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책읽기
병원에서는 항생제를 놓고 진통제를 놓으며 지혈제를 놓으면서 ‘자연분만’이라는 이름을 함부로 씁니다. 자연분만이란, 이름 그대로 자연스레 아이를 낳는 일이에요. 항생제나 약물을 쓰지 않을 뿐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가 애 어머니 배를 꾹꾹 누르는 한편, 힘껏 잡아당겨 아기를 쑤욱 뽑아내는 일이 아닙니다. 애 어머니 샅을 가위로 싹둑 자르면서 자연분만이라는 이름을 함부로 쓸 수 없어요. 그런데, 어쩔 수 없이 구급차를 불러 병원으로 애 어머니와 함께 찾아와서 가까스로 아기를 낳고 나서 살며시 숨을 돌린 다음, 병원에서 내는 책자를 펼치니, 병원 의사가 하는 말, ‘뱃속에 쌓이는 똥(숙변)’이란 없다고 합니다.
갓 태어난 아기한테는 예방주사를 맞히지 않겠다 하고, 가루젖을 먹이지 않겠다 했으나, 이 말을 열 번 가까이 되풀이한 끝에 겨우 예방주사를 안 맞히도록 하고 가루젖을 안 먹이도록 했습니다. 그렇지만, 피를 멎게 한다는 항생제 주사는 우리한테 말하지 않고 그냥 놓습니다. 종이기저귀를 대어도 자주 갈아 준다면서, 천기저귀를 쓰지는 않겠답니다. 천기저귀를 그때그때 빨아서 주겠다 해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피멎이 항생제는 어떤 화학물질로 만든 약물일까 궁금하지만, 병원 의사나 간호사들은 이러한 항생제 성분을 헤아리거나 살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방주사를 안 맞히겠다는 말을 열 차례나 되풀이하도록 한 병원인 만큼, 이곳 병원에서는 예방주사는 아주 마땅히 놓아야 하는 줄 여깁니다. 미국 의사가 쓴 《예방주사 어떻게 믿습니까》 같은 책을 읽었거나 살피거나 아는 의사나 간호사는 얼마나 될까 궁금합니다만, 이러한 책을 읽거나 살피거나 안다 하더라도 살갗으로 와닿도록 느끼는 이는 있을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집에서 자연스레 아기를 낳으려고 이모저모 살피며 갖추었지만, 아이 어머니와 아버지 스스로 더욱 자연스레 내 살림을 꾸리지 못했기 때문에, 아기낳는 막날에 끝내 집에서 자연스레 못 낳았다고 느낍니다. 다만, 한 가지를 생각합니다. 자연스레 아이를 낳지 못했으나, 이렇게 해서 태어난 우리 아이라 하더라도 참으로 어여쁘며 고맙고 사랑스럽습니다. 나와 옆지기는 우리 아이한테 이런저런 ‘장애 검사’를 하는 일을 하나도 반기지 않으며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장애가 있건 없건 대수롭지 않을 뿐 아니라, 장애 검사를 미리 한대서 장애를 막을 수 있지 않는데다가, 아기를 낳을 때 맞히는 갖가지 주사와 약물 때문에 장애가 생기니까요. 너무 밝은 갓난아기방이라든지, 갓난아기한테 가루젖을 먹이고 포도당을 먹이려 하는 일부터 아기 삶과 목숨을 너무 안 살피는 노릇입니다.
의사나 간호사 노릇을 하자면 무슨 책을 읽어야 할까요. 의사나 간호사 자리에 선 다음, 이들 의사와 간호사는 어떠한 책을 더 꾸준히 살피거나 찾아서 읽을까요. 이틀 뒤 병원 문을 나선 뒤로는 다시금 병원을 찾지 않도록, 옆지기와 나는 더 바지런히 내 삶을 사랑하면서 살아야겠고, 네 식구 삶과 살림을 가꾸거나 지킬 책을 한결 알뜰히 살피며 읽어 받아들여야겠다고 다짐합니다. (4344.5.21.흙.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