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이 읽게 도와준 책
― 주요섭, 《미완성》



- 책이름 : 미완성
- 글 : 주요섭
- 펴낸곳 : 을유문화사 (1962.11.25.)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주요섭을 읽어 고등학교 3학년 즈음에는 주요섭 님이 내놓은 작품을 웬만큼 읽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작품을 다 읽지는 못합니다. 헌책방에서 찾아볼 수 있는 책은 다 훑으며 읽었으나, 퍽 옛날에 나온 드물며 비싼 옛책은 사서 읽지 못했으니까요.

 그렇다고 학교 도서관에서 주요섭 님 책을 찾아 빌려 읽지 못합니다. 제가 고등학교 2학년이 될 무렵 우리 학교에도 비로소 도서관이 열리지만(제가 다닌 학교에서 4회 졸업생입니다), 묵은 예전 책을 자그마한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갖출 일은 없으니까요. 그렇다고 인천에 있는 다른 도서관에서 주요섭 님 예전 책을 찾아서 읽을 수 없습니다. 갖추어 놓지를 않거든요.

 그때나 이제나 매한가지인데, 도서관은 묵은 옛책을 장만하려고 힘쓰지 않습니다. 도서관 일꾼 스스로 헌책방마실을 꾸준히 하면서 당신들 도서관에 좋은 책을 알뜰히 갖추려고 애쓰지 않습니다. 새로 나오는 책 가운데 도서관 일꾼이 보고픈 책이라든지 사람들이 바라는 책 몇 가지를 사 놓을 뿐입니다.

 새책이라는 옷을 입은 주요섭 님 작품은 으레 〈사랑 손님과 어머니〉에서 맴돕니다. 기껏 더 다루어 준다면 〈인력거꾼〉하고 〈대학교수와 모리배〉쯤입니다. 고등학교 때 국어교사로 일하던 분들도 이런 작품까지만 줄거리로 다루면서 대입 논술 시험을 살피라고만 할 뿐, 주요섭을 주요섭으로 읽도록 이끌지는 않습니다.


.. “여보, 내 말 좀 명심해 들어요. ‘건국을 위해서 노력한답시는’ 그 동창생 덕분에 나두 한 턱 잘 얻어먹었어. 그런데 이것 봐요. 하루 저녁 요리값 ‘간죠’가 얼마나 났을 듯하우?” “그런 걸 내가 어떻게 알아요?” “짐작이라도 해 보란 말요. 하두 엄청나니 말야!” “몰라요, 난, 그런 거.” “여보, 놀라서 기절하지 않도록 마음 잔뜩 단단히 먹고 들으시우. 응, 간죠가 말이요, 하루 저녁 요리 먹은 간죠가 말이요, 놀라지 말지어다, 작으만치 일금 이만 원야라. 이만 원!” “가짓뿌리.” “아니야, 참말이야. 그렇지, 거짓말 같은 참말이 지금 우리 반도 안에 어디든지 가득 차 있어. 내 말 좀 들어보. 그 기생년들 말요, 기생년들이 간죠에 끼인 화대 외에 또 따로 팁을 오백 원씩 더 주고야 말더구만. 그러니 지금 세상엔 기생 돈벌이가 제일이겠읍디다. 하루 저녁 연회비가 우리 한 가족 생활비 일 년치 하고도 더 되니, 허어, 우리 일 년 생활비를 그자들은 한 끼에 다 먹어 버린단 말야 …… 여보, 마누라. 여보, 여보! 부르는데 왜 대답도 안 해?” “왜 그래요?” “마누라, 마누라가 날 보구 늘 골샌님이라구, 주변이 없다구 쫑알대 왔지, 기억하우? 그때마다 난 큰소릴 탕탕 치군 했었지. 사람은 돈보다는 절개가 더 중하다구. 허나 지금 우리 나라는 생지옥이야, 지옥! 질서두 없4ㅜ, 절도도 없구, 자존심도 없구, 그저 아무 짓을 해서라도 돈만 모으면 제일 잘난 사람이거든. 흥, 모리배라구? 그럼 어때? 잡혀간다구. 잡혀가문 어때? 검사국에서야 어쨌든 재판소에서는 으레 뻐젓이 무죄 판결로 석방돼 나오는데. 이게 소위 민주주의라는 거거든. 나두 낼부터 모리배 뒷꽁무니나 따라다닐까? 남들은 다 하는데 나 혼자 독야청청한다고 누가 나에게 상 줄까?” “그래두 양심 문제지요.” ..  (203∼205쪽)


 어릴 때에는 마냥 놀기에 바빴고, 중학생이 되고부터는 온통 입시지옥에 갇혀야 했던 몸으로 문학을 문학답게 받아들이기는 참 힘들었습니다. 중학교를 다니는 동안 ‘교과서 아닌 책’을 읽는 학교 동무는 꼭 하나를 보았습니다. 이 아이가 보던 책은 《영웅문》입니다. 한 학년 55∼60명인 열 학급 중학교 세 해를 보내면서 《영웅문》 아닌 책을 읽으려 하던 동무는 이 아이 말고 딱 하나 더 만났습니다. 그러나 이 아이도 고등학교에 가면서 교과서와 참고서에만 파묻힐 뿐, 교과서 아닌 책하고는 사귀지 않습니다. 고등학교에 들어선 다음에도 한 학급 50∼55명인 열 학급에서 교과서 아닌 책을 들고 다니며 읽는 아이는 찾아보지 못합니다. 고등학교에서는 툭하면 소지품검사를 하면서 ‘교과서 아닌 책’은 모두 빼앗아 갔는데, 교과서 아닌 책을 들고 다니다가 빼앗긴 사람은 저 혼자였습니다.

