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이 철학 그림책 1
홍성혜 옮김, 소피 그림, 라스칼 글 / 마루벌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손 잡고 나란히 길을 걷는 마음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31] 라스칼·소피, 《문이》(마루벌,1995)



 “문이가 태어났을 때,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고 있었(2쪽)”다고 합니다. “마침내 먹을 것이 다 떨어졌(6쪽)”고, 문이를 낳아 기르던 어머니와 아버지는 “바다 저 멀리로 문이를 떠나 보내려(6쪽)”고 “사랑하는 아기 문이를 상자 안에 소중히 담(6쪽)”습니다. 상자는 큰 물결을 맞으면서도 멀디먼 바다를 건너는 동안 가라앉지 않습니다. 아이가 담긴 상자는 이웃나라에 얌전히 닿습니다. 또한, 이웃나라 바닷가에 닿은 상자를 알아본 사람이 있고, 이들은 이 상자에 담긴 아이를 고이 껴안으며 기르기로 합니다. 이웃나라에서 어린 문이를 받아들여 키운 어버이는 문이가 꽤 컸다고 느낀 어느 날, “어느 봄날 이른 아침(24쪽)”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들려줍니다. 이때 새 어머니와 새 아버지는 문이한테 “문이를 데리고 온 이야기와 사랑하며 살아온 지난 이야기 모두(24쪽)”를 들려줍니다. 이때부터 문이는 “더 자주 바닷가에 나가게 되(28쪽)”었고, “바다 저쪽 끝에 있는 아빠와 엄마도 문이를 사랑했었다(28쪽)”고 여깁니다.

 저를 낳아 기르던 어버이가 저를 버린 줄 알았을 때 어떤 마음일까요. 저를 낳아 기르던 어버이가 당신들은 굶주리다 못해 숨을 거둔다든지, 또는 싸움판에서 끔찍하게 숨을 거둔다든지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어떤 마음일까요. 제 어버이가 당신들은 숨을 거두면서 저 혼자 살아남도록 해 주었다는 이야기를 알았을 때에는 어떤 마음이려나요.

 길디긴 싸움판이 그치지 않을 때, 누구도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도시에서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울 테고, 시골에서는 애써 거둔 곡식을 자꾸 빼앗길 테지요. 돈도 밥도 집도 옷도 얻기 어려우며, 삶마저 괴롭겠지요.

 마지막 곡식이 떨어질 무렵이면 싸움이 끝나 주리라 믿다가 사랑스러운 아이를 떠나보내야 했는지 모릅니다. 마지막 곡식이 떨어지기 앞서 싸움판 나라를 아이와 함께 떠나 평화롭고 따사로운 터전을 찾아나서야 했는지 모릅니다. 굶어죽더라도 함께 굶어죽고, 싸움판에서 총이나 대포에 맞아 죽더라도 함께 죽어야 했을는지 모릅니다. 아이만 바다 너머로 보낼 노릇이 아니라 어버이 또한 죽음을 무릅쓰고 바다를 건널 노릇이었는지 모릅니다. 아이는 용케 좋은 어버이를 새로 만나 즐거우며 따사로운 나날을 보낼 수 있지만, 아이는 아무런 새 어버이를 만나지 못하면서 더 괴롭게 굶어죽을 수 있습니다. 아이는 새 어버이를 만났다지만 못된 어버이를 만나 아파 하고 슬퍼 하며 삶을 마감할 수 있어요. 아이를 떠나보내고 얼마 있지 않아 싸움이 끝났다든지, 뜻밖에 먹을거리를 넉넉히 얻을 수 있었다면, 이 어버이들 마음은 얼마나 찢어질까요.

 아이를 키우는 어버이로서 아이를 누군가한테 떠나보낸다 한다면, 더없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셈입니다. 도무지 할 수 없는 짓입니다. 그렇지만 우리 누리는 아이 어버이들이 당신 아이를 더는 끌어안지 못하도록 내몰곤 합니다. 어버이와 아이를 갈라 놓고, 어버이와 아이한테 생채기가 남도록 짓누르곤 합니다.


