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가면 45
미우치 스즈에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1년 1월
평점 :
어둠을 헤매는 가녀린 별
[만화책 즐겨읽기 24] 미우치 스즈에, 《유리가면 (45)》
마음은 무럭무럭 자라면서 아픕니다. 주근깨투성이 말괄량이 삐삐는 엄마가 하늘나라에 계시고 아빠가 먼바다에서 배를 타고 돌아다니니까, 고작 아홉 살밖에 안 된 어린이인데 혼자서 씩씩하게 집살림을 꾸리면서 학교는 안 다니고, 그저 신나게 놀면서 사람들하고 어울립니다. 삐삐는 언제나 맑고 밝지만, 삐삐 또한 무럭무럭 자라면서 아플밖에 없습니다. 둘레 어른들한테서 썩 좋은 모습을 그다지 찾아볼 만하지 않거든요.
삐삐는 더는 크고 싶지 않습니다. 언제까지나 어린이로만 머물도록 해 준다는 약을 이웃집 토미랑 아니카랑 함께 먹습니다. 이 약이 참말 약인지 콩알인지는 모르지만, 삐삐 스스로 어른이 안 되도록 하는 약이라고 여긴다면 어른이 안 되도록 하는 약이 틀림없습니다. 무럭무럭 자라서 어른이 된다면, 다른 어른, 이를테면 아버지나 어머니가 시키는 일은 안 하고 나 스스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얼마든지 할 수 있습니다. 늦잠을 자든 낮잠을 자든, 물구나무 서며 밥을 먹든, 들딸기를 찾으러 들판을 누비든, 얼마든지 홀가분하게 돌아다닙니다. 그러나 어른이 된다는 일은 이것저것 할 수 없는 일이 많을 뿐더러, 돈을 벌라는 둥 짝꿍을 사귀어 집안을 꾸려야 한다는 둥 말이 많습니다. 일자리를 마련하거나 아이를 낳는 일은 거룩합니다. 그러나 햇볕 따사로운 날 살결이 구리빛으로 타면서 들꽃과 들짐승하고 벗삼지 못한다면 아름답지 못합니다.
사람은 하루하루 자랍니다. 키가 크지 않더라도 하루하루 마음이 자랍니다. 어떤 이는 아름다이 자라는 마음일 테고, 어떤 사람은 슬프게 자라는 마음일 테지요. 아름다이 자라는 마음일지라도 아픔과 슬픔을 함께 먹습니다. 슬프게 자라는 마음 또한 아픔과 슬픔을 같이 먹습니다.
한 사람을 사랑하거나 한 사람한테서 사랑을 받아도 아플밖에 없습니다. 한 사람을 그리거나 한 사람한테서 미움을 받아도 아플밖에 없습니다. 꿈이나 뜻을 이루었대서 늘 기쁠 수만 없습니다. 나 혼자 꾸리는 삶이 아니요, 나 혼자 살 수 없는 나날입니다. 나한테는 빛일 테지만 내 이웃한테는 그늘이요 어둠입니다. 나한테 그늘이거나 어둠이라지만 내 동무한테는 빛이기도 합니다.
- “그게 단가?” “예. 그게 답니다.” “여전히 본심을 말하지 않는 사람이군. 마스미, 자넨.” “이것도 본심의 일부분이죠. 선생님.” (5쪽)
- ‘다카츠 그룹 회장의 손녀딸과 결혼하면 총수가 될 수 있는 사람인데, 나 같은 걸 진심으로 생각할 리가 없잖아. 설령 보라색 장미를 보내 날 위로해 주는 팬이라고 해도 그 이상은 아냐.’ (11쪽)
- “두 개로 나뉜 하나의 영혼, 또 하나의 나, 나이·외모·신분에 상관없이 만나면 서로에게 끌리고, 또 다른 자신을 찾아 헤맬 수밖에 없는, 만나기 위해 태어난 내 생명의 반쪽. 하지만 이젠 상관없어요. 전 절대 만날 수 없단 걸 알았으니까요. 마스미 씨 축하해요. 정말 기쁘시겠네요. 멋진 ‘영혼의 반쪽’을 찾아서.” (14쪽)
만화책 《유리가면》 45권이 나왔습니다. 언제 이야기가 마무리될는지 알 수 없는 긴 만화 《유리가면》입니다. 만화를 그리는 분이 언제까지 몸이 받쳐 주어 이 만화를 그릴는지 알 수 없으며, 만화에 나오는 키타지마 마야와 아유미가 〈홍천녀〉 연극을 놓고 벌이는 겨룸이 마지막 겨룸인지, 이 겨룸 끝에 새로운 겨룸이 또 나타날는지 알 수 없습니다. 키타지마 마야와 마스미 씨가 서로를 잇는 사랑고리를 참다이 깨달아 바보스럽거나 어리석은 맴돌기를 그칠 수 있는지, ‘죽음으로 사랑이 끝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라는 말마디처럼 서로 엇갈릴 수밖에 없으나 마음속 깊은 데에서는 예쁘게 만나면서 빛나는 사랑이 열매를 맺을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고 보면, 만화책 《유리가면》은 줄거리가 어떻게 펼쳐지든 그리 대수롭지 않습니다. 만화책 《유리가면》에 나오는 사람들은 하루하루 나이를 먹으며 무럭무럭 자랍니다. 자랄 때마다 모두 아픔을 먹습니다. 기쁘게 웃음을 짓기만 할 수 없습니다. 웃음 뒤에 바로 눈물이 찾아들고, 눈물 다음에 또 웃음이 찾아들어요.
