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는 돼지야 그림책이 참 좋아 51
신민재 지음 / 책읽는곰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9.7.

그림책시렁 1625


《언니는 돼지야》

 신민재

 책읽는곰

 2018.9.3.



  남을 깎거나 얕잡거나 괴롭히는 사람이 숱하게 있습니다. 언제부터 이런 깎음말과 얕봄말과 괴롭힘말이 있었나 하고 돌아봅니다.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이루어 들숲메바다를 품는 사람은 하루 한 마디조차 막말을 안 합니다. 보금자리에 흐르는 사랑을 빼앗아서 위아래(신분·계급·지위)를 세우려는 무리가 선, 이른바 나라(국가·정부)가 나타난 무렵부터 더럼말이 불거졌다고 느낍니다. 《언니는 돼지야》를 보면 마침내 언니랑 동생이 성풀이(화해)를 합니다만, “언니는 돼지야!” 하면서 ‘돼지’라는 짐승을 엉뚱하게 얕보거나 낮잡은 대목을 뉘우치거나 바로잡지는 않습니다. 적잖은 아이들조차 ‘개돼지’라는 짐승이름을 함부로 쓸 뿐 아니라 하찮게 여깁니다만, 개도 돼지도 안 하찮습니다. 오히려 ‘한(하다·크다)’이라고 할 개와 돼지입니다. 그러니까, 언니동생 사이에서 누가 더 높고 낫고 좋아야 하느냐를 놓고서 싸우고 윽박지를 뿐 아니라, 서로 짓밟고 올라서려고 하기에 ‘아무말 큰잔치’를 집안에서 벌이고 맙니다. 엄마가 아빠보다 높아야 할 까닭이 없고, 아빠가 엄마보다 높을 까닭이 없습니다. 엄마아빠는 나란한 사람이요 사랑입니다. 언니동생도 나란한 사이요 삶입니다. ‘아이들 삶’을 그린다는 시늉으로 ‘쌈박질’을 덧바르지 않기를 빕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