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등록금 글쓰기


 예방주사 맞히는 돈을 나라에서 대도록 하는 일은 복지가 될 수 없습니다. 예방주사가 어떤 주사인가를 살피고, 예방주사 성분이 무엇인가를 돌아보며, 예방주사 맞은 아이들 몸이 어떻게 나빠지는가를 헤아린다면,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로서 예방주사를 거저로 맞힐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바라지 않아요.

 아이들하고 살아가는 어버이로서 한 가지를 더 생각합니다. 대학등록금이 비싸다며 반값등록금을 정책으로 삼아 달라 목소리가 높습니다만, 대학등록금은 아예 없거나 이대로이거나 해야 한다고 느껴요. 대학등록금을 반토막으로 줄인대서 값이 싸지 않아요. 더구나, 대학등록금을 반토막으로 잘라야 할 까닭이 없어요. 무엇보다 대학교가 대학교답게 슬기로운 곳이 되어야 하고, 대학교를 다닌 아이들이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넋을 건사하도록 이끄는 곳이 되어야 해요. 대학교가 대학교답지 않은데 반토막 등록금을 이룬다 해서 나아질 일이 없어요. 등록금을 반토막으로 깎는 데에 돈을 쓸 노릇이 아니라, 대학교 다스리는 데에 옳게 쓰면서 도서관 북돋우는 데에 돈을 제대로 써야 해요. 굳이 나라에서 돈을 대야 등록금이 낮아지지 않아요. 대학교 얼거리를 확 뜯어고쳐야 등록금이 낮아지면서 참다운 대학 교육이 이루어져요.

 여기에서 다른 대목을 더 생각합니다. 신문마다 방송마다 대학등록금 노래를 부르는데, 이 나라 모든 푸름이가 대학교에 가지 않아요. 대학교에 가지 않는 아이가 아주 많아요. 대졸자 아닌 고졸자로 삶을 일구는 아이가 대단히 많아요.

 어느 신문이고 방송이고 ‘대입시험 대비 기사’를 잔뜩 꾸립니다. 대학입학정보를 아주 많이 싣습니다. 고등학교만 마친 채 사회살이를 할 푸름이를 생각하면서 기사를 꾸리거나 이야기를 엮는 매체는 아주 드물어요.

 인문책이든 사회과학책이든 다르지 않습니다. 고등학교만 마친 눈높이로 즐거이 읽을 만큼 쉬우면서 알맞고 아름다이 엮는 인문책이나 사회과학책은 얼마나 될까요. 인문책이나 사회과학책은 하나같이 ‘대학생부터 읽으라는 눈높이’로 맞출 뿐 아니라, 대학생이 학교에서 듣고 배우는 말마디부터 딱딱하거나 메마르거나 어렵거나 여느 삶하고 등지는 말마디로 굳는구나 싶어요.

 정부가 잘못해서 대학등록금이 비싸지 않습니다. 정부를 나무란대서 대학등록금이 달라지지 않습니다. 삶을 밝힐 수 있으면 됩니다. 대학교를 가야 하지 않습니다. 대학교를 가야 하는 사람이 있듯, 대학교를 안 가도 될 사람이 있어요. 아름다운 삶과 너그러운 사랑과 따사로운 사람을 그린다면, 반값등록금 이야기를 글로 쓰는 겨를 못지않게 여느 자리 수수한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 수수한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느껴요. (4344.11.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