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나무의 노래
아와 나오코 지음, 김난주 옮김, 정지현 그림 / 달리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 하나 123 ― 아침이슬과 저녁햇살 잊은 우리 삶이라면
 : 아와 나오코, 《바람과 나무의 노래》



- 책이름 : 바람과 나무의 노래
- 글 : 아와 나오코
- 그림 : 정지현
- 옮긴이 : 김난주
- 펴낸곳 : 달리 (2009.8.10.)
- 책값 : 9500원


 (1) 아침이슬과 저녁햇살


 하루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엊저녁, 인천 부개역 앞에 자리한 헌책방 〈책사랑방〉 나들이를 할까 생각하면서 전화를 겁니다. 헌책방 〈책사랑방〉 아저씨는 책을 사러 밖에 나갈 때에는 가게를 비우기 때문입니다. 또르르르 또르르르 …… 퍽 길게 울리는 동안 받지 않습니다. 안 계신가 하고 끊으려 할 무렵 건너편에서 목소리가 들려옵니다. 조금 낯선 목소리가 아닌가 생각하면서 인사를 여쭙는데, 생각대로 낯선 목소리입니다. 그러나, “아, 최종규 씨세요? 예전 오○○ 사장님한테서 이야기 많이 들었습니다. 반갑습니다. 저는 시를 쓰는 고규태라고 합니다. 열흘 전에 갑자기 책방을 인수하게 되었습니다.”

 전화기 건너편에서 들려오는 ‘열흘’이라는 말마디에 움찔 놀랍니다. 꼭 열흘 앞서는 한글날이었고, 한글날 앞뒤로 해서 〈책사랑방〉에 꼭 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요사이 한글학회에 일을 나오느라 짬을 도무지 못 내고 있던 터에 여러 달째 찾아뵙지 못해 궁금하기도 하고 책도 보고 싶었거든요. 조금 더 바지런을 떨었다면 예전 아저씨가 있을 때 마지막 인사를 나눌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만 제가 미적미적 바쁘다는 핑계로 어수선하게 살고 있었기 때문에, 헌책방 〈책사랑방〉을 새로 이어받은 분을 만날 수도 있겠지요. 책과 책방과 헌책방을 좋아하는 일하고 헌책방 일꾼이 되어 책살림을 꾸리는 일은 아주 다르기 때문에, 전화로 이날 저녁에 만나자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부랴부랴 전철을 탑니다. 오늘 따라 인천으로 돌아가는 전철이 퍽 늦습니다. 전철을 타니 기사가 안내방송을 합니다. “제 시간보다 많이 늦어지게 되어 대단히 죄송합니다. 설상가상으로 지금 더 늦어지고 있습니다. 객차가 혼잡하오니 다음 열차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만 퇴근시간에 십 분이 훨씬 넘도록 늦어 버린 전철을 보내고 다음 전철을 타려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빠른전철을 용산부터 탔으니 제법 널널하긴 했지만 영등포역에 다다르자니 어느새 미어터지고, 신도림역과 구로역에서는 장난이 아닙니다. ‘히유, 오늘도 이렇게 악다구니로 살아야 하는가? 이렇게 서로 악다구니가 되어 미워하고 밀치고 하면서 짧지 않은 동안을 오징어떡이 된 채로 견디어야 하는가?’ 송내역에서 내려 느린전철로 갈아탈 때까지도 북새통은 사그라들지 않습니다. 이런 북새통에서 손에 책을 쥐고 있는 사람은 제 둘레에 저 빼고 보이지 않습니다. 모두들 귀를 틀어막고 손전화로 텔레비전 보기에 바쁩니다. 아가씨들은 연속극이나 김연아를 보고, 아저씨들은 한국시리즈 야구경기를 봅니다. 손전화로 화투를 치거나 다른 게임을 하는 사람이 드문드문 보입니다. 밀리거나 밀치거나 밟히거나 밟거나 서로 아랑곳하지 않고 두 눈을 손전화에만 박아 놓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지옥철에서는 책읽기로는 마음을 넉넉하거나 너그러이 다스릴 수 없을는지 몰라. 이런 지옥철에서 날마다 시달리는 채 젊음과 늙음을 다 보내야 하는 요즈음 도시사람한테는 유행노래와 연속극과 영화와 운동경기 아니고서는 마음을 달랠 길이 없는지 몰라.’

