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으면서 만화책 읽기
지난주에 서울마실을 했을 때에 가방이 넘치도록 책을 장만했다. 천으로 된 가방에도 책을 잔뜩 담아 팔뚝에 걸쳤다. 등허리가 휘겠구나 싶어 시내버스를 잡아타고 한 정류장을 가서 내린다. 전철역에서 내려 만화책방에서 만화책을 사고 나온 길이었기에 갈아타기가 되어 찻삯을 더 치르지 않는다. 걸음으로는 두 정류장이라 두 정류장을 걸어가든 버스로 가든 할 수 있는데, 한 정류장만 버스로 움직인다. 나머지 한 정류장 길에서는 천가방에서 만화책 하나를 꺼내어 읽는다. 어깨가 무거워 버스를 탔지만, 거칠게 모는 버스에서는 속이 메스꺼워 금세 내렸다. 고작 한 정류장을 버티었다. 시골에서 시골버스를 타던 때하고는 너무 다르다. 시골버스 일꾼은 도시버스 일꾼처럼 거칠게 모는 일이 없다. 자동차가 지나치게 많을 뿐더러 길가마다 끔찍하도록 자가용들이 줄지어 섰으니 도시버스 일꾼들이 버스를 거칠게 몰밖에 없지 않을까. 도시에서는 버스 일꾼이 일하는 보람과 값과 뜻을 얼마나 느끼거나 헤아릴 수 있을까. 그저 다달이 돈 버는 일 빼놓고 무슨 즐거움이나 기쁨이나 사랑을 살필 수 있을까. 버스 일꾼부터 더 보람되이 일하기 어려운 만큼, 버스를 타는 손님들이 고마움이나 홀가분함이나 기쁨을 느끼기는 힘들 테지. 얄궂은 마음이 자꾸 돌고 도는 셈이다.
그렇지만, 버스에서 내려 걷는다고 그리 나아지지 않는다. 가게마다 시끄러이 틀어대는 노래를 들어야 하고, 엄청나게 많은 자동차들이 빵빵거리는 소리라든지 자동차 꽁무니에서 뿡뿡 뿜는 방귀를 마셔야 한다. 찻길 한켠에 차를 대도 모자란 판이니, 거님길까지 자동차가 올라선다. 똑바로 걸을 수 없다. 요리조리 자동차 옆으로 걸어야 한다. 길거리를 걷는 사람들은 손전화로 시끄럽게 수다를 떤다. 둘이나 셋씩 짝을 지어 걷는 사람들은 귀가 따갑게 수다를 떤다. 도시라는 곳은 워낙 시끄러운 나머지, 둘이 짝을 지어 걷는다 해도 목소리를 높이지 않으면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없다.
만화책 《유리가면》 45권이 새로 나왔기에 《유리가면》을 읽으며 천천히 걸었다. 가방이 무거우니까 이리 뒤뚱 저리 뒤뚱 하면서 걸었다. 메스꺼운 속에서 뭔가 울컥 하고 올라올 듯한 기운을 잠재우려고 눈알을 책에 처박는다. 시끄러운 소리와 어수선한 간판과 자동차에 눈이 홀리고 싶지 않아, 마음을 가다듬으면서 책 줄거리를 곱씹는다.
생각해 보면, 이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몽땅 연극하는 사람들인지 모른다. 제 삶을 사랑하며 제 삶을 아끼는 살림꾼이 아니라, 제 돈을 더 거머쥐려고 더 악착같거나 앙칼질 수밖에 없이 연극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인지 모른다. 예쁘장하거나 멋스러이 보이는 옷을 차려입으면서 남 보라는 듯이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인지 모른다.
껍데기가 아무리 그럴싸하다 한들 알맹이인 줄거리가 엉터리라면 읽을 만한 책이 아니다. 편집은 편집대로 훌륭히 해야 하지만, 편집만 훌륭하고 ‘훌륭히 편집한 책 줄거리’가 엉터리라면 이러한 책은 읽을거리나 마음밥이 되지 못한다.
말쑥하거나 말끔한 도시사람들이다. 예쁘며 멋진 도시사람들이다. 청소부들은 쉴새없이 쓰레기를 줍는다. 하루만 지나도 쌓이는 어마어마한 쓰레기들이 하룻밤을 지나면 어디론가 사라진다. 도시사람이 먹다 남긴 밥쓰레기를 돈으로 치면 한 해에 10조 원 가까이 된다는데, 이 어마어마한 밥쓰레기는 날마다 어디에서 생겨나서 어디로 버려질까. 도시에서 살아가며 제 넋을 찾거나 차리자면 사람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 달래거나 다스릴 수 있을까. 도시에서 많이 사고팔리는 책이란 온통 지식과 정보와 자격증과 처세를 다루는 책들이요, 사랑과 믿음과 나눔을 착하거나 따사로이 보듬는 책은 거의 안 팔리는데, 이러한 도시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며 어떤 매무새로 이웃을 사귈까. (4344.2.23.물.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