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50 : 사람이 읽는 책
충청북도 신니면 광월리에 자리한 부용산 멧기슭에는 이오덕 님 뜻과 넋을 기리는 멧골학교인 이오덕자유학교가 있습니다. 이곳은 일곱∼아홉 살 어린이부터 들어와서 다닐 수 있는 배움터이고, 나이가 더 든 어린이나 푸름이는 사이에 들어오지 못합니다. 어린 나날부터 멧자락에서 숲과 들을 쏘다니면서 제 먹을거리를 손수 흙을 일구어 마련하도록 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교과서를 쓰지 않고 교재 또한 쓰지 않으며 정규 교과과정이나 학사과정을 밟은 사람이 교사가 되지 못합니다. 책을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사람을 가르치는 곳이고, 책으로 가르치는 데가 아니라 사람으로 가르치는 데이기 때문이에요. 누구나 가르치는 어른이 될 수 있으나 아무나 배우는 어른이 되지 못하는 배움마당인데, 2011년 2월 9일에 새 학기를 여는 날부터 이곳 어린이와 푸름이하고 ‘책이야기’를 날마다 한 시간씩 나누기로 했습니다. 교과서가 없고 교재를 안 쓰니까 어떻게 가르쳐야 좋을까를 저 스스로 살펴야 하는데, 가르친다기보다 함께 ‘책이야기’를 나눈다고 해야 알맞습니다.
날마다 새로 맞이하는 새벽부터 낮까지 시골집에서 우리 살붙이들이랑 복닥이던 삶을 돌아보면서 이 이야기를 어린 벗님하고 함께 나눕니다. 아버지가 손톱을 깎으니 옆에 붙어서 제 손톱도 깎아 달라는 아이 손톱이랑 발톱을 깎다 보니 아이는 사르르 잠들고, 잠든 아이 옷을 벗기고 기저귀를 채워 눕히고 나서, 아버지는 오른손 손톱을 마저 깎아야 하는 줄 깜빡 잊고 하루를 보냈다는 이야기를 나눕니다. 우리 시골집은 지난 12월부터 어느덧 석 달째 물이 얼어 못 쓰는 터라 학교 씻는방으로 빨래감을 들고 와서 빨래한다는 이야기를 나눕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이야기를 조곤조곤 나누면서 이러한 이야기를 빗대어 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누가 책을 쓰는가를 살핍니다. 나날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도란도란 나누듯이 적바림한 책 하나를 들고 와서 어린 벗님하고 돌아가면서 읽습니다.
어제는 《남쪽의 초원 순난앵》(마루벌,2006)이라는 그림책을 함께 읽었고, 다음주에는 《그리운 순난앵》을 함께 읽을 생각입니다. 두 가지 순난앵 그림책은 모두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님이 쓴 글을 바탕으로 빚은 그림책으로, 순난앵이라는 마을에서 따사롭게 살아가던 아이들이 가난하고 메마른 터전에서 여러 해에 걸쳐 힘겹게 굶주리며 고된 일에 시달리다가 다시금 따사로우며 사랑스러운 순난앵을 찾아서 포근하게 쉰다는 줄거리입니다. 아마, 굶주리던 아이들은 조용히 눈을 감으면서 ‘하늘나라에 있을 순난앵 마을’로 가서 넉넉한 어머니 품에 안겼겠지요.
이오덕학교 벗님들은 순난앵을 그리다가 마침내 순난앵으로 들어간 두 아이 이야기가 재미있다고도 하고 슬프다고도 하지만 ‘죽음으로 들어선’ 줄은 깨닫지 못합니다. 어쩌면, 순난앵을 그리워하며 찾아간 아이들 또한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살며시 눈을 감을 때에는 ‘죽음’이 아닌 ‘새터’로 간다고 여겼을 테지요. 그러니까, 죽음이란 꼭 슬프지만 않고 얄궂지만 않아요. 내가 살기에 흙과 햇볕과 바람과 물이 고운 목숨을 나누어 주고, 내가 죽기에 흙과 햇볕과 바람과 물은 새 목숨을 거두어들이며 새 거름으로 삼습니다. 사람은 책을 읽고, 흙은 삶과 사람과 사랑을 읽습니다. (4344.2.11.쇠.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