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필요 : “꼭 필요하다”라 말하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한자말 ‘필요’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를 뜻하는 줄 모르고 하는 말입니다. ‘꼭’과 ‘반드시’는 뜻이 같은 우리말입니다. 그러니까 “꼭 필요한 서류”나 “꼭 필요한 물건”이라 말하면 겹말이 돼요. 한자말로 이야기하고 싶으면 “필요한 서류”라 하고, 우리말로 얘기하고프다면 “꼭 있어야 할 서류”나 “꼭 챙길 서류”라 해야 알맞습니다.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 내 도움이 필요하면
→ 내가 도와야 하면
→ 내가 도울 일이 있으면


42. 인간 : ‘인간’이라는 한자말은 ‘사람’이라는 우리말을 한자로 나타내는 낱말입니다. 그러나 어느새 이러한 말짜임을 잊고 맙니다. ‘인간’이랑 ‘사람’을 사뭇 다른 자리에 써야 할 낱말로 여겨 버릇해요. 가만히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인간’과 ‘사람’을 영어로 옮긴다면, 또 노르웨이말이나 네덜란드말로 옮긴다면 어떻게 적어야 할까요. 덴마크사람이나 버마사람한테 우리말을 가르친다 할 때에 ‘인간’이랑 ‘사람’을 어떻게 가르쳐 주어야 할까요. “저 인간 좀 보라구.” 같은 대목은 “저 사람 좀 보라구.”로 고쳐쓰면 되지만, 느낌을 달리하자면 “저놈 좀 보라구.”나 “저 녀석 좀 보라구.”나 “저 쓸개빠진 녀석 좀 보라구.”나 “저 머저리 좀 보라구.”처럼 다 다른 낱말을 넣어야 합니다. 우리들은 ‘사람’이라는 우리말을 잊으면서, 사람들 모습과 삶을 나타낼 숱한 말투 또한 잊습니다.

[인간(人間) : 사람]
※ 인간적인 생활
→ 사람다운 삶


43. 행복 : ‘복(福)된’ 일이란 “복을 받아 기쁘고 즐거운” 일을 일컫습니다. ‘행복’이란 곧 ‘즐거운 일’, ‘즐거움’입니다. 하루하루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이란, 말 그대로 “즐거운 삶”이고, 이를 한자말로 옮길 때에는 “행복한 생활”이 돼요. 말 한 마디 즐겁게 나누고, 생각 한 자락 즐거이 펼칩니다. 글 한 줄 즐겁게 쓰고, 이야기 한 자락 즐거이 주고받습니다.

[행복(幸福) : 복된 좋은 운수]
※ 불행과 행복
→ 슬픔과 기쁨
→ 궂은 일과 좋은 일
※ 행복해 보이다
→ 즐거워 보이다
→ 좋아 보이다
→ 흐뭇해 보이다


44. 상상 : 마음속으로 그리는 일이란 ‘생각’입니다. 마음으로 꾸는 삶이니 ‘생각’해 보는 삶입니다. 예부터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고 했는데, 생각하는 사람이란 내 삶을 곰곰이 돌아보면서 슬기롭고 알차게 일구려는 사람입니다. 터무니없는 꿈이 아니라, 이루기 힘들더라도 차근차근 이루어 가려는 꿈을 품는 사람이 바로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상상(想像)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봄]
※ 상상 밖의 일
→ 생각 밖 일
→ 생각도 못한 일
→ 생각조차 못할 일
→ 생각을 벗어난 일
→ 생각을 뛰어넘는 일
→ 꿈 같은 일


45. 안녕 : 우리 집 아이를 보는 어른들은 으레 ‘바이바이(bye-bye)’라는 영어를 씁니다. 아이는 이런 인사말이 영어인 줄 모르고 따라합니다. 옆에서 보던 아빠가 못마땅한 나머지 “잘 가셔요.” 하고 말하면 아이는 어느새 “잘 가셔요.”라는 말을 따라합니다. 아이보다 서넛이나 너덧 위 언니 오빠들이 아이를 보며 “안녕.” 하고 인사를 하면 아이도 “안녕.” 하고 따라합니다. 곁에서 지켜보던 아빠가 슬그머니 “또 봐요.” 하고 말하면 아이도 스스럼없이 “또 봐요.” 하며 따라합니다.

