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과 글쓰기


 새벽 일찍 일어나 아침나절에 글을 씁니다. 다른 어느 때보다 새벽녘 고요하며 썰렁한 기운을 느끼면서 생각을 가다듬어 글을 쓸 때에 즐겁습니다. 아니, 즐겁다기보다 기쁩니다. 기쁘다기보다, 뭐라 할까요, 내가 살아숨쉬는 한 사람임을 느낍니다.

 집살림을 도맡는 사람으로서 새벽녘과 아침나절이 아니고는 글을 쓸 겨를을 내지 못합니다. 다른 때에는 집식구하고 아이를 보듬는 데에 온힘을 쏟을밖에 없습니다. 밥하고 빨래하고 아이랑 놀면서 하루해를 넘깁니다. 밥하기만으로도 하루해는 짧고 빨래하기만으로도 힘은 쏘옥 빠집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루하루를 보내는 데에도 저녁나절 까무룩 곯아떨어졌다가도 이듬날 말짱하게 다시 일어납니다. 사람이라는 몸은 참 용하다고 느껴요. 이제 아무 일도 못하겠다 싶어 드러눕지만, 이듬날이 되면 새삼스레 다시 일어나서 다시금 주먹을 불끈 쥐거든요.

 어제는 느즈막히 곯아떨어진 아이가 오늘 따라 새벽에 일어납니다. 아빠는 새벽부터 글쓰기를 하려 했으나, 아이가 옆에 찰싹 달라붙으니 아무런 글쓰기조차 하지 못합니다. 하는 수 없이 셈틀을 끄고 쌀을 씻어 불리다가는 밥을 안칩니다. 날밤을 세 알 까서 밥물에 함께 넣습니다. 아이한테 능금 한 알 깎아 줍니다. 다시 셈틀을 켜고 깨작거리니 아이는 아빠 무릎에도 안기고 아빠 사진기를 갖고 놀기도 합니다. 요 몇 분 동안은 아빠 뒤에서 아빠 사진기를 만지작거립니다. 아빠가 글쓰기를 몇 분이나마 할 수 있도록 마음을 써 주는 셈입니다.

 이제 슬슬 날이 훤히 밝는 아침입니다. 아침을 차려야지요. 아이가 배고플 테니까요. 둘째를 배어 몸이 무겁고 힘든 엄마가 먹을 뜨거운 국도 끓여 놓고, 다 마른 빨래를 개며, 새로 쌓인 빨래를 해야지요. 우체국에 가서 책을 부쳐야 하는데, 우체국에는 언제쯤 갈 수 있을까 모르겠습니다. (4343.12.24.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