 찡긴 몸을 송내역에서 가까스로 빼내고 한숨을 돌리면서 북새통 지옥철 사람들을 바라보는 눈길을 고쳐야겠다고 느낍니다. 모두들 더없이 불쌍한 사람이 아니겠느냐고 느낍니다. 다른 사람뿐 아니라 저 또한 불쌍한 님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이좋게 어깨동무하는 사이가 아니라 매섭게 눈알을 부라리면서 빈자리를 날름날름 노리는 남남이 아닌가 싶습니다. 훌륭하거나 거룩한 책으로 마음을 알뜰하게 채워 놓는다 할지라도, 이 지옥철을 타면서 사랑과 평화와 믿음을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는 일이란 하느님이나 부처님한테나 바랄 노릇이 아닌가 싶습니다.

 서울에서 막 전철을 탈 때에는 거의 기울던 해님이 송내역에서 느린전철로 갈아타고 부개역에서 내릴 때에는 어두움으로 바뀝니다. 시간을 살피니, 이즈음은 땅거미가 찬찬히 내리며 도시 골목길에서 뛰놀던 아이들이 하나둘 집으로 돌아가 저녁밥상을 마주하거나 숨바꼭질 마무리를 짓는 무렵이구나 싶습니다. 제 어릴 적을 돌아본다면, 얼른 저녁밥상 물리고 잽싸게 다시 밖으로 뛰쳐나와서 깊어가는 밤까지 숨바꼭질을 이어가는 저녁나절 첫무렵이구나 싶습니다. 때로는 학교 끝나고 오락실에 처박혀 있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다가 ‘아차차, 이렇게 늦게까지 오락실에 처박혀 있으면 집에서 들통이 나는데.’ 하면서 근심걱정에 가득 쌓인 채 두려움에 덜덜 떨며 집으로 돌아가던 무렵이었고요.

 헌책방 살림을 이어받은 시인 아저씨는 “최종규 씨는 모든 책은 헌책이라고 말하셨는데, 저는 헌책을 읽으면서 사람이 된다”고 생각한다는 말씀을 들려줍니다. “세상에 나오는 책들이 갈수록 지혜는 적어지고 모든 분야에서 처세와 성공에만 초점을 맞춰 놓고 있”다는 생각을 덧붙입니다. “인문학 책에까지도 그래요.” 하고 한 번 더 덧붙입니다. 당신은 이 헌책방이 문닫지 않게 하고 이어받은 일이 참으로 기쁘다면서, “헌책방이란 영원히 다다르지 못할 듯하던 책을 만나는 곳”이라고 생각한답니다.

 시인 아저씨 말이 아니어도, 제 생각은 시인 아저씨와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책이 헌책이기에 어떠한 책을 읽든 우리들은 책을 가까이하며 새로운 사람이 됩니다. 아니, 참다운 사람이 됩니다. 다만, 우리 스스로 새사람이 되었음을 느끼지 못하거나, 새사람이 되었어도 새마음으로 새일을 새롭게 붙잡는 매무새를 간수하지 못할 뿐입니다.

 헌책방 일꾼이 된 시인 아저씨한테 “길든 짧든 헌책방 일꾼으로 지내며 겪고 본 이야기를 일기로 적어 보셔요.” 하고 말씀드립니다. 소주 한 병을 마신 다음 아슬아슬한 막차가 아직 안 끊길 무렵 전철을 타고 집으로 돌아갑니다. 목포에서 형한테서 전화가 옵니다. 우리 집 고장난 셈틀을 어찌어찌 고쳐 보라고 이야기해 줍니다. 형이 이야기하는 대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켜고 몇 가지 드라이버 풀그림을 내려받고는 책상셈틀에 옮겨놓고 깝니다. 그렇게 세 가지를 더 깔아 놓으니 비로소 책상셈틀이 예전 모습대로 돌아옵니다. 형한테 고맙다고 말하고는 이제 책상셈틀을 끕니다. 요 며칠 동안 사들인 책을 조금 넘기다가는 스르르 곯아떨어집니다.

