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왜 어른들한테 높임말을 써야 하나요
 : 어른이기 때문에 높임말을 써야 하지 않습니다. 어른은 나하고 견주면 손윗사람입니다. 손윗사람이기 때문에 높임말을 씁니다. 손윗사람을 함부로 깎아내리는 일은 나한테 반갑거나 즐겁거나 좋은 일이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손아랫사람이라 해서 함부로 깎아내리는 일 또한 썩 반갑거나 즐겁거나 좋은 일이 되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면, 손위사람한테든 손아랫사람한테든 말을 낮추어서 써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누구한테나 서로를 높이는 말을 써야 즐거우며 반갑습니다. 길에서 장사하는 사람이라 해서 낮춤말이나 반말을 함부로 써도 되지 않습니다. 밥집에서 밥을 돈을 내어 사서 먹는다기에 밥집 일꾼한테 낮춤말이나 반말을 마구 써도 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를 아끼며 사랑하는 말을 써야 즐거우며 반갑습니다.

 26. 어른들은 왜 우리들한테 반말을 쓰나요
 : 어른한테 푸름이나 어린이는 손아랫사람입니다. 어른 가운데 푸름이나 어린이한테 반말을 쓰는 사람은 푸름이나 어린이가 손아랫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푸름이나 어린이한테 반말을 쓰는 어른은 당신보다 한 살이라도 어린 어른이라면 푸름이와 어린이한테 하듯 똑같이 반말을 씁니다. 오로지 나이로만 사람을 살피기 때문에 쉬 반말을 써요.

 27. 우리들은 왜 고운 말 바른 말을 써야 하나요
 : 곱거나 바른 말은 따스하거나 너른 사랑과 믿음을 담는 말입니다. 곱거나 바른 말로 내 생각을 들려주면, 나한테서 곱거나 바른 말을 듣는 사람은 한결 따스하면서 넉넉한 마음을 함께 받습니다. 말에 담긴 줄거리뿐 아니라 말에 서리는 사랑을 함께 나눕니다. 이때에는 말을 듣는 사람뿐 아니라 말을 하는 사람 또한 따스하면서 넉넉할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내 손과 입으로 고운 말을 들려줄 때에는, 내 마음과 가슴과 몸에 고운 기운이 감돌면서 한결 사랑스럽습니다. 나부터 내 손과 입으로 바른 말을 펼칠 때에는, 내 마음과 가슴과 몸에 바른 넋이 흐르면서 더욱 믿음직합니다. 내 이웃과 동무랑 다 함께 아름답게 살아가고 싶기에 고우며 바른 말을 쓰자고 이야기합니다.

 28. 사투리와 방언을 같은 말인가요
 : 다른 말입니다. ‘사투리’는 우리말이고 ‘방언(方言)’은 중국말이에요. 다만, 두 낱말은 뜻이 같아요.

 29. 사투리는 왜 쓰나요
 : 사투리는 고장말입니다. 저마다 살아가는 고장이 다르니까, 다 다른 고장 삶터에 따라 다 다른 말을 써요. 멧골마을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멧골자락에서 멧골 기운을 받아들이며 멧골말을 쓰고, 바닷마을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바다 기운을 받아들여 바닷말을 쓰며,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도시 기운을 받아들여 도시말을 씁니다. 똑같은 고장이 없고, 똑같은 삶터가 없습니다. 일본사람과 중국사람이 쓰는 말도 더 넓게 살피면 일본 고장과 중국 고장에서 쓰는 말인 셈입니다. 고장말이란 고장 빛깔을 드러내는 말이요, 우리 스스로 이웃 고장을 살피며 이웃 고장 사람이 쓰는 말을 알뜰히 익히거나 살핀다면, 서로서로 더 살가이 사귈 수 있습니다.

 30.  띄어쓰기를 꼭 해야 하나요
 : 띄어쓰기는 안 해도 됩니다. 우리말에는 띄어쓰기가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띄어쓰기를 받아들여 쓰는 까닭은, 글을 쓰기 때문입니다. 말을 하면서 낱말마다 또박또박 띄어서 말하는 사람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말은 그저 술술 합니다. 글을 쓰며 띄어쓰기를 하는 까닭은, 누군가 쓴 글이 제대로 빨리 잘 읽히도록 도와주고 싶기 때문입니다. 띄어쓰기란, 글이 잘 읽히도록 하는 글쓰기 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31. 순우리말은 얼마나 되나요
 :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알 수 있기도 합니다. 말사랑벗이 읽는 어린이책을 가만히 살펴보면 됩니다. 어린이책에 쓰는 낱말하고 어른책에 쓰는 낱말이 사뭇 다른데, 어른책은 온갖 지식과 정보를 다룬다면서 외국말인 한자말과 영어를 지나치게 함부로 많이 섞습니다. 어린이책에는 우리 겨레 말과 글을 옳고 바르게 익히도록 하자면서 되도록 우리 겨레 말과 글을 알뜰히 쓰려 합니다. 모든 소리말·빛깔말·느낌말·시늉말을 국어사전에 담을 수는 없으나, ‘토박이말 사전’을 엮을 때에 20만 낱말은 되지 않겠느냐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전으로 엮는 낱말 숫자가 얼추 20만이나 30만이 된다고 할 뿐, 우리 나름대로 새롭게 빚어서 쓸 수 있는 낱말은 훨씬 많습니다. 국어사전에 못 실리는 낱말을 아우르면 100만을 훌쩍 넘어섭니다.

 32. 짱, 레알, 즐과 같은 언어를 써도 되나요
 : 어떠한 말이든 쓰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낮춤말이나 막말이라 하더라도 쓰고픈 사람은 써야 합니다. 그러나, 낮춤말이나 막말이나 남을 깎아내리는 말이나 얄궂게 줄여서 쓰는 말이나 서툴게 받아들여 엉성하게 쓰는 말이란, 이 말을 듣는 사람에 앞서 이 말을 쓰는 사람 마음을 어지럽힙니다. 남들이 쓰니까 나도 따라서 쓰는 말이 아니라, 나 스스로 사랑할 만하다고 여기는 말을 쓰면 좋겠어요. 남들이 이런 말을 하든 저런 말을 하든, 나부터 두루 아끼며 기뻐할 만한 말을 슬기롭게 찾아서 쓰면 좋겠습니다.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