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 소식지에 싣는 글. 원고지 8장으로 글을 줄여야 한대서 아예 새로운 글로 쓰다) 



 함께 읽는 책 1 - ‘환경책’은 어떻게 읽어야 좋을까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는지는 누가 따로 가르치거나 알릴 수 없습니다. 나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에 따라 내가 읽고 싶은 책이 달라집니다. 내가 내 삶을 어떻게 일구느냐에 따라 내 손에 쥘 책이 바뀝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별을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지구별 사랑’이 담긴 책에 저절로 눈길이 갑니다. 돈을 조금 더 많이 벌어야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돈 잘 버는 이야기’가 담긴 책에 저절로 손이 갑니다. 지구자원과 전기를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모든 발전소 문제를 다룬’ 책이라든지 ‘다른 길로 전기 얻기’를 보여주는 책에 마음이 갑니다.

 널리 손꼽히는 《침묵의 숲》 같은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다지 손꼽히지 않으나 《수달 타카의 일생》을 읽을 수 있겠지요.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 같은 책을 찾아 읽으면서 예방접종과 얽힌 속내를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 같은 책을 읽더라도 똑같이 예방접종을 놓는 분이 많습니다. 이 책을 읽지 않고도 예방접종을 안 놓는 분이 많습니다. 책 하나를 일구려고 숱한 사람이 숱한 땀을 쏟아서 열매를 맺지만, 이러한 이야기를 나 스스로 읽었어도 내 삶하고 걸맞지 않기 때문에 안 받아들이거나 못 받아들이곤 합니다. 따로 책을 읽지 않았으나, 내 몸이 느끼기 때문에 스스로 나서서 한결 옳으면서 더욱 바르며 아름다운 길을 걷는 사람이 있어요.

 실러 키칭거라는 서양사람이 쓴 《아기가 온다》는 아이를 낳으려는 분이라면 곁에 놓고 곰곰이 읽고 살피면 좋은 책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 책은 어느새 판이 끊어져 헌책방 아니고서는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무슨무슨 소설책이 몹시 잘 팔리고, 어떠한 책은 해마다 만 권이니 십만 권이니 팔리는데, 내 몸을 헤아리거나 우리 아이들을 돌아보는 이야기를 담은 책은 사랑받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스물세 권에 이르는 만화책 《우주소년 아톰》이 있습니다. 아톰 만화영화를 본 사람은 많을 테지만, 막상 아톰 만화책을 곰곰이 읽은 사람은 매우 적으리라 봅니다. 아톰 만화가 무슨 이야기를 다루며 어떤 줄거리인지 아는 분도 참 적으리라 봅니다. 《우주소년 아톰》을 그린 데즈카 오사무 님이 내놓은 《블랙잭》이라는 만화책에 깃든 넋과 사랑이 무엇인가를 받아들이며 곰삭일 분은 훨씬 적으리라 봅니다.

 흔히들 ‘환경책’이라는 이름을 붙여야 환경책이겠거니 여기지만, 참으로 환경책이라 할 환경책은 굳이 ‘환경책’ 이름표를 붙이지 않습니다. 내 삶과 내 터전과 내 사랑과 내 사람을 알뜰히 보살피거나 껴안으려는 넋이 깃들 때에 비로소 환경책입니다. 내가 하루하루 꾸리는 삶을 아름다이 돌보도록 돕는 길동무와 같은 책이 곧 환경책입니다. 4대강사업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담아도 환경책은 되겠지요. 권정생 님이 쓴 《우리들의 하느님》도 훌륭한 책이 되겠지요. 그러나 《우리들의 하느님》을 읽었으면서 자가용하고 헤어지지 않았다면, 이 책을 읽어서 어디에 쓸 사람이 될까 궁금합니다.

 책을 읽는다 할 때에는 내 삶을 읽으면서 내 삶이 차츰차츰 착하고 참다우며 아름다운 길을 걷도록 힘쓰겠다는 뜻이어야 합니다. 어느 책보다 환경책은 지식책일 수 없고, 삶책일 뿐입니다. (4344.3.25.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