 그러고 이튿날 새벽 여섯 시 이 분에 일어나, 여느 날과 같이 아침을 맞이합니다. 아침에 글을 좀 쓸까 하다가 그만두고, 어젯밤 못 다 읽은 책을 마저 펼칩니다. 아침 일곱 시 이십일 분에 집을 나섭니다. 어제 아침과 똑같은 지옥철에 부대낍니다. 오늘은 옆과 뒤에서 그지없이 못난 아저씨들이 팔꿈치로 밀고 신문으로 쑤시고 그럽니다. 어처구니가 없어 뒤를 돌아봅니다. 미어터지는 지옥철에서 억척스레 신문을 쫙 펼치고 읽으려는 아저씨를 노려봅니다. “야, 뭘 째려보는데?” 외려 큰소리입니다. 피식 웃어 주고 고개를 돌립니다. 이게 나이값인가 하는 생각, 이런 나이값으로 당신 집식구한테도 그런 모습밖에 못 보여주느냐는 생각, 참말 안쓰럽고 딱한 삶을 붙잡고 있는 아저씨라는 생각, 이런 사람하고는 말대꾸를 할 값어치가 없을 뿐 아니라, 이런 사람을 윽박지른다든지 꿀밤 한 대 먹일 값어치조차 하나 없다는 생각입니다.

 못났구려 사람들 생각은 잊자고 다짐합니다. 손에 쥐고 있는 책에 좀더 힘을 줍니다. 아침에 집을 나서면서 보았던 끝물 나팔꽃에 살짝 맺힌 이슬방울을 떠올려 봅니다. 하루하루 쌀쌀해지면서 겨울 들머리에 다가선 하루하루를 살갗으로 차근차근 느끼면서 내 마음자리는 이토록 씁쓸하고 못난쟁이로 고꾸라지지 않도록 힘쓰고 애쓰자고 다짐합니다. 내일부터는 집에서 새벽 여섯 시에 나와야겠습니다. 








 (2) 《바람과 나무의 노래》를 읽을 수 있는 가슴


 1943년에 태어나 1993년에 세상을 떠난 아와 아야코라고 하는 일본사람 어린이책 《바람과 나무의 노래》를 읽습니다. 이 작품은 1973년에 펴냈다고 합니다. 우리 말로 옮겨진 적이 예전에도 있었나 궁금한데, 옮겨진 적이 있든 없든 자그마치 서른 해를 훌쩍 넘은 옛날이야기입니다. 그래도 이 작품에 담긴 이야기는 나라안팎에서 제법 사랑받는구나 하는 느낌입니다.

 문득, 제 고향 인천에서 수채그림을 늘그막까지도 즐기며 동화를 쓰는 할머니가 떠오릅니다. 수채그림 할머니가 쓴 동화를 읽을 때에도 이 작품 《바람과 나무의 노래》를 읽을 때와 비슷한 느낌이었는데(이 작품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수채그림 할머니가 당신 작품을 책으로 내고 싶어 출판사를 알음알이하니, 출판사마다 하는 말이 “할머니 동화는 참 좋기는 한데, 너무 옛날 옛적 이야기라서 내기가 어려워요.” 하는 대꾸만 돌아왔다고 합니다.

 수채그림 할머니가 사는 동네에서 고개 하나 넘는 곳에 있는 골목동네에는 시와 동화를 쓰는 나이 지긋한 가시버시가 있습니다. 두 분은 예순일곱 나이임에도 시쓰기와 동화쓰기를 꾸준히 이어가는데, 예순일곱 할머니가 쓴 동화 또한 퍽 좋았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당신들 오랜 삶과 생각과 땀과 슬기와 사랑이 담긴 동화는 나라안에서 제대로 빛을 못 봅니다. 당신들이 한국사람이 아닌 일본사람이었거나 미국사람이었거나 유럽사람이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비슷한 작품이라면 나라안 작가들 땀방울보다 나라밖 작가들 땀방울을 추켜세우는 우리 나라이니까요. 나라안 창작 작가들은 작품모음을 펴내기 힘들고, 나라밖 창작 작가들은 한국땅에서 큰 어려움없이 작품모음을 쏟아낼 수 있으니까요.

