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먹어 보면 알지 - 호랑수박의 전설 ㅣ 웅진 모두의 그림책 74
이지은 지음 / 웅진주니어 / 2025년 7월
평점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8.8.
그림책시렁 1614
《먹어 보면 알지》
이지은
웅진주니어
2025.7.15.
“호랑수박의 전설”이라는 일본말씨로 작은이름을 붙인 《먹어 보면 알지》입니다. 이미 “-의 전설” 같은 일본말씨를 잇달아 썼으니 그리 새삼스럽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말은 ‘범’일 뿐, ‘호랑(虎狼)’이 아닙니다. 지난날 전두환이 1988년 서울여름마당을 내세우며 ‘범돌이’가 아닌 ‘호돌이’라고 쓰면서부터 ‘호랑’이라는 말씨가 확 번졌어요. 어린이한테 보여주는 그림책이며 어린이하고 함께 읽을 글이라면, 무엇보다 우리말글을 찬찬히 짚고 다루는 눈썰미를 가다듬을 노릇입니다. 아무 줄거리나 짜도 되지 않듯, 아무 말이나 써도 되지 않습니다. 《먹어 보면 알지》를 펴면, 숲짐승이 산송장(좀비)처럼 두발로 걸으며 “수박!”만 외치는 꼴은 소름이 돋습니다. 일부러 이렇게 그린 듯싶은데, 아무리 뭇짐승을 산송장으로 다루더라도 네발짐승은 네발로 걸어야 맞습니다. 네발로 다닐 개와 고양이더러 억지로 두발로 서라고 시키면 참으로 몹쓸짓이에요. 괴롭힘질(동물학대)입니다. 수박은 워낙 무겁고 덩이가 크기에 바구니에 여럿 못 담습니다. 일부러 소름(스릴)을 다루는 줄거리를 짰구나 싶지만, 쥐어짜는 억지스런 재미가 아니라, 아이가 수박씨 한 톨을 심어서 손수 돌보는 줄거리로도 얼마든지 멋스럽고 재미날 수 있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