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둘하고 시골길 걷기
 [고흥살이 1] 볕살 따가운 한낮에



 아침을 먹고 나서 바깥마실을 하기로 합니다. 나는 새 보금자리 손질하랴 집일을 하랴 눈코 뜰 사이가 없지만, 아무리 집에서 할 일이 많더라도 아이들이 새 보금자리로 왔는데 바깥마실을 못하며 지낸다면 너무 갑갑하겠다고 생각합니다. 엊그제에는 둘째가 새근새근 잠든 동안 옆지기가 첫째 아이를 데리고 두 시간 즈음 바깥마실을 다녔습니다. 둘째가 깰까 조마조마하기도 했지만, 둘째는 고맙게 새근새근 잠을 잤고, 나중에 잠을 깰 무렵에는 집일하던 일손을 살짝 멈추고 아이하고 놀며 쉬었습니다.

 새 보금자리로 모든 짐을 옮기지 못했습니다. 아직 끝방을 다 못 치웠고, 책짐을 풀어놓을 옛 흥양초등학교 빈 교실 네 칸을 못 치웠어요. 책 놓을 자리는 책이 들어온 다음에 부랴부랴 치우며 책을 갈무리할 수 있다지만, 집살림을 마저 들일 끝방을 못 치우면 일이 안 되니까 마음만 바쁩니다.

 내 집이라는 곳을 얻었다는 느낌을 아직 제대로 모릅니다. 벽종이를 바르면서 벽종이를 어떻게 발라야 하는 줄 떠올리지 못합니다. 어설프고 어수룩하게 벽종이를 바르다가 뒤늦게 깨우칩니다. 뒤늦게 깨우친 대로 벽종이를 바르니 구김살이나 뜬 데가 없이 말끔합니다. 내 어린 날, 어머니랑 형이랑 벽종이를 바를 때에도 이렇게 했을 텐데, 왜 그때 일을 옳게 되새기지 못할까요. 마음이 바쁘대서 일이 잘 풀릴 수 없는데, 왜 이리 서두를까요.

 시월 삼십 날인데 볕살이 퍽 따갑습니다. 방온도는 25도이고 바깥은 더 따뜻하니까,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날씨는 27도는 넘으리라 생각합니다. 갓난쟁이 둘째를 안고 걷자니 땀이 솔솔 납니다. 지난 한 해를 머물던 충청북도 멧골자락을 헤아리니, 남녘이 참 따뜻하기는 따뜻하고, 멧자락에 깃든 시골집은 춥기는 춥구나 싶어요.

 옆지기는 멧등성이 타는 길을 못 찾았다고 합니다. 그러면 아직 안 가 본 길을 가면 멧등성이 타는 데가 나올 수 있겠지요. 밭뙈기를 따라 멧길을 찾다 보면 으레 무덤만 나온답니다. 척 보기에도 멧기슭 따라 볕 잘 드는 자리에 무덤이 꽤 많습니다. 예부터 뿌리내린 이곳 사람들 무덤입니다. 흙을 일구며 흙하고 살아온 사람들 마지막 쉼터입니다.

 나는 반바지를 입고 옆지기랑 첫째 아이는 긴바지를 입습니다. 들풀 아직 우거진 멧길을 따라 걷자니 풀씨가 긴바지에 잔뜩 달라붙습니다. 따갑습니다. 이 멧길을 오르자면 낫을 들고 와서 풀을 베야 할까 싶어요. 한참 아이를 업고 멧길을 오르니, 끝자락에는 어김없이 무덤이 나타납니다. 이 무덤을 따라 더 올라가면 또다른 무덤이 나올까요. 낯모르는 분들 무덤가에 돗자리 깔고 앉아서 해바라기하며 쉬기에는 멋쩍을까 싶지만, 다리쉼을 하거나 그늘쉼을 하며 지나가는 일은 괜찮겠지요.

 오늘은 첫째 아이가 많이 졸려 하고, 둘째 아이도 업힌 채 잠들어 일찍 내려오기로 합니다. 다음에는 더 깊이 들어서며 다른 멧길을 찾아보고 싶습니다. 멧자락 따라 마련한 마을밭은 둑이 꽤 높습니다. 멧길로 접어드는 길목에서 지나가는 밭둑은 어른 키보다 훨씬 높아 하나도 안 보입니다. 숨은 길 찾는 놀이를 할 만합니다. 무슨 까닭으로 이렇게 밭둑을 높였을까요. 꼭 굴길을 낸 듯한 거님길이에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대나무밭을 스칩니다. 짧은 대나무 조각 있어 살짝 줍습니다. 첫째 아이한테 좋은 놀잇감이 됩니다. 대나무 막대기 든 아이는 씩씩하게 앞장서서 걷습니다. 멧길을 업고 오르내렸더니 몸이 좀 나아졌나 봐요. (4344.10.3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