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기 여우 헬렌 ㅣ 쪽빛문고 9
다케타쓰 미노루 지음, 고향옥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백 가지 삶과 백 가지 사진
[찾아 읽는 사진책 7] 다케타쓰 미노루, 《아기 여우 헬렌》(청어람미디어,2008)
스물일곱 달째를 지나 스물여덟 달째 함께 살아가는 아이가 큰방에서 혼자 놉니다. 아이 엄마는 작은방에서 이불을 무릎에 덮고 뜨개질을 합니다. 아이 아빠는 이불을 쓰고 자리에 누워 허리를 폅니다. 그제 서울과 인천으로 볼일 보러 갔다가 어제 돌아와서는 끙끙거립니다. 하룻밤 사이에 먼길을 오가고 나면 꼭 하루 남짓 끙끙 앓습니다. 아이 엄마가 아이 아빠한테 넌지시 묻습니다. “아이 예쁘지요?” 아이 아빠는 능청스레 대꾸합니다. “뭐가? 어디가?”
아이랑 스물일곱 달을 꾹꾹 채워 살아오는 동안 날마다 서른 장 남짓 아이 사진을 찍었습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내 아이 모습을 어떤 이야기를 붙여 사진으로 담으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갖은 집일을 떠맡아 살림을 꾸리면서 이 사진은 이렇고 저 사진은 저렇고 하며 살필 겨를이 없습니다. 그저 이 모습은 이 삶결대로 담고, 저 모습은 저 삶자락대로 담을 뿐입니다.
요 한두 달 사이 이 사진들을 곰곰이 생각해 보곤 합니다. 아빠한테 둘도 없이 어여쁜 모델이 되어 주는 이 아이 삶을 어떤 이야기 담은 모습으로 나눌 때에 아빠한테도 엄마한테도 아이한테도 즐거울까 하고. 참말로 바쁘다고 말은 하지만, 이런 말은 핑계일 뿐, 나로서는 아직 아빠다운 아빠 길을 못 걸으니까 아이 사진을 찍으면서 이 사진이 아이 삶하고 어떻게 어울리도록 하면 좋겠는가 하는 갈피를 못 잡는 셈 아닌가 하고.
아이 사진을 함부로 누리집(블로그라든지 인터넷방이라든지)에 올려서는 안 된다고 느낀 어느 날부터 아이 사진을 섣불리 다른 사람 앞에 내보이지 않았습니다. 한 달 남짓 이러다가 마음을 곰곰이 추슬러 하루에 한 장씩 아이 사진을 글 한 줄씩 붙여 갈무리해 보자 생각합니다. 아이와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 스스로 살갑게 쓸 수 있다면, 이 이야기를 이루는 사진을 둘레 사람하고 스스럼없이 나눌 수 있을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 없이 사진을 아무렇게나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비로소 생각합니다.
이제 날마다 한 가지 모습을 되새기며 이름붙이기를 해 봅니다. 이를테면 ‘고구마 어린이’라든지 ‘자전거 어린이’라든지 ‘책 어린이’라든지 ‘포대기 어린이’라든지 ‘북치는 어린이’라든지 ‘춤노래 어린이’라든지 ‘가을길 어린이’라든지 하면서. 어차피 이름을 붙인다면, 되도록 글자수를 맞추고 싶습니다. 첫 이름을 ‘고구마 어린이’로 했으니 모두 세 글자로 맞추고 싶은데, ‘책 어린이’에서 그만 걸렸습니다. 이 이름을 붙일 때 미처 생각을 못했으나, ‘책읽는 어린이’로 했다면 꼭 세 글자가 되었을 텐데, 왜 그때에는 이처럼 이름을 못 붙였나 싶습니다.
예전에는 굳이 이름붙이기를 하지 않고 날짜만 살폈습니다. 아이하고 함께 살아가며 하루 동안 찍는 사진 서른 장이나 쉰 장이나 일흔 장으로 얼마든지 책 하나 날마다 만들 수 있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쉰 장을 찍더라도 쉰 가지 얼굴빛과 몸빛과 삶빛을 담을 수 있는 ‘내 아이 삶 사진’입니다. 이는 우리 집 아이한테서만 보는 모습이 아닙니다. 온누리 어느 집 아이한테서도 엿볼 수 있어요. 아이하고 어버이가 늘 집에만 붙어 있다 하더라도 매한가지입니다. 아이하고 어버이가 날마다 먼길 마실을 다닌다 하더라도 ‘날마다 쉰 가지나 일흔 가지 다 다른 얼굴빛’을 못 볼 수 있어요. 이 나라 저 나라 쏘다닌다 하는 사람이 더 나은 사진을 얻지 않고, 한 나라 조그마한 마을 작은 집에서 산다는 사람이 덜 떨어진 사진을 얻지 않습니다.