 삼중당문고이든 정음문고이든 마당문고이든 을유문고이든 박영문고이든 서문문고이든, 소지품검사를 달마다 두어 차례씩 하면서 언제나 빼앗겼다가 교무실로 찾아가서 국어교사를 이끌고 ‘이 책을 빼앗아도 되는가 안 되는가’를 학생주임하고 따져서 겨우 되찾습니다. 학교교사라 해서 책을 읽지 않을 뿐더러, 국어교사가 아니고서는 주요섭이든 한하운이든 황순원이든 모릅니다. 더구나 이들 작가 이름을 한글 아닌 한자로 적어 놓으면 도무지 알아채지 못합니다. 박태원이든 김정한이든 하는 이름은 더더욱 모를 뿐더러, 어느 때에는 김수영과 신동엽 시집을 불온도서로 여겼고, 대원사에서 낸 시집 가운데 하나였던 박노해 시집을 놓고는 전교조 어쩌고 하는 소리를 들어야 했습니다.

 이제 와 돌이키면, 어처구니없는 소지품검사와 두발검사 따위로 청소년권을 짓밟던 교사들 때문에 책을 읽었는지 모릅니다. 릴케와 하이네 시집조차 ‘입시공부에 도움 안 되는 쓸데없는 책’을 갖고 다닌다며 빼앗으면서 몽둥이로 두들겨 팼습니다. 없는 돈으로 동네책방하고 대한서림하고 헌책방에서 겨우 장만해서 여러 차례 읽는 책을 터무니없이 빼앗긴 데다가 얻어맞기까지 해야 하니 울화가 치밉니다. 외려 ‘그래? 그러면 내가 더 읽어 주지?’ 하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밤 열 시 사십 분까지 하던 자율학습 때에는 언제나 교과서 아닌 책을 펼쳐 놓고 읽는데, 짜증스럽고 갑갑한 교실에서 읽지 말고 헌책방에서 읽자고 생각하며 저녁에 학원 가는 아이들 틈에 섞여 담타기를 하며 헌책방마실을 한 주에 한두 차례씩 합니다(입시학원에 다니는 아이들은 자율학습을 안 받고 학원에 가는 특권을 누렸습니다. 학교 앞문에서 학원 수강증 검사를 하니까, 학원 가는 아이들 틈에 섞여 교실에서 빠져나온 뒤 학교 옆담이나 뒷담을 타고 넘어 밤길을 후다닥 달리며 내뺐습니다).


.. 가난은 창피인가? 성현들의 말씀은 그렇지가 않다 했지만 오늘날 이 서울 풍경을 보면 가난은 확실하게 창피요, 또 가난한 살림일수록 어림삥한 풍설에 더 잘 속아 넘어가는 바보다 … 하기는 배급소 지정받는 것도 돈 쓰고 빽 써서 받은 것이니까 세도 쓸만 하겠지만. 그러나 민족의 지도자들을 개 욕하듯 욕설을 두 발 세 발도 더 긴 종이에 써서 도처에 내붙이는 종이는 넉넉하면서도 손바닥만 한 종이 한 장이 헛걸음치는 걸 미안하게 생각할 양심조차 없는 이 나라 장삿군이란 말인가?  그리고 또 오늘 설탕 배급 못 줄 이유는 무엇인고? 수백, 아니 수천 명이 헛걸음치는 걸 미안하게 생각할 양심조차 없는 이 나라 장삿군이란 말인가? … 지금에는 왜놈들은 다 가고 우리 나라 사람들끼리만 살고 있는데, 동포를 ‘소리 안 나는 총이 있으면 쏴 죽이고’ 싶은 생각을 나 같은 여자에게까지도 일으키도록 만들어 주는 이런 비극이 어디 또 있을까! ..  (207, 214, 215쪽)


 오랜만에 《미완성》을 다시 읽습니다. 거의 스무 해 앞서 읽던 책을 다시 펼치니 새삼스러우면서 새롭게 읽힙니다. 철 덜 든 어린 나날 읽던 주요섭 소설하고 아이 아버지로 살아가며 읽는 주요섭 소설은 사뭇 다릅니다.

 그렇지만 이 작품 하나는 이 작품을 쓴 사람 목소리와 살내음 그대로 예나 이제나 고이 흐릅니다. 당신이 부대끼며 살던 나날을 낱낱이 싣고 찬찬히 담은 작품은 언제까지나 당신이 발 디딘 그날 그곳 삶자락을 읽도록 이끕니다.

 문학을 문학다이 즐기거나 누리거나 나누기 힘들던 일제강점기이며 해방이며 한국전쟁이며를 거치면서도 문학을 하던 사람이 있기에, 문학이 아닌 입시를 해야만 하던 아이들 가운데 누군가는 문학을 문학으로 받아들이고 싶다며 꿈을 꿉니다. 오로지 돈바라기로만 치닫는 오늘날, 애 아버지로서 돈바라기 아닌 삶을 어찌저찌 힘들거나 고단하면서도 꿋꿋하게 꾸린다면, 먼 뒷날 애 아버지가 흙으로 돌아간 뒤에 우리 아이나 우리 아이가 낳을 아이나 조금이나마 살갑거나 따스한 나날을 흐뭇하게 껴안으면서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으려나요.

 한국 문학쟁이 가운데 세계문학으로 손꼽을 만한 작품을 쓴 사람은 아직 없다고 느낍니다. 참말 없습니다. 그러나 세계문학으로 손꼽히지 않으면 어떻습니까. 한국땅에서 한겨레가 한국사람으로서 오붓하게 즐기며 되새길 수 있으면 넉넉하지 않나 싶습니다. 허먼 멜빌 《모비딕》은 모비딕대로 좋고, 주요섭 님 《미완성》에 담긴 〈해방 1주년〉은 해방 1주년대로 좋습니다. (4344.2.2.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