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가는 말 33] 손닦는천

 어릴 때부터 ‘수건(手巾)’이라는 낱말은 어딘가 어울리지 않다고 느꼈지만, 뾰족히 다른 말이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딱히 다른 낱말을 쓰는 어른도 없었습니다. 손을 닦든 낯을 닦든, 닦는 천인데, 어쩐지 ‘수건’은 제 쓰임새를 옳게 나타내지 못한다 싶었어요. ‘손수건’은 어떤 천일까요. ‘손수건’이란 말이 될까요. ‘발수건’은 또 어떤 천인가요. ‘발수건’이란 말이 될 수 있는가요. 아이를 씻기고 나서 물기를 훔칠 때에 아이한테 “저기 수건 가져오셔요.” 하고 말은 하지만, 아이한테 이렇게 말해도 되는지 늘 아리송합니다. 아이 머리카락과 몸에 묻은 물기를 닦으며 생각합니다. 먼 옛날 농사짓던 사람이나 고기잡던 사람은 어떤 물건을 쓰면서 어떤 낱말을 주고받았으려나요. 오늘날 사람들은 하나같이 ‘수건’이라 할 뿐 아니라 ‘타올(타월/towel)’이라고도 하지만, 우리 아이한테 참말 이 말을 고스란히 그냥 그저 그예 가르쳐야 하나 알쏭달쏭합니다. 깊어 가는 밤, 새근새근 잠든 아이 옆에 나란히 누워 헤아려 봅니다. 우리 아이한테는 ‘손닦는천’이라 하고 ‘발닦는천’이라 하며 ‘접시닦이천’이라 말해 볼까. (4344.1.18.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