 알고 있니? 유이치! 입이 달렸으면 대답을 해!” “엄마한테는 귀가 달렸어?” (82∼83쪽)


 이토 미노루 님 만화책 《사랑합니다 海容》(비로소,2011) 앞권을 읽습니다. 두 권으로 나뉘어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가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를 끔찍하게 죽이는 슬픔’을 들려줍니다.

 얼추 살피기로는, ‘나이도 어린 것이 어떻게 사람을 죽이느냐’ 하고 생각할 테지만, 나이가 어려서 사람을 못 죽이지 않아요. 나이가 어리든 많든, 제대로 사랑받지 못한 여리고 슬프며 아픈 넋이 자꾸자꾸 더 여리고 더 슬프며 더 아픈 길을 걷고 맙니다.

 몸이며 마음이 아픈 아이가 온몸과 온마음으로 제 어버이한테 외칩니다. 제발 내 아픈 몸과 마음을 달래 달라며 제 어버이한테 외칩니다.

 아이들은 온몸으로 소리칩니다. 제발 나를 나대로 사랑해 달라고 소리칩니다. 끝없는 책과 교재와 학원과 학교와 시험과 자격증과 지식과 상식과 졸업장과 돈벌이로 내 꿈을 짓밟지 말라고 소리칩니다.

 아이들은 해맑게 사랑하고 싶습니다. 아이들은 어린 나날부터 제 어버이한테서 해맑게 사랑하는 길을 물려받지 못합니다. 어버이는 당신 아이들이 해맑게 사랑하는 길을 바라거나 꿈꾸지 않다 보니, 어버이가 바라는 대로 당신 아이들이 살아갈 턱이 없을 뿐 아니라, 이 아이들은 끝없이 스스로를 무너뜨리거나 망가뜨리는 길을 걷고 맙니다. 모두 슬프고 모두 아픕니다. 서로 괴롭고 서로 다칩니다.

 사랑하지 못하면서 사랑받지 못하고, 사랑받지 못하면서 사랑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사랑씨는 마음밭에 늘 자리해요. 사랑씨는 마음밭에서 언제나 기다려요. 사랑씨는 모든 사람들 모든 마음밭에 뿌리를 내리고 싶습니다.


- “우리는 피해자인데 왜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해! 그렇게 타인의 불행이 즐거운 거야? 나쁜 건 범인이잖아.” (69쪽)
- “평범한가요? 평범한 아이가 그런 잔인한 짓을 하나요? 그렇다면 평범하다는 건 도대체 뭔가요?” “울지 마라, 고이즈미. 괴로운 건 피해자의 부모와 가해자의 부모다. 양쪽 모두 지옥이겠지.” (139쪽)
- “우리 집은 (텔레비전에) 나오네. 범인의 학교, 교장, 동급생 모두 모자이크가 걸렸는데 우리만 기요타카 이름과 사진, 집까지 전부 그대로 내보내고 있어.” (150쪽)



 《사랑합니다 海容》은 책이름 그대로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사랑을 잊거나 잃은 사람들 삶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멀리 있는 사랑이 아닌 곁에 있는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어디 육아책이나 인문책이나 역사책에 적바림된 사랑이 아니라, 내 온몸에 아로새겨질 사랑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미워할 사랑이 아닙니다. 홀로 차지할 사랑이 아닙니다. 시샘할 사랑이 아닙니다. 부끄러울 사랑이 아닙니다. 따사로이 아끼는 사랑입니다. 너그러이 얼싸안는 사랑입니다. 살가이 어깨동무하는 사랑입니다. 믿음직하게 마주하는 사랑입니다.


- “사실은 집에 함께 있으면서 보살펴 줘야 하는데. 나쁜 엄마지.” “함께 있는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게 아냐.” “응?” “떨어져 있어도 계속 생각해 주기만 한다면 우리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해.” “유이치 군.” “바로 곁애 있는데도 무척 멀게 느껴져.” “어머니 얘기니?” (201∼202쪽)
- “아니에요. 몰랐을 거예요. 진심이라고요.” “세이코?” “아이의 마음속 깊은 곳은 아무도 몰라요. 다들 똑같아요. 다들 불안해서 견디질 못한다고요.” (216쪽)


 좋은 생각을 좋은 삶으로 잇습니다. 좋은 생각을 좋은 사랑으로 가다듬습니다. 좋은 생각을 좋은 일놀이로 북돋웁니다. 좋은 생각을 좋은 꿈으로 키웁니다. 좋은 생각을 좋은 나날로 펼칩니다.

 학원에 보낸대서 아이들이 똑똑해지거나 손꼽히는 대학교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똑똑해지거나 손꼽히는 대학교에 들어간들 아이들 삶이 즐겁지 않습니다.

 좋은 사랑을 꽃피울 수 있어야 합니다. 좋은 이야기를 꽃피우면 넉넉합니다. 좋은 보금자리에 꽃이 피는 나날이면 아름답습니다. (4344.11.14.달.ㅎㄲㅅㄱ)


― 사랑합니다 海容 (전편) (이토 미노루 글·그림,편집부 옮김,비로소 펴냄,2011.8.22./8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