 우리 나라에 훌륭한 작가가 많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나라밖 작가는 안 훌륭하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우리 나라 뜻있고 생각있고 사랑있는 작가들 작품은 제대로 모시지 못하는 우리 삶터라는 소리입니다. 나라밖 좋은 작품이 꾸준하게 옮겨지는 일은 반갑지만, 우리 스스로 우리 터전과 넋에 걸맞는 작품을 일구려는 손품이 몹시 모자라다는 소리입니다.

 다만, 《바람과 나무의 노래》를 쓴 아와 아야코 님 작품은 참 좋습니다. 따순 바람결이 고스란히 묻어나 있고, 향긋한 나무결이 살며시 스며 있습니다. 바람이 들려주는 싱그러운 노래와 나무가 들려주는 고요한 노래가 함께 깃들어 있습니다. 동화란, 아니 동화를 떠나 문학이란, 아니 문학을 넘어 글이란 이렇게 엮어내는구나 하고 가슴을 톡 건드립니다.


 (3) 가만히 들여다보기


 지난 8월 28일에 처음 손에 쥐고는 그날 곧장 읽어 버린 《바람과 나무의 노래》입니다. 좀 쉬었다가 다시 읽으려고 했으나 그리 하지 못했습니다. 한달음에 끝까지 달리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속으로 ‘이러면 안 돼’ 하고 생각하면서 책상맡에 한 달 남짓 얌전하게 올려놓았습니다. 아무리 반갑다 하여도 이렇게 읽어치우면 속탈이 날 수 있으니 차근차근 삭여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비로소 ‘한달음에 읽어치운 책’을 마음으로 삭일 수 있겠다 싶어 다시 한 번 책장을 넘기며, 그동안 내 마음밭에 한 알 두 알 자리잡은 글월을 새롭게 곱씹어 봅니다. (4342.10.20.불.ㅎㄲㅅㄱ)


[9, 19쪽] 나는 헉 하고 숨을 들이켰어요. 어디서 어쩌다 길을 잘못 들어 이런 곳에 오게 되었는지. 게다가 이 산에 이런 꽃밭이 있었는지 의심스러웠습니다. ‘곧장 되돌아가!’ 나는 자신에게 명령했어요. 하지만 풍경이 너무 아름다웠어요. 등골이 서늘해질 정도로 말이죠 … 참 신기한 일이었어요. 나는 이 산에 대해서는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숨겨진 길이 있잖아요. 그리고 그렇게 멋진 꽃밭과 친절한 새끼 여우의 가게도 있고 말이죠. 나는 신이 나서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걸었어요.

[25쪽] 산초나무는 가난한 농가의 밭 한가운데 서 있었습니다. “이 나무, 거치적거리니까 베어 버릴까 싶어.” 농부가 말했어요. “그래요, 여보. 이 나무가 없으면 채소를 좀더 심을 수 있잖아요.” 농부의 아내가 대답했어요. “하지만 엄마, 이 나무를 잘라 버리면 산초나물은 못 먹잖아요.” 그렇게 말한 것은 이 집의 딸 스즈나였어요. “하긴 그렇구나.” 엄마도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산초나물은 정말 맛있지.” 그래요. 산초의 새 잎은 봄의 음식에 향긋한 냄새를 더해 주지요. 하지만 스즈나는 산초나물이 먹고 싶어서 그렇게 말한 것은 아니었어요. 산초나무를 베어 버리면 산초 아이가 죽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죠.