웃고 울며 좋아하다가는 괴로워하는 삶입니다. 한결같이 좋거나 한결같이 궂지 않습니다. 모든 좋음과 궂음은 꾸준히 되풀이됩니다. 되풀이되는 좋음과 궂음은 사람들을 단단하게 이끌어 주고, 한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대수로운 대목이란 ‘돈·이름·힘’이 아님을 모두들 찬찬히 깨닫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대수로울 대목이란 ‘사람·사랑·삶’일 뿐임을 모두들 가만히 받아들입니다.
- “관객의 마음에서 벗어난 연극은 그저 관상용 꽃처럼 구경거리일 뿐이니까. 연극이 만드는 이야기 속에 녹아들 건 없어. 다른 인간으로 태어나. 그것만큼 이야기 전달을 잘하는 방법은 없지.” (47쪽)
- “말해 두지만, 연극 속의 세 사람 역시 남북조라는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야.” “앗!” “물론 지금 사는 세상과는 확연히 달랐지. 시대의 색깔이란 것도 무시할 순 없어. 하지만 세 사람 모두 그 시대에선 현대인으로 살고 있다는 걸 잊지 마!” “네.” “리얼리티가 살아 있는 연기만이 옳다는 건 아니지만, 역할을 이해 못한 채 형식적이기만 한 연기보다는 나아. 적어도 연기에 설득력은 있을 테니까.” (61쪽)
- “머리로 이해하지 말고 마음으로 깨달아! 이 세상이 왜 존재하는지 머리로 백날 생각해 봤자 아무 소용없으니까!” (78쪽)
- “난 너희가 공간이 가진 성질과 영향력에 민감해지길 바라. 배우 역시 공간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졌거든. 연기라는 창조성에 따라 공간을 살리고 죽이는 건 모두 너희에게 달렸다.” (81쪽)
- “물론 해석은 보는 사람의 자유야. 이걸 만든 사람은 그런 의도가 전혀 없었는지도 몰라. 하지만 내겐 그렇게 느껴지거든.” (90쪽)
오늘 하루가 아름다워야 할 삶입니다. 아름다워야 할 삶이란 돈이 넘치는 삶이 아닙니다. 내 이름을 드날리는 삶이 아름답지 않습니다. 내 힘이 뻗쳐 누구도 나를 넘보지 못한대서 아름답지 않습니다.
나 스스로 나를 사랑하면서 내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를 한몸으로 사랑할 때에 아름답습니다. 나부터 튼튼하고 씩씩한 사람으로 오롯이 서야 비로소 아름답습니다. 내 힘이 세든 여리든 늘 즐거이 일하고 놀며 어울릴 때에 아름답습니다.
연극에 꿈과 뜻을 바친 어리며 젊은 넋들은 연극이 그저 연극일 뿐 아니라 삶임을 아주 천천히 맞아들입니다. 아주 천천히 헤아리면서 아주 천천히 자라납니다. 연극이 어떠한 삶인가를 깨닫는 동안 지난날 얼마나 어리석었나 하고 돌아봅니다. 어리석던 지난날을 되새기며 씁쓸합니다. 그러나 어제는 어제요, 오늘은 오늘입니다. 오늘은 오늘대로 새롭게 꾸릴 삶인 줄을 조금씩 알아챕니다. 부딪히거나 헤매거나 쓰러지거나 넘어지거나 다치면서, 이러한 모든 아픔이 얼마나 고마우며 기쁜 선물인지를 알 듯 모를 듯 곰삭입니다.