.. 문이는 슬프기도 하고 기쁘기도 하였습니다. 비가 오는 날이면 전쟁이 미웠고, 문이를 낳아 바다에 띄워 보낸 바다 저쪽 끝에 있는 아빠와 엄마도 미웠습니다 ..  (26쪽)


 전쟁은 사람이 일으킵니다. 전쟁은 어른이 일으킵니다. 전쟁을 하는 어른들은 남자입니다. 전쟁을 일으키는 까닭은 이웃나라로 쳐들어가서 더 많은 돈을 긁어모으고 싶기 때문입니다. 전쟁을 일으켜 이웃나라를 짓밟은 다음, 돈은 돈대로 거두어들이고 이웃나라 사람들을 노예처럼 부리며 흥청망청 노닥거리고 싶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제 밥벌이를 하는 사람은 싸우지 않습니다. 손수 제 밥거리를 얻으려는 사람은 이웃을 해코지하지 않습니다. 알맞게 일하여 알맞게 거두어 알맞게 먹고사는 사람은 다툼질을 할 까닭이 없습니다. 어버이한테서 너무 큰 돈·이름·힘을 물려받는다든지, 얼마 일하지 않고도 지나치게 큰 돈을 얻어들이는 사람들이 다툼질을 하고 맙니다. 아무렇게나 쓰고도 어마어마하게 남는 사람들이 자꾸자꾸 이웃을 짓밟으며 더 가지려 하고 더 누리려 합니다.

 우리 삶터는 한결 발돋움하는 삶터로 나아가서는 안 됩니다. 우리 삶터는 서로서로 즐거우며 아름다운 삶터로 자리잡아야 합니다. 고속도로가 더 생기거나 고속철도가 더 늘어난다고 우리 삶터가 좋아지지 않습니다. 큰물이 날 때에 물이 넘치니 ‘큰 물줄기 네 곳’을 손질해야 한다지만, 큰물이 나는 밑뿌리는 그대로 둔 채 토목건설만을 해댈 때에는 또다른 큰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좋아하는 삶을 찾아야 합니다. 즐기는 삶을 느껴야 합니다. 고운 삶을 껴안아야 합니다. 사랑하는 삶을 나누어야 합니다. 믿음직한 삶을 누려야 합니다. 몸과 마음이 느긋하면서 튼튼하고 씩씩한 삶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착한 삶을 아끼고, 참다운 삶을 돌보아야 합니다. 기쁜 삶을 맞아들이도록 나와 내 살붙이와 내 아이와 내 이웃과 내 동무와 함께 기쁜 일손을 붙잡아야 합니다.


.. 어느 가을날 저녁, 문이는 어릴 때 좋아했던 모든 것을 작은 대나무 상자 속에 담았습니다 ..  (30쪽)


 그림책 《문이》를 읽습니다. 그림책 《문이》에 나오는 ‘문이’는 전쟁 때문에 모든 삶이 바뀝니다. 전쟁이 아니라면 제 어버이를 잃지 않았으며, 새 어버이를 만나 새로운 곳에서 새롭게 살아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꼭 전쟁이 아니더라도 제 어버이를 잃는 아이는 많습니다. 교통사고 때문이든, 길에서 그만 어버이를 잃든 하면서 제 어버이를 잃는 아이가 많습니다.

 죽고 죽이는 전쟁이 터지지는 않는 이 나라에서도 아이를 먹여살릴 길이 없어 아이를 누군가한테 맡겨야 하는 어버이가 있습니다. 다른 한켠에서는 넉넉히 먹고살 뿐 아니라 돈이 가득하거나 밥쓰레기가 흘러넘칩니다. 집에서 밥을 먹든 바깥에서 밥을 사먹든, 알맞게 밥을 먹어 밥쓰레기가 안 나오도록 마음쓰는 사람은 몹시 드뭅니다. 내 몸을 생각하며 밥을 먹는 사람들이지만, 내 이웃 몸과 삶을 헤아리며 밥을 나누는 일은 좀처럼 드뭅니다.

 새벽과 아침과 낮에 해를 느낄 수 있다면, 밤에 달과 별을 올려다볼 수 있다면, 구름이 흐르고 바람이 부는 결을 맞아들일 수 있다면, 들풀과 들꽃과 들새 이름을 하나하나 욀 수 있다면, 이웃사람 이름을 하나하나 떠올리며 살아갈 수 있다면, 미움이나 다툼이나 겨룸이나 싸움이 아닌 사랑이나 따스함이나 믿음이나 너그러움으로 어깨동무할 텐데요. 서로를 벼랑 끝으로 내모는 삶이 아니라, 서로를 좋은 보금자리로 안아들이는 삶이 될 텐데요.

 많이 가지고 적게 가지고가 아닙니다. 많이 가졌어도 모자랄 사람이 있고, 적게 가졌어도 넘친다 여길 사람이 있습니다. 알맞게 가지고, 알맞게 나누며, 알맞게 누릴 줄 알아야 합니다. 내가 너와 어깨동무를 하면서 서로 기쁘게 살자고 하는 곳이 사랑이면서 평화입니다. 나와 네가 어깨동무를 안 하고, 나와 네가 서로 기쁘게 안 살려 하는 모든 자리는 싸움판입니다. (4343.11.18.나무.ㅎㄲㅅㄱ)


― 문이 (라스칼 글,소피 그림,홍성혜 옮김,마루벌 펴냄,1995.5.15./76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