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옷과 글쓰기


 엄마랑 아빠랑 마실을 나온 지 사흘째, 바깥사람을 잔뜩 만나며 아침부터 쉴새없이 놀던 아이가 저녁을 먹을 무렵 금세 곯아떨어진다. 아침잠이 거의 없고 낮잠은 아예 없다시피 하는 아이는 배가 꽤 고플 텐데 이렇게 밥자리에 앞서 곯아떨어지곤 한다. 아빠는 아이를 안고 밥집으로 들어선다. 스물아홉 달째 살아가며 키가 제법 큰 아이는 걸상 둘을 옆에 붙인 다음 머리를 아빠 허벅지에 올려야 비로소 눕힐 만하다. 한 시간 남짓 이렇게 눕혀 놓는데 허벅지 눌리는 무게가 퍽 나간다. 아이는 하루하루 새롭고 새삼스레 자랄 테니까. 허벅지 눌리는 무게를 가늠하면서 우리 아이가 어느 만큼 더 자랐는가를 곱씹고, 아이가 자라는 만큼 내가 이 아이 나이만 하던 어린 나날 내 어버이는 나를 돌보느라 얼마나 속을 썩이거나 애를 먹였을까 하며 돌아본다. 아이가 꽤 짓궂다 싶도록 말썽을 부린다든지 말을 안 듣는 모습이란 아이가 나쁜 넋이라서가 아니라, 아이 나름대로 힘들거나 고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을 추스른다. 아빠가 어버이로서 아이한테 한결 살갑거나 따스히 해 주지 못하는 일이 많으니까. 집일을 하고 글쓰기를 한다면서 아이랑 더 놀지 못하는 한편, 아이 손을 잡고 멧길 따라 숲마실 하기도 제대로 못하니까.

 허벅지에 아무 느낌이 없을 무렵 아이 머리를 걸상에 내려놓는다. 고이 잠든 아이는 깨지 않는다. 함께 밥자리에 있던 분이 겉옷을 벗어 아이한테 씌워 주었다. 밥집에 들어왔기에 겉옷을 벗을 만하기도 했는데, 애 아빠는 따로 겉옷을 입지 않았다. 더위도 잘 타고 추위는 잘 안 타며 가방 짐이 무겁다면서 겉옷을 잘 안 입는다. 이러다 보니, 이렇게 겨울날 밖에서 아이가 잠들었어도 아이를 감싸 줄 너른 품 옷이 없다.

 아이도 알겠지. 제 아빠가 겉옷 없이 살며 제 몸을 한껏 따스히 보듬지 못하는 줄을. 아이는 아이 스스로 더 튼튼해지거나 씩씩해지거나 다부지게 살아야 한다고 시나브로 알아채겠지. 제 두 다리로 일찍부터 우뚝 서면서 제 길을 걸어야 하는 줄을. (4343.12.17.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