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96 : 회사원이 읽는 책 - 아침부터 낮까지

 며칠 앞서부터 한글학회에 일을 나오고 있습니다. 한글학회는 서울 종로구 새문안길에 있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신나게 달려 볼 수 있는 길이지만, 자전거로 인천과 서울을 오가면 저녁에 집으로 돌아와 아기하고 씨름할 기운은 바닥이 나기 때문에 전철을 타기로 합니다. 전철에 자전거를 싣고 용산과 새문안길 사이를 오가도 괜찮으나, 아침저녁 출퇴근길에 전철에 자전거를 싣기란 몹시 어렵습니다. 가득가득 타는 사람들만으로도 넘치니, 자전거가 아니라 바퀴걸상이나 아기수레 또한 들어갈 구멍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전철칸 한쪽 구석에 기대어 서고 가방을 내려놓습니다. 한손에는 책을 듭니다. 사진쟁이 전민조 님이 엮은 《사진 이야기》(눈빛,2007)를 읽습니다. 인천에서 떠나는 전철은 서울과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들어차고, 이내 꾹꾹 눌러담듯 서 있는 사람은 서로서로 밀고 밀치면서 에어컨 돌아가는 전철은 후덥지근합니다. 문득, 이 전철이 1990년대에는 선풍기가 탈탈 돌아가며 ‘인천에서 서울 가는 급행’이 없었다는 생각이 납니다. 또한 1980년대에는 선풍기조차 제대로 없거나 망가져 있기 일쑤였다는 생각이 납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여기에 2000년대와 2010년대를 앞둔 이날까지 죽 돌아보고 헤아려 보건대, 전철로 오가며 책을 손에 쥔 사람은 나날이 줄어들지 않느냐 싶습니다. 그리고, 예나 이제나 ‘전철을 타면서 책을 읽는 한국사람은 참 적다’는 이야기를 누구나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는 것에 멋있는 것이 중요한 일이 아닌 것처럼 사진도 멋있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닌데, 그런 사진을 추구했던 내 모습이 사진의 노예로 보일 수 있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74쪽/최광호).”는 대목을 밑줄을 그으며 읽습니다. 이 대목에 밑줄을 긋는데 제 앞쪽으로 어느 아가씨가 불쑥 끼어들더니 신문을 쫙 펼치며 읽습니다. 신문 끄트머리가 제 얼굴에 닿을락 말락 합니다. 제 뒤에 서 있던 아저씨가 아주 큰 소리로 재채기를 합니다. 틀림없이 입에 손을 안 대고 재채기를 했다고 느낍니다.

 전철은 어느덧 신도림역에 닿으면서 거의 모든 손님이 내립니다. 신도림역에서 내린 절반쯤은 강웃마을로 갈 테며, 다른 절반쯤은 강아랫마을로 갈 테지요. 집에서 나와 전철역에 처음 들어설 때부터 아직까지도 손에 책을 쥔 사람은 열 손가락으로 꼽기 어려울 만큼만 보입니다. 사람이 오징어떡처럼 눌리는 전철에서는 손에 책을 쥔 사람을 더더욱 볼 수 없었습니다.

 숨막히는 전철칸에서 시달리다가 서대문역에서 내려 걷습니다. 광화문역에서 내리면 조금 덜 걷지만, 몇 걸음 더 걷더라도 아침햇살을 고스란히 받으면서 천천히 팔월 기운을 느끼고 싶습니다. 몇 분쯤 하느작하느작 거닐면서, 사람 걷는 길을 뚝 끊고 지붕 없이 새로 만든 ‘자전거 주차장’ 어설픈 모습을 봅니다. 울퉁불퉁한 거님길을 느끼고, 밝고 가벼운 차림인 아가씨와 까만 양복 차림인 아저씨를 숱하게 스칩니다. 낮밥때가 되니 온 길거리에 사람들로 그득하고 퍽 많은 사람 손에는 커피잔이 쥐어져 있습니다. 회사원은 새벽바람으로 일어나 낮밥을 먹을 때까지 책을 손에 쥘 겨를이 몇 분이나 있을까 궁금합니다. (4342.8.1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