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깡깡 빨간콩 그림책 32
이영아 지음 / 빨간콩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9.5.

그림책시렁 1622


《깡깡깡》

 이영아

 빨간콩

 2023.12.29.



  어디에나 사람이 살아갑니다. 사람 곁에는 새가 납니다. 새 곁에는 애벌레가 있습니다. 애벌레 곁에는 풀과 나무가 있습니다. 풀과 나무 곁에는 냇물이 흐릅니다. 냇물 곁에는 들숲메가 있습니다. 들숲메 곁에는 구름이 흐르고, 구름 곁에는 바다가 일렁여요. 바다 곁에서는 바람이 춤을 추고, 바람 곁에서는 별이 반짝이며, 별 곁에서는 해가 따뜻합니다. 그리고 해를 쬐는 사람이 있습니다. 《깡깡깡》은 부산 어느 마을에서 ‘배손질’을 하는 아지매가 어떻게 하루를 살림하고 살아가는지 차분히 보여줍니다. 온누리 어느 곳에서는 보금자리에서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있습니다. 어느 곳에서는 논밭을 일구는 어버이가 있습니다. 어느 곳에서는 일터를 드나들거나 가게를 꾸리는 어버이가 있어요.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르게 하루를 짓는데, 누구나 매한가지로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땀을 내고 아이들을 마주하며, 아이들은 어버이를 새록새록 사랑으로 바라봅니다. 깡깡깡 소리가 울리도록 땀흘리느라 귀가 멍하고 온몸이 욱씬거리지만, 어머니를 지켜보고 기다리는 아이들을 헤아리면서 기운을 냅니다. 다 다른 일터와 일자리와 마을과 논밭과 들숲메바다에서 지내는 어버이는 서로 다르지만 나란하게 오늘을 노래합니다.


+


《깡깡깡》(이영아, 빨간콩, 2023)


깡깡이 마을은 근대 조선산업의 발상지이다

→ 깡깡이마을에서 오늘날 배무이가 비롯한다

3쪽


온종일 배를 수리하는 소리로 요란하다

→ 하룻내 배를 고치는 소리로 가득하다

→ 노상 배를 손질하는 소리로 넘실댄다

10쪽


엄마의 작업 도구는 망치와 쇳솔, 빛바랜 수건 몇 장이 전부이다

→ 엄마 연장은 망치와 쇳솔과 빛바랜 수건 몇이다

→ 엄마는 연장으로 망치와 쇳솔과 빛바랜 수건 몇을 챙긴다

17쪽


수리할 배가 부두에 닿으면 엄마 손길도 바빠진다

→ 손질할 배가 나루에 닿으면 엄마도 바쁘다

→ 고칠 배가 뱃터에 닿으면 엄마도 바쁘다

19쪽


삽시간에 땀으로 흠뻑 젖는다

→ 곧장 땀으로 흠뻑 젖는다

→ 이내 땀으로 흠뻑 젖는다

23쪽


내가 고친 배가 태평양 바다를 항해한다 아이가

→ 내가 고친 배가 너른바다를 가른다 아이가

→ 내가 고친 배가 허허바다를 누빈다 아이가

40쪽


나는 엄마의 웃는 얼굴이 제일 좋다

→ 나는 엄마가 웃는 얼굴이 참 곱다

4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