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아기 배꼽 - 세계 옛이야기, 일본 곧은나무 그림책 27
주디 시에라 지음, 메일로 소 그림, 윤여림 옮김 / 곧은나무(삼성출판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은 무엇을 하는 사람으로 자랄까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84] 메일로 소·주디 시에라, 《맛있는 아기 배꼽》(곧은나무,2005)



 좋은 사랑으로 내 옆지기하고 살아가면 두 사람은 생각이며 매무새이며 얼굴이며 몸짓이며 닮기 마련입니다. 다 다른 집에서 다 다른 어버이 사랑을 받으며 다 다른 곳에서 다 다른 길을 걸으며 살던 두 사람이라지만, 같은 보금자리에서 같은 살림을 사랑하며 살아가는 동안 여러모로 동글동글 예쁘게 거듭납니다.

 좋은 사랑으로 살아가는 두 어버이가 아이를 낳아 셋이서 함께 살고 넷이서 함께 살며 다섯이나 여섯이서 함께 살아가면, 이때에도 다 다른 삶 다 다른 나날 다 다른 꿈인 사람들이지만, 서로서로 아끼고 도우며 믿는 아름다움이 꽃으로 피어납니다. 아이들은 사랑을 받아먹으면서 자라요.

 사랑을 받아먹으며 자라는 아이들은 저희한테 사랑을 내어준 어버이한테 새로운 사랑을 베풉니다. 새근새근 잠든 얼굴빛으로도 사랑을 베풉니다. 맑은 목소리와 춤사위와 노래결로도 사랑을 베풀어요. 말썽을 부린다든지 미운 짓을 일삼으면서도 어버이한테 사랑을 베풀어요. 모든 모습 모든 말마디 모든 이야기가 사랑입니다.


.. “아빠, 칼을 만들어 주세요.” “엄마, 수수경단을 한 보따리 만들어 주세요. 오니 섬에 가서 아기들을 구해 올래요.” 우리코의 엄마 아빠는 어린 딸이 걱정되었지만, 개를 데려간다면 가도 좋다고 하는 수 없이 허락했어요. 다음날 아침, 우리코는 반짝반짝 빛나는 새 칼을 옆구리에 차고, 수수경단이 한가득 든 무거운 보따리를 등에 지고 길을 떠났어요 ..  (12∼13쪽)


 늘 돌이키면서 노상 잊지만, 나는 옆지기하고 처음 살아가는 나날부터 ‘둘이 함께 꾸리는 삶’을 제대로 그리지 못했습니다. 아이를 낳은 다음부터 ‘셋이 함께 일구는 삶’을 옳게 그리지 못했습니다.

 두 사람이 어떠한 보금자리를 돌보아야 하는지 헤아리지 못했어요. 세 사람이 어떠한 삶터를 보살펴야 하는가 곱씹지 못했어요.

 둘째 아이를 낳고 살아갈 무렵 비로소 우리 네 식구 살아갈 터전을 그려 봅니다. 네 식구는 어떠한 터전에서 살아야 하는가를 그립니다. 여러 만 권에 이르는 책짐을 꾸려 새로운 터전으로 옮기는 일이 생기더라도, 두 아이와 옆지기와 내 삶을 톺아본다면, 우리 넷은 가장 아름다이 어우러질 가장 사랑스러운 터를 찾아야 한다고 느껴요.

 비싼 집이 아니라 좋은 집에서 살아야지요. 그냥 시골집이 아니라 나 스스로 고운 목숨이요 자연인 줄 느끼면서 살아숨쉴 곳에서 살아야지요. 내 손으로 보듬을 살림이고, 내 몸뚱이로 건사할 집안일이에요. 내 꿈을 이루는 일이면서 내 넋을 살찌우는 놀이예요.


.. 네 친구는 가파른 길을 따라 절벽 꼭대기까지 올라갔어요. 그러고는 씩씩하게 성문을 두드렸지요. 문이 끼익 열려서 위를 쳐다보니까, 털이 부숭부숭 난 무릎이 보이더니, 그 다음에는 커다란 배꼽, 대장 오니의 초록빛 얼굴, 그리고 뾰족한 뿔이 차례로 보였어요. 하지만 대장 오니는 자기보다 아주아주 작은 여자 아이와 개와 꿩과 원숭이를 보지 못했어요 … 대장 오니가 소리쳤어요. “누가 감히 우리에게 저렇게 버르장머리없이 말하는 거지? 우리 성에 보이지 않는 귀신이라도 있는 거냐?” 그러고는 마당을 뛰어다니며 구석구석을 살폈어요. 마침내 우리코와 우리코의 작은 친구들을 발견하고는 배가 아프도록 웃어댔지요. 눈물까지 흘리면서 말이에요 ..  (20, 25쪽)


 아이들은 사랑하는 사람으로 자랍니다. 아이들은 공무원으로 일할 사람으로 자라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돈을 잘 버는 회사원이 될 사람으로 자라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처음부터 교사나 간호사나 의사나 변호사로 자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어떤 일자리나 돈벌이자리를 찾더라도, 아이들은 저마다 곱게 다스릴 사랑을 품에 안는 사람으로 자랍니다.