[36쪽] “스즈나가 시집을 간대.” “이웃마을에 사는 부자에게 간다던데.” “광이 스무 개나 있는 집이래.” “듣자 하니, 대단한 집안이라더군.” “그럴 만도 하지. 스즈나는 미인이잖아.” 산타로는 두 손으로 귀를 막고 그저 먼 산만 멍하니 바라보았습니다. ‘스즈나는 부잣집으로 시집을 가니까, 부자가 되겠네.’ 그런데 산타로네 집은 나날이 기울어 갔습니다. 엄마가 몸이 허약해져 산타로가 가게를 운영하게 된 후로는 모든 일이 순조롭지 못했던 것이죠. 손님은 근처에 새로 생긴 가게에 빼앗기고, 지붕은 태풍에 날려가고. 그런데다 산타로는 장사 수완이 하나도 없었지요. 경단에 쓸 팥조차 살 수 없는 형편이 되자 산타로네 찻집의 명물 경단은 끝내 모습을 감추고 말았습니다.

[51, 53쪽] 감자와 우유가 아주 맛있는 북쪽 지방 어느 마을의 이야기입니다. 이 마을 어귀에 의자를 만드는 젊은이가 아내와 함께 살고 있었지요. 이 젊은이가 만드는 의자는 모두 튼튼하고 앉으면 편안한 느낌이 절로 들었죠. 어느 날, 이 젊은이가 귀여운 흔들의자를 만들었습니다. “어머나, 정말 멋진 흔들의자네. 누가 주문한 거야?” 아내가 감자 스튜를 만들면서 그렇게 물었지요. “주문은 무슨, 우리가 쓸 거야.” “우리가 쓸 거라고! 하지만 누가 앉는데?” “우리 아이가 앉을 거야.” … 젊은이는 혼자서 그렇게 중얼거렸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예쁜 빨간색을 칠해도 그 아이는 볼 수 없을 것이라 생각되자 슬퍼서 어쩔 줄을 몰랐죠. 어제 아내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이 아이는 아무것도 볼 수가 없어. 꽃이 아무리 아름다워도, 그리고 물과 하늘도 그 색을 볼 수 없다고.”

[119쪽] “에이, 겨우 이거뿐이에요?” 설탕은 네모난 종이봉투 속에 겨우 한 숟가락 정도밖에 들어 있지 않았어요. “그래, 이렇게 맛있는 게 집집마다 다 있는 건 아니야. 엄마는 옛날에 먹어 본 적이 있으니까, 이건 네가 다 먹으렴.”

[131∼132쪽] 아기 빗방울은 아주머니의 바지자락에 매달려 떼를 썼어요. “여름 동안 비를 뿌려 주면 설탕을 주겠다고 약속했잖아요. 네, 그랬잖아요?” “이런 멍청이. 비에게 보답을 하면, 해님에게도 바람에게도 보답을 해야 되잖아.” 아주머니는 아기 빗방울의 손을 매정하게 뿌리쳤습니다. “우리 집에는 아이들이 많아서 개미들이 핥을 설탕도 없다.” 아주머니는 그런 말을 뱉고는 저쪽으로 가 버렸습니다. 밭 저 너머에 있는 설탕공장의 굴뚝에서 연기가 모락모락 오르고 있습니다. 그때야 아기 빗방울은 엄마와 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깨달았지요 … ‘엄마는 이제 없어.’ 그제야 아기 빗방울은 그 사실을 똑똑하게 알았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때였습니다. 응석받이 아기 빗방울이 응석을 떨쳐 버리고 분노를 알게 된 것이. “어서 어른이 되고 싶어.” 아기 빗방울은 혼자 중얼거렸어요. 훌륭한 어른이 되면 이 마을에 큰비를 내려 주리라고 생각했어요. “집이고 밭이고 다 떠내려 가게 할 거야.” 그런 말을 내뱉은 아기 빗방울은 엄마의 은 물뿌리개를 껴안고 숲으로 돌아갔습니다.

[171쪽] “뭐가 그리 답답하다는 것인가?” 거북은 목을 다시 움츠리면서 물었어요. 어부 료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쉴 틈도 없다더니, 내가 그 꼴이라 하는 말입니다.” “쉴 틈이 없다! 그거 바람직한 일 아닌가.” “하루하루가 바빠서 그물을 손질할 틈도 없는데 바람직은 무슨 바람직이랍니까. 그물에 조그만 구멍이 뚫린 것을 그냥 내버려 두었더니 이 모양이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