시골마을에서 조그맣게 동물병원을 꾸리는 의사이면서, 당신이 돌보아야 하는 들짐승들 삶을 사진과 글로 묶어 이야기책을 내놓는 다케타쓰 미노루 님이 낸 책 가운데 《아기 여우 헬렌》을 읽으면, “솔개와 함께 생활했던 때를 뒤돌아보면, 그 형제와 형제의 학교 친구들에게 도움을 받으며 살았던 그 솔개의 일생이 불행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하루하루가 무척이나 즐거웠을 것입니다(34∼35쪽).” 하는 대목이 있습니다. 들새로 살아야 할 솔개이지만, (몹쓸 어른들 때문에) 몸이 크게 다쳐 아파 하던 솔개를 마을 아이들이 살려 달라며 껴안고 찾아왔다지요. 이 솔개를 어루만지고 함께 돌보면서 다시금 살아나 훨훨 날도록 도왔다지요. 이렇게 솔개랑 하루이틀 살아가면서 다케타쓰 미노루 님부터 ‘즐겁다’고 느끼는 한편, 들짐승 어루만지는 의사로서 솔개 몸이 ‘즐거워’ 함을 느꼈겠지요. 그야말로 날마다 새롭게 즐거웠으리라 생각합니다. 아기 여우 헬렌을 만나 함께 살아가면서도 “아내에게 안겨 있는 헬렌은 기분이 아주 좋아 보였습니다(90쪽).” 하고 느끼거든요.
아이 사진을 날마다 꾸준하게 찍으면서 곰곰이 떠올립니다. 아이가 아빠한테 안기거나 엄마한테 안길 때, 아이는 더없이 포근해 합니다. 할머니한테 안기든 할아버지한테 안기든 이모한테 안기든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는 저를 사랑해 주는 사람들 마음을 제 마음으로 느끼어 받아들입니다. 아이 사진을 찍는 아빠 앞에서 아빠가 제 모습을 사랑스레 담아내는 줄 느끼니 스스럼없이 찍혀 줍니다. 나중에는 아이가 아빠 사진기를 쥐어 아빠 모습을 찍어 줍니다. 우리 집 딸아이는 고작 여섯 달이 되었을 무렵부터 아빠 사진기를 갖고 놀았고, 일곱 달이 채 안 되어 첫 사진을 찍었으며, 돌이 안 되었을 때 엄마나 아빠를 찍어 준다며 사진놀이를 즐겼습니다.
천재라서 돌쟁이조차 아닌데 사진놀이를 하지 않습니다. 그예 함께 살아가니까 사진을 제 몸으로 받아들일 뿐입니다. 아빠랑 엄마가 텃밭을 일구거나 너른 논을 돌보며 살면, 아이는 낫이나 호미를 즐겨 들겠지요. 이때에 아이는 돌쟁이조차 아닌데 ‘호미 어린이’가 되어 풀 베거나 벼 베는 어린이 몫을 톡톡히 했겠지요. 그러니까, 때때로 텔레비전 같은 데에 ‘아주 어린 꼬맹이가 자동차 이름을 다 판가름하는 모습’ 따위를 보여줄 때에 이 아이를 일컬어 ‘천재’라느니 무어라느니 떠드는 일은 부질없습니다. 게다가, 어린이한테 영어를 일찌감치 가르치거나 한자를 일찍부터 알려주는 일 또한 덧없어요. 아니, 이런 짓은 아이를 망가뜨립니다. 어느 아이든 아이일 때 무엇이든 쏙쏙 빨아들입니다. 좋은 모습이든 궂은 모습이든 빨아들여요. 빨아들여야 살아낼 수 있으니까요. 빨아들여 제 것으로 삼아야 무럭무럭 자라니까요.