[안녕(安寧) : 아무 탈 없이 편안함. 편한 사이에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정답게 하는 인사말]
※ 사회의 안녕을 유지하다
→ 사회가 걱정없게끔 지키다
→ 사회에 걱정이 없게끔 지키다
→ 사회가 튼튼하도록 지키다
※ 안녕, 또 만나자
→ 잘 가, 또 만나자
→ 잘 들어가, 또 만나자
→ 살펴 가, 또 만나자


46. 태양 : 하늘에 뜬 해를 놓고는 ‘해’라 하기보다 ‘태양’이라 하면서, 하늘에 걸린 달을 놓고는 딱히 ‘달’ 아닌 다른 이름을 쓰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영어로 ‘썬(sun)’이나 ‘문(moon)’을 말하는 사람이 꽤 늘어납니다. 그나마 ‘썬에너지’라 안 하고 ‘태양에너지’라 하니 고맙다 해야 할는지 모르겠으나, 우리는 햇빛과 햇볕조차 제대로 가누어 쓰지 못하기 때문에, ‘햇볕힘’ 같은 말마디를 알뜰히 살피거나 살찌우지 못합니다.

[태양(太陽) : 태양계의 중심이 되는 항성]
※ 태양에너지
→ 햇볕에너지
→ 햇볕힘


47. 최상 : 가장 높으니 “가장 높다”입니다. 가장 낮으니 “가장 낮다”입니다. 가장 나을 때에는 “가장 낫다”에요. 가장 나쁘기에 “가장 나쁘다”입니다.

[최상(最上) : 수준이나 등급 따위의 맨 위]
※ 최상의 선택이다
→ 가장 낫게 고르다
→ 가장 잘 고르다
→ 가장 잘 되다
→ 가장 낫다


48. 완전 : “완전 짱이야.” 같은 말마디를 쉽게 듣습니다. 어린이도 쓰고 푸름이도 쓰며 어른도 씁니다. 누가 먼저 썼는지 모르겠으나, 이러한 말마디를 곰곰이 되짚는 사람은 몹시 드뭅니다. “아주 훌륭해.”라든지 “참 좋아.”라든지 “몹시 대단해.”라 말하는 사람은 차츰 사라집니다. “완전히 엄마가 된 기분이네.” 같은 말마디도 쉽게 듣습니다. “아주 엄마가 된 느낌이네.”라든지 “꼭 엄마가 된 듯하네.”라든지 “마치 엄마가 된 듯하네.”라 말하는 사람 또한 나날이 사라집니다. 우리말은 ‘아주’ ‘깡그리’ ‘송두리째’ ‘모조리’ ‘온통’ ‘참말로’ 우리말다움을 잃습니다.

[완전(完全) :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져 모자람이나 흠이 없음]
※ 완전히 실망이야
→ 매우 실망했어
→ 아주 미워
→ 너무 안타깝구나
→ 참 안쓰럽구나


49. 가족 : 한자말이라는 테두리에서는 같으나, ‘가족’은 일본사람이 쓰는 낱말이고, ‘식구(食口)’가 한국사람이 쓰는 낱말입니다. 이와 비슷한 얼개로, ‘혼인(婚姻)’과 ‘결혼(結婚)’이 있어요. ‘혼인’이 한국사람 낱말이요, ‘결혼’은 일본사람 낱말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 삶터를 돌아보면, 한국말인가 일본말인가를 옳게 가르거나 살피지 않습니다. 그냥 아무렇게나 씁니다. 따지고 보면, 일본말만 아무렇게나 쓰지는 않아요. 영어도 어느 곳에나 거리끼지 않고 써요. 이러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말을 옳게 쓰거나 바르게 쓰지는 않습니다. 말을 살리는 넋이나 글을 북돋우는 얼을 생각할 수조차 없이 메마른 우리나라입니다.

[가족(家族) : 부부와 같이 혼인으로 맺어지거나, 부모·자식과 같이 혈연으로 이루어지는 집단]
※ 가족을 부양하다
→ 식구를 먹여살리다
→ 살붙이를 먹여살리다
※ 가족적 분위기이다
→ 따스한 느낌이다
→ 오순도순 좋다


50. 충분 : 말을 제대로 살피면 생각을 한결 깊이 할 수 있습니다. 생각을 한결 깊이 하는 사람은 내 삶을 더욱 차분히 일굽니다. 말사랑벗들은 둘레 어른들이 “밥은 충분히 먹었니?” 하고 묻는 말을 더러 들은 적 있나 궁금합니다. 예전에는 어느 어른이든 “밥은 배불리 먹었니?” 하고만 물었습니다. 지난날 어른들은 일터에서 “돈은 넉넉히 받나?” 하고 얘기했으나, 이제는 “보수(報酬)는 충분히 지급(支給)되나?” 하고 이야기합니다.

[충분(充分) : 모자람이 없이 넉넉함]
※ 이만 하면 충분하니
→ 이만 하면 넉넉하니
→ 이만 하면 되니
→ 이만 하면 괜찮니
※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다
→ 솜씨를 제대로 뽐내다
→ 솜씨를 마음껏 펼치다
→ 솜씨를 실컷 보여주다
 

(최종규 . 2011 -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