 아이들은 전쟁무기 만드는 일꾼으로 자랄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전쟁무기를 새로 빚는 과학자로 자랄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유전자 건드린 곡식으로 떼돈을 버는 화학식품회사 연구원으로 자랄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군수나 도지사나 시장이 될 사람으로 자랄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너르며 깊은 가슴을 아끼는 사랑이로 자랍니다. 아이들은 누구나 저희 어버이한테서 가장 예쁘게 사랑을 받는 가장 예쁜 넋을 어루만지면서 자랍니다.

 그림책 《맛있는 아기 배꼽》(곧은나무,2005)에 나오는 ‘수박 공주’ 또한 가장 예쁘게 사랑을 받는 가장 예쁜 아기로 태어납니다. 가장 예쁘게 사랑받으며 자란 수박 공주는 제가 어버이한테서 받은 사랑을 제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한테 예쁘게 베풉니다. 미운 짓을 일삼는 벗한테도 사랑을 베풉니다. 수박 공주 스스로한테도 사랑을 베풉니다. 언제나 가장 빛나는 맑은 눈빛을 펼칩니다.


.. “너희들, 이 섬에서만 살아야 돼! 다시는 우리 쪽에 한 발짝도 들어와서는 안 돼!” “절대로 안 갈게요. 약속해요, 아앙 아앙.” 오니들이 울면서 말했어요. “제발 우리끼리 살게 떠나 주세요, 아앙 아앙.” 오니들이 어찌나 울어대는지, 우리코는 이들에게도 수수경단을 하나씩 나누어 주었답니다 ..  (28쪽)


 씩씩하고 튼튼한 아이를 바라는 아버지는 씩씩하고 튼튼한 넋을 아이한테 물려줍니다. 믿음직하고 어여쁜 아이를 바라는 어머니는 믿음직하고 어여쁜 얼을 아이한테 이어줍니다.

 나는 우리 아이한테 무엇을 물려줄 만할까요. 내 옆지기는 어머니로서 아이한테 무엇을 이어줄 만한가요.

 우리 아이는 착한 아이로 자랄 수 있겠지요. 우리 아이는 고운 넋을 북돋울 수 있겠지요. 우리 아이는 참다운 길을 당차게 걸을 수 있겠지요. 우리 아이는 밝은 꿈을 빛낼 수 있겠지요.


.. 우리 도깨비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문건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일제강점기에 ‘오니’의 모습이 교과서에 실려 알려지자 무서운 속도로 ‘도깨비’가 ‘오니’의 모습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35쪽/덧붙임말)


 그림책 《맛있는 아기 배꼽》 끝자락에 덧붙임말 하나 붙습니다. 《맛있는 아기 배꼽》에 나오는 이들은 ‘일본 오니’요 ‘한국 도깨비’가 아니라는 덧붙임말을 들려줍니다. 꽤 많은 한국 그림책은 ‘일본 오니’ 모습이 마치 ‘한국 도깨비’라도 되는 듯이 잘못 그립니다. 오늘날까지 거의 바로잡히지 않습니다. 아이들보다 어른들부터 일본 오니랑 한국 도깨비를 제대로 가누지 못해요. 아니, 생각조차 하지 않아요.

 곰곰이 살피면, 이 나라 어른이 제대로 살피지 않는 일은 오니랑 도깨비 한 가지만이 아닙니다. 옳은 삶과 그른 삶 또한 제대로 살피지 않아요. 착한 사랑과 나쁜 짓을 알맞게 가리지 않아요. 고운 꿈과 돈벌이 꿍꿍이를 슬기롭게 다독이지 않아요.

 아이들과 그림책을 읽기 앞서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이 그림책을 읽으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를 살피기보다, 이 그림책을 장만한 나부터 이 그림책을 읽는 동안 어버이로서 착하고 맑은 빛살을 따숩게 끌어안자고 다짐합니다. 아이들은 저희 어버이랑 그림책 하나 읽는 겨를을 즐기면서 예쁜 빛줄기를 가슴으로 품을 수 있도록 머리를 쓰다듬자고 생각합니다. (4344.11.1.불.ㅎㄲㅅㄱ)


― 맛있는 아기 배꼽 (메일로 소 그림,주디 시에라 글,윤여림 옮김,곧은나무 펴냄,2005.9.1./58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