아이가 어릴 때에는 영어이니 책이니 한자이니 한글이니 따위를 머리에 집어넣으면 안 됩니다. 착하고 참다우며 고운 삶을 어버이 스스로 힘껏 살아내는 하루하루를 곱다시 껴안도록 손을 잡고 이끌어야 해요. 맑은 바람과 싱그러운 하늘과 하얀 구름과 밝은 별을 아이가 가슴에 꼬옥 안도록 거들어야 합니다. 물맛과 밥맛을 깨닫도록 힘쓰고, 손맛과 발맛을 새삼스레 느끼도록 도와야 합니다. 착하지 않으면서 영어를 잘하거나 일본말을 잘한들 무슨 보람이 있나요. 참답지 않으면서 수백 수천 권에 이르는 책을 달달 왼들 어떤 빛이 서리나요. 고운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는 아이가 서울대학교이든 하버드대학교이든 첫손 꼽으며 들어간들 얼마나 사랑스러운가요.
아이하고 살아가는 동안 아이는 어버이한테 날마다 다른 빛깔을 베풀어 주고, 어버이는 아이한테 늘 다른 빛무늬를 나누어 줍니다. 주니까 받는 사랑이 아니고, 주거니 받거니 하는 사랑 또한 아닙니다. 살랑살랑 흐르는 사랑입니다.
노상 느끼는 사랑이니까 노상 느끼는 그대로 사진 한 장 얻고, 노상 느끼는 그대로 사진 한 장 꾸준히 얻다 보니, 나날이 새삼스러운 이야기를 실어 사진을 차곡차곡 그러모읍니다.
이야기책 《아기 여우 헬렌》을 들춥니다. “헬렌은 한 번도 모래사장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내가 하는 행동은 이상할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100쪽).” 여느 여우와 달리, 앞을 보지 못하는 헬렌은 어미를 잃었습니다. 어미 잃은 새끼 여우한테 무엇인가를 사람이 가르치기란 매우 힘듭니다. 그런데 앞을 못 보는 헬렌이라지만, 헬렌은 여느 여우하고 똑같은 여우입니다. 여우는 여우이니까요. 한편, 새끼 여우 헬렌은 구경거리 여우 헬렌이 아닌 서로서로 따사롭고 넉넉히 안아 줄 좋은 살붙이인 여우 헬렌입니다.
“헬렌은 본래의 귀여운 아기 여우 얼굴로 돌아와 있었습니다. 그리고 커다란 눈망울에서 눈물 한 방울이 또르르 흘러내렸습니다(161쪽).” 삶을 함께 누리기에 죽음을 함께 맞이합니다. 슬픔을 같이 나누고 기쁨을 서로 맞아들입니다. 솔개를 돌보든 다람쥐를 돌보든 여우를 돌보든 딱따구리를 돌보든 저마다 다른 짐승들을 저마다 다른 결과 손길로 돌보지만, 모두들 고운 목숨이요 삶임을 헤아리는 손길로 함께 돌봅니다. 이들 짐승들을 다루는 이야기를 글과 사진으로 차곡차곡 엮어야 비로소 동물병원 살림돈을 마련한다는 다케타쓰 미노루 님인데, ‘살림’하는 돈을 얻고자 용쓰던 사진찍기이고 글쓰기였지, 벌어들일 ‘돈’만 생각하며 꾀부리던 사진찍기나 글쓰기는 아니라고 느낍니다. 어제와 오늘이 새롭고, 이 아이와 저 아이가 새로우며, 내 삶과 네 삶이 새롭습니다.
백 가지 삶을 느끼기에 백 가지 사진을 찍습니다. 백 가지 짐승을 만나기에 백 가지 손길을 뻗어 돌보고자 애씁니다. 백 가지 사진을 찍으며 한 가지로 이어지는 고리를 깨닫고, 백 가지 손길을 뻗는 동안 모두 한결같은 손길일밖에 없다고 알아챕니다. 동물병원이든 사람병원이든, 병원이면서 보금자리이고 삶터입니다. 삶터에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야기에는 사랑과 믿음이 고이 묻어납니다. 이 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옮기어 나누는 옛이야기로 남을 수 있고, 글로 적바림해 문학이 될 수 있으며, 사진으로 옮겨 예술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4343.11.11.나무.ㅎㄲㅅㄱ)
― 아기 여우 헬렌 (다케타쓰 미노루 사진·글,고향옥 옮김,청어람미디어 펴냄,2008.7.10./9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