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을 씻는 마음


 갓 한 밥이 가장 맛있습니다. 그러나 손수 지은 밥이면 식은밥 또한 맛있습니다. 아이 엄마가 해 준 밥도 맛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딸아이가 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하는 밥도 맛있으리라 여깁니다. 딸아이가 맨 처음 손수 쌀을 씻고 밥물을 맞추어 냄비에 불을 붙여 끓인 다음 그릇에 소담스레 담아 차려 줄 밥이란 얼마나 맛있을까요. 밥술을 뜨기 앞서 눈물을 흘리며 웃으리라 생각합니다.

 도무지 밥을 잘 안 먹는 아이를 마주하면서 걱정이 쌓이고 근심이 늡니다. 밥을 얼마나 잘 못하면 아이가 이토록 밥을 안 먹는가 싶어 끌탕입니다. 아이 아빠 입맛에만 맞추어 밥을 하는 탓인지, 아이 아빠 눈높이에서만 밥을 할 뿐이거나 다른 반찬을 제대로 못 차리기 때문인지, 아니면 이런저런 숱한 까닭이 모여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우리 식구가 조그마한 논이라도 손수 모를 내고 심어 피를 뽑고 돌보면서 가을걷이를 한 다음, 낟알을 몸소 훑고 끼니때마다 애써 빻아 쌀알을 얻으면, 이 쌀알을 까부르고 씻어서 밥을 한다면 달라질까요. 아이가 이 모든 흐름을 제 몸뚱아리로 겪거나 치른다면 바뀔까요.

 새벽 서너 시 무렵에 일어나 글을 씁니다. 집식구 고이 잠든 녘에 비로소 글을 씁니다. 새벽 서너 시에서 두어 시간이 지난 예닐곱 시가 되면 자리에서 일어나야 합니다. 부엌으로 가서 조용히 쌀을 그릇에 내어 씻습니다. 한 번 두 번 세 번 씻은 다음 물을 받습니다. 아이가 깰 무렵까지 불립니다. 아이가 일찍 깨면 기다리고 늦게 깨면 느즈막이 일어나는 때에 맞추어 냄비에 불을 넣습니다. 밥냄비에 불을 넣으면 오늘 아침에 먹을 반찬을 마련합니다. 국을 하나 끓입니다. 부디 잘 먹어 주기를 바라면서, 모쪼록 아이 엄마도 무언가 몸으로 받아들여 새롭게 기운을 차릴 수 있기를 비손하면서, 나 또한 오늘 하루 더 힘차게 살아 보자 다짐하면서 부엌에서 칼질을 합니다.

 쌀을 조용히 다 씻고 불구멍에 얹습니다. 히유 한숨을 쉽니다. 다시금 비손을 합니다. 새근새근 잠든 가운데 잠꼬대를 하는 아이를 바라봅니다. 아이가 신나게 잘 놀다가 잠든 이듬날에는 잠꼬대 소리에 웃음이 묻어 있습니다. 아이가 꾸지람 잔뜩 듣고 울먹이며 잠든 이듬날에는 잠꼬대 소리에 눈물이 어려 있습니다. 아이가 이듬날 첫머리부터 개운한 마음으로 깨어나 살아가는지 찌뿌둥한 마음으로 부시시 지내야 하는지는 오로지 어버이한테 달립니다. 아무리 아이가 말썽을 피우더라도 삭일 줄 알아야 합니다. 아무리 아이가 놀잇감이며 살림살이며 엉망진창 늘어놓고 안 치우더라도 부드러이 타이르며 함께 치울 줄 알아야 합니다. 아직 사랑하고 사랑받기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임을 헤아리면서, 어버이 스스로 내 살붙이를 사랑하고 사랑받는 흐름을 마련해야 합니다. 내가 어버이라면 더 힘써야지요. 내가 아빠이거나 엄마라면 내가 선 자리에 걸맞는 튼튼하며 씩씩한 사람으로 살아내도록 마음을 쏟아야지요.

 마음을 쏟아 글 한 줄을 쓰고, 마음을 바쳐 책 한 권을 읽으며, 마음을 기울여 사람을 사귑니다. 무럭무럭 자라나는 아이를 마주하는 어버이라면, 아이가 더없이 맑고 밝은 넋을 건사할 수 있게끔 참다이 마음을 들여야 합니다. 이론으로 하는 말이 아닙니다. 삶으로 하는 말입니다. 새벽에 홀로 조용히 일어나 쌀을 씻든, 아이가 깨어나 개구진 짓도 하고 말썽도 피우고 어리광도 부리고 칭얼거리도 할 때이든 싱긋 웃으며 내 살붙이를 사랑하는 몸가짐일 수 있어야 합니다.

 어느덧 동이 틉니다. 시골집에서 살아가며 동트는 새벽을 보고 까만 밤하늘 달과 별을 올려다볼 수 있으니 기쁩니다. 오늘 동트는 새벽 하늘에는 구름 몇 점 수묵그림 붓질처럼 슥슥 그려져 있습니다. 시골에서 살아가기에 아이한테 ‘하늘’과 ‘구름’이라는 낱말을 일찍부터 알려줄 수 있었습니다. 고마운 하루하루입니다. (4343.10.23.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