- ‘지구가 하나의 생명체? 사랑스러워? 그런 건 상상해 본 적 없었다. 사랑스러운 지구.’ (68쪽)
- ‘굉장한 생동감이다. 마치 살아 있는 것 같아. 이걸 조각한 장인은 이미 7백 년 전에 죽고 없는데, 불상은 아직도 이렇게 생생하게 남아 있다니. 사람들은 이런 부처에게 합장을 하며 무슨 소원을 빌었을까?’ (118쪽)
- ‘난 왜 여기 이러고 있는 거지? 네가 여기서 〈홍천녀〉 연습을 하고 있다는 얘길 들었기 때문에? 난 여기서 무슨 생각을 하고 무엇을 깨달았을까. 난 또 왜 이렇게 널 신경쓰는 거지?… 두 개로 나뉜 하나의 영혼, 홍천녀의 사랑, 그런 건 없어. 현실 세계에. 그런데 왜 난 이 오브제 앞에서 움직일 수 없는 걸까? 왜 벗어날 수 없는 걸까?’ (123쪽)
지구별은 목숨 하나입니다. 지구별은 사랑 하나입니다. 여태껏 모를 수 없는 이야기이나, 여태껏 생각해 보지 못한 이야기입니다. 나는 지구별하고 똑같고, 지구별은 나와 똑같습니다. 나는 내 동무랑 똑같고, 내 동무는 나와 똑같습니다. 내 어머니는 나와 똑같으며, 나는 내 어머니와 똑같습니다. 나는 나무하고 똑같은 한편, 나무는 나하고 똑같아요. 나는 내가 날마다 먹는 밥하고 똑같을 뿐 아니라, 내가 날마다 먹는 밥은 나하고 똑같아요.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살아가며 볼 수 있는 사람이 된다면 사랑을 합니다. 살아가며 볼 수 있어 사랑을 한다면 내 목숨이 얼마나 고마운가를 돌이키면서, 내 둘레 뭇목숨마다 얼마나 고마운 목숨이요 아끼며 돌볼 목숨인가를 느낍니다.
잠자리를 같이하거나 살을 부벼야 사랑이 되지 않습니다. 편지에 사랑노래를 잔뜩 적어 띄워야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사랑은 삶입니다. 삶이 곧 사랑입니다. 사람은 삶이며 삶이 바로 사람입니다. 사람이 바야흐로 사랑이며 사랑이기에 다시금 사람입니다.
곰곰이 되돌아보면, 만화책 《유리가면》은 1권부터 45권에 이르는 서른 몇 해에 걸친 작품 어디에나 이러한 사람과 사랑과 삶을 조촐히 담았구나 싶습니다. 오래도록 그리는 만화 작품에 어쩜 이리도 한결같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나 놀랍지만, 이러한 마음이 아니었으면 마흔 해 가까이 작품 하나를 이어그릴 수 없었겠지요. 만화쟁이부터 스스로 사랑과 사람과 삶이라는 세 꼭지마디를 깊이 아끼며 보살피기에, 1권부터 45권에 이르기까지 즐거이 만화삶을 선보일 수 있겠지요. 언제 번역될 지 모르는 46권이거나 47권이나 48권일까 궁금하면서, 앞으로 이어질 뒷권은 뒷권대로 하나하나 새로우며 아름답고 기쁘며 슬픈 삶·사랑·사람 이야기를 담겠구나 싶습니다.
- “〈홍천녀〉를 포기하라고요?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홍천녀〉를? 엄마조차 연기하지 못한 〈홍천녀〉를? 배우로서의 삶? 〈홍천녀〉를 뺀 배우로서의 삶 따윈 생각해 본 적도 없어요.” (131∼132쪽)
살아가는 보람을 연극으로 찾는 두 사람으로서는 ‘〈홍천녀〉를 뺀 배우 삶’을 생각조차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홍천녀〉를 뺀 배우 삶’을 생각할 수 없다면, 굳이 ‘〈홍천녀〉가 있어야 하는 배우 삶’이지 않습니다. 연극쟁이한테 〈홍천녀〉는 어마어마한 꿈을 엄청나게 이루어 주는 길일 수 있지만, 〈홍천녀〉은 〈홍천녀〉입니다. 연극하는 마음이 살아가는 마음이요 사랑하는 마음이며 사람다운 마음이라면, 흑천녀이든 백천녀이든 그리 다르지 않습니다. 연극쟁이 두 사람은 〈홍천녀〉를 거머쥐어야 뜻을 이루지 않습니다. ‘왜 〈홍천녀〉인가?’이며 ‘왜 연극인가?’를 깨달아야 뜻을 이룹니다. 연극이 무엇이고 사람과 사랑과 삶이 무엇인가를 알아채며 가슴과 온몸으로 삭일 때에야 시나브로 꿈을 꽃피웁니다.
만화쟁이 미우치 스즈에 님은 앞으로 어떤 사람들 사랑 삶을 보여주면서 당신이 만화를 그리며 즐거이 나누는 사랑꽃과 눈물열매를 베풀는지 손꼽아 기다립니다. 어둠을 헤매는 가녀린 별이 언제쯤 어떻게 어둠에 가려진 빛을 보고 빛과 함께하는 어둠을 스스럼없이 손바닥에 살며시 얹을는지 예쁘게 지켜보고 싶습니다. (4344.2.18.쇠.ㅎㄲㅅㄱ)
― 유리가면 45 (미우치 스즈에 글·그림,서수진 옮김,2011.2.15./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