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퀴어 어른이책) 퀴어 어른이책
브라네 모제티치 지음, 마야 카스텔리츠 그림, 박지니 옮김 / 움직씨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9.9.

그림책시렁 1621


《첫사랑》

 브라네 모제티치 글

 마야 카스텔리츠 그림

 박지니 옮김

 움직씨

 2018.6.15.



  둘레에서 흔히 쓰는 ‘첫사랑’이라는 낱말은 거의 잘못 쓴다고 느낍니다. 처음으로 싹트는 사랑보다는 처음 마주하는 자리에서 반하며 밝게 마음을 틔우는 길이라면 ‘첫눈’이라고 해야 어울립니다. 《첫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나온 그림책에는 따로 “퀴어 어른이책”이라고 덧달립니다. 글쓴이와 그린이가 “퀴어 어른이책”이기를 바랐을는지 모릅니다만, 굳이 ‘짝맺기’로 몰아야 할 까닭은 없다고 느껴요. 두 아이가 첫눈에 반하면서 함께 놀고 어울리고 얘기하고 하루를 살아가는 길을 보여주거든요. “처음으로 눈뜨는 마음”을 굳이 짝맺기로 못박지 않기를 빕니다. 아이도 어른도 누구하고나 첫눈을 틔울 수 있습니다. 마음을 열면서 삶을 밝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무요 이웃이면서 ‘님’입니다. 즐겁게 어울리면서 기쁘게 하루를 누리는 사이를 알아보기에 ‘눈뜨다’라 합니다. 눈을 뜬 뒤에는 스스로 일어서야지요. 바람을 일으키고 물결을 칠 노릇입니다. 남이 나를 바꾸지 않아요. 남이 이 딱딱한 담벼락을 걷어치워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이 보금자리를 따스하게 돌보고 포근하게 품는 나날을 차분히 가꾸면서 모두 바꿉니다. 아이도 어른도 먼저 “싹틔울 씨앗을 따뜻하게 손에 얹어서 마음으로 품는 길”을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요. 씨앗 한 톨부터 심고 돌아보기에 숲을 천천히 이룹니다.


#BraneMozetic #MajaKastelic #PrvaLjubezen


ㅍㄹㄴ


《첫사랑》(브라네 모제티치·마야 카스텔리츠/박지니 옮김, 움직씨. 2018)


할머니 댁을 떠나 엄마랑 도시로 가게 됐어

→ 할머니집을 떠나 엄마랑 서울로 가야 했어

→ 할머니집을 떠나 엄마랑 서울로 갔어

2쪽


뒤뜰의 토끼랑 닭들에게, 같이 놀았던 이웃집 아이들에게 “안녕.” 하고 작별 인사를 했어

→ 뒤뜰 토끼랑 닭한테, 같이 놀던 이웃집 아이한테 “잘 있어.” 하고 헤어졌어

3쪽


딱 하나 좋았던 건 내 방이 생겼다는 것뿐

→ 딱 하나 내 칸이 생겨서 반가울 뿐

→ 딱 하나 내 자리가 생겨서 기쁠 뿐

5쪽


싫어지면 집으로 냅다 도망칠 수 있었지

→ 싫으면 집으로 냅다 달아날 수 있지

6쪽


둘만을 위한 공연을 하기로 한 거야

→ 둘이서 잔치를 열기로 했어

→ 둘이서만 자리를 펴기로 했어

25쪽


뭔가가 잘못됐다는 걸 알 수 있었지

→ 뭐가 잘못된 줄 알 수 있었지

3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