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3cm의 풍경 2
히루노 츠키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4년 11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9.20.
만화책시렁 767
《133cm의 풍경 2》
히루노 츠키코
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2024.11.25.
누구나 익히면서 알고 나눌 길이라면 ‘살림’입니다. 살림을 여는 길은 언제나 ‘집’입니다. 집이란, “짓는 곳”입니다. 우리는 먼저 집부터 지어 놓고서, 바로 이 집에서 온살림을 차근차근 짓고 누리고 나누고 베풀고 즐기면서 스스로 빛나고, 곁님하고 반짝이며, 아이를 낳아 눈부십니다. 다만 꼭 짝을 맺거나 아이를 낳아야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짓는 곳인 ‘집’”은 있어야지요. 《133cm의 풍경》은 얼핏 어린이처럼 보이는 작은 키와 몸으로 살아가는 아가씨가 둘레를 어떻게 보고 느끼고 마주하면서 ‘새마음으로 자라는가’ 하는 나날을 들려줍니다. ‘133cm 아가씨’를 겉몸으로만 흘깃 본다면 속마음뿐 아니라 사랑을 도무지 못 읽어요. 이와 달리 ‘이름이 ○○인 사람’으로 마주하면서 이야기를 할 적에는, 함께 즐겁고 나란히 새로우며 다같이 살림꽃을 피우는 길을 걸어갑니다. 오늘날에는 ‘집’을 너무 잘못 다루고 잘못 볼 뿐 아니라 잘못 말하기 일쑤입니다. ‘집사람’이란 ‘집지기’와 같은 뜻이면서 ‘집꽃’으로 여겨야 할 텐데, 가시내를 얕보거나 억누르거나 들볶던 얼뜬 굴레를 ‘집’이라는 낱말에 함부로 들씌우기까지 합니다. 아이어른 모두 집부터 포근히 누려야 사랑을 알아보는 사람으로 살아갑니다.
ㅍㄹㄴ
“나오미가 더 크다는 이유만으로 투덜거리는 인간이면, 우리가 따끔하게 야단쳐 줄게.” (21쪽)
‘내 몸은 아무 잘못이 없는데, 오답이란 말을 듣는 것 같아.’ (55쪽)
“다들 작고 귀엽고 얌전한 여자를 좋아하잖아. 키가 커서 좋다고 생각한 적 없어.” (99쪽)
“나는 인기를 얻으려고 사는 게 아니야. 그런 건 관심 없어.” (109쪽)
#133cmの景色 #ひるのつき子
+
《133cm의 풍경 2》(히루노 츠키코/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2024)
나 같은 게 오면 안 될 것 같아서
→ 내가 오면 안 될 듯해서
6쪽
모두가 연애 감정을 키워 가는 가운데 나는 웃으면서 방관자를 연기하고 있었다
→ 모두가 가슴뛰는데 나는 웃으며 구경하는 척한다
→ 모두가 설레는데 나는 웃으며 모르는 체한다
→ 모두가 들뜨는데 나는 웃으며 딴청을 한다
48쪽
나는 이와미 군에 대해서 모르는 게 많은 것 같아
→ 나는 이와미 씨를 거의 몰라
→ 나는 이와미 씨를 잘 몰라
6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