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말(인터넷말) 83] 우리교육On, 콘서트, 인문학 캠프

 그리 멀지 않은 지난날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를 드러내어 적었습니다. 한자를 드러내어 적는 일이 ‘글을 쓸 때에 멋과 맛을 한결 살리는 길’이라 여겼습니다. 입으로 말을 할 때에는 어떤 한자를 쓰는지 알 길이 없을 뿐 아니라, 한자를 쓰는지 안 쓰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우비’면 우비이지, 이 우비가 ‘우비’인지 ‘雨備’인지를 딱히 모르면서, 굳이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다만, 사람들이 서로서로 쉽고 살가이 말을 주고받으려 한다면 ‘비옷’처럼 토박이말을 쓸 테지요. 이제 삶터가 달라지고 온누리가 뒤바뀌면서, 이 나라 지식인이 쓰는 글과 말 또한 차츰 달라지거나 뒤바뀝니다. 이제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보다 알파벳을 드러내어 적습니다. 한글로 알맞고 쉽게 글을 쓰려 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을 올바르고 살가이 나누려 하지 않습니다. 돌이켜보면, ‘콘서트’는 영어라기보다 들온말이라 할 만큼 사람들 입에 익은 낱말이지만, 곰곰이 따지면 ‘노래잔치’나 ‘노래마당’이나 ‘노래놀이판’으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캠프’라는 영어 또한 온갖 곳에 두루 쓰면서 ‘인문학 캠프’라고까지 일컫지만, ‘인문학 모임’이나 ‘인문학 얘기마당’이나 ‘인문학 말잔치’나 ‘인문학 잔치’나 ‘인문학 슬기잔치’나 ‘인문학 열린터’처럼 새롭게 이야기할 만합니다. 생각을 열 때에 삶을 열고, 삶을 열 때에 생각을 열면서, 말과 글을 함께 아름다이 열 수 있습니다. (4